캐나다 기후변화 정책에 앨버타 반발
앨버타 주민 25% "분리독립 지지"
앨버타 주민 25% "분리독립 지지"

대니얼 스미스 앨버타 수상 / Danielle Smith X
자원부국 캐나다에서 석유 생산 1위를 차지하는 앨버타주(州)가 내년 분리독립 주민투표 실시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6일 대니얼 스미스 앨버타 수상은 이날 “연방정부가 석유·가스 산업을 위축시키거나 전력망에 비현실적 목표를 강요한다면 주권법 발동 또는 분리독립 주민투표 외 다른 선택지는 없다”고 말했다. 스미스 수상의 발언은 마크 카니 신임 총리 내각 출범으로 국가 통합 기대감이 고조된 시점에 나왔다.
앨버타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석유·가스 생산지역이다. 전체 원유 생산량 가운데 80%를 차지한다. 막 출범한 연방정부와 불협화음을 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앨버타는 연방정부 친환경 정책과 탄소세가 지역경제를 압박한다고 주장한다. 앨버타 주정부 보고서는 “연방 탄소세로 2030년까지 앨버타주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2.1%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미스 수상은 이를 근거로 “연방정부가 앨버타가 경제적으로 기여하는 바를 당연시하면서 부당한 규제로 발목을 잡고 있다”고 비판했다.
캐나다 정론지 글로브앤메일은 “앨버타는 캐나다 전체 GDP 가운데 15%를 차지하지만, 주민 수는 전체 11%에 불과해 1인당 경제 기여도가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캐나다는 주정부 자율성이 강한 연방국가 체제다. 중앙집권적 유럽 국가들과 달리 지방분권 요소가 여전히 헌법에 내재돼 있다. CBC는 마이클 맥릿 토론토 대학 헌법학 교수를 인용해 “카니 총리 등장이 반드시 캐나다 전체 단결을 의미하지 않음을 이번 사례가 보여준다”며 “국가적 통합과 분리 사이에서 지속적 긴장감이 일고 있다”고 평가했다.
캐나다 동부에서는 프랑스 색(色)이 강한 퀘벡주가 건국 이후 줄곧 분리독립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995년 퀘벡주 독립을 두고 벌인 국민투표에서는 찬성이 절반에 달하는 49.42%까지 올랐다.
여기에 석유 생산과 경제 분야 지분이 큰 서부 앨버타주마저 연방정부에 등을 돌릴 경우, 국가적인 정체성과 예산 근간에 퀘벡보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캐나다 내부에서 퍼지고 있다. 캐나다 정치평론가 이안 리는 CTV 인터뷰에서 “카니 내각 최우선 과제는 서부 지역 소외감 해소와 실질적 통합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앨버타 분리독립 가능성은 전임 저스틴 트뤼도 행정부가 새 기후변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급격하게 치솟았다. 2023년 트뤼도 총리는 2035년까지 캐나다에서 석탄·가스 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고, 모든 신차를 100% 무공해차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석유 관련 산업이 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앨버타는 이 정책이 “비현실적이고 주 경제를 붕괴시킨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프레이저 연구소 경제 분석에 따르면 연방 탄소세 지출로 앨버타는 2030년까지 최대 21억달러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입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앨버타를 중심으로 한 서부 캐나다 일대에 연방정부가 온타리오와 퀘벡 등 동부 지역 이익을 대변한다는 ‘서부 소외론(Western Alienation)’ 정서가 뿌리 깊게 자리잡았다.
분리독립 카드는 연방정부로부터 더 많은 자치권이나 예산을 확보하는 정치적 협상 수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퀘벡주는 여러 차례 분리독립 투표를 통해 연방정부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얻어냈다. 앨버타주 역시 스미스 수상 당선 이후 ‘앨버타 주권법’을 통과시키며 연방정부 법률 적용을 거부할 권한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앵거스 리드 연구소 최근 여론조사에서 앨버타 주민 가운데 25% 정도가 분리독립 지지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브앤메일은 “서부가 느끼는 소외감은 단순한 감정적 문제를 넘어 정치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핵심 동력”이라고 분석했다.
연방정부와 타 지역 반응은 부정적이다. 법적으로도 앨버타주가 분리독립에 성공하려면 갈 길이 멀다. 1998년 캐나다 대법원 결정에 따르면 어떤 주도 일방적으로 독립을 결정할 수 없다. 독립을 위해서는 ‘명확한 다수’의 지지와 연방정부·타 주들과 헌법 개정 협상이 필요하다.
WSJ는 “특정 산업에 경제를 크게 의존하는 주들은 역사적으로 연방정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며 트럼프 재당선으로 북미 정치지형이 변화하는 가운데, 앨버타주 독립 움직임은 카니 정부가 직면한 첫 번째 국내 정치 위기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20분이면 떠나는 ‘숨은 보석’ 보웬아일랜드 당일치기
2025.09.17 (수)
숲·호수·스파까지 하루 만에 만나는 힐링 코스
웨스트밴쿠버 호슈베이 페리 터미널에서 단 20분이면 닿는 보웬 아일랜드(Bowen Island)는 작지만 매력적인 당일치기 여행지다. 브런치로 하루를 시작한 뒤, 숲과 호수에서 자연 속을 거닐며,...
|
학생과 1000통 넘게 사적 연락··· BC 교사 자격 정지
2025.09.17 (수)
1년 넘게 연락··· 교원 자격 15년 정지 처분
▲/gettyimagesbankBC주의 한 고등학교 교사가 학생에게 수천 건의 사적 연락을 보내다 적발돼 15년간 교원 자격이 정지됐다.BC 교원자격규제위원회가 17일 공개한 ‘합의 결정문’에 따르면,...
|
캐나다 빈곤 심화··· 정부 대응은 ‘낙제점’
2025.09.17 (수)
캐나다인 4명중 1명이 빈곤··· 실업률도 급증
학교 급식 확대, 치과보험 등 희망적 신호도
▲/Getty Images Bank 캐나다 내 빈곤과 식량 불안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정책에서는 개선의 조짐도 보이고 있다. 푸드뱅크캐나다(Food Banks Canada)가 16일 발표한...
|
BC주 늦여름 이례적 고온··· 일일 최고기온 속속 경신
2025.09.17 (수)
▲화이트락. /Wikimedia Commons여름이 끝나가는 시점에도 BC 연안 곳곳에서 이례적인 더위가 이어지며 일일 최고기온 기록이 잇따라 경신됐다.캐나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6일 로어...
|
금리 6개월만에 인하··· 2.5%로 하향
2025.09.17 (수)
미 관세 충격 속 경제·고용시장 부진
인플레 완화 흐름··· 추가 인하 가능성도
▲티프 맥클렘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Bank of Canada Flickr 캐나다 기준금리가 경제 부진의 영향으로 6개월 만에 인하되면서 2.5%로 조정됐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은 17일 열린 통화정책...
|
에어캐나다·웨스트젯 승무원, 임금·무급 근무 협상 격화
2025.09.16 (화)
에어캐나다 노사, 임금 문제 놓고 최종 조율
웨스트젯 승무원도 ‘무급 근무’ 문제 직면
에어캐나다와 객실 승무원 노조가 임금 인상 문제에 대한 조정 절차를 생략하고 곧바로 중재(arbitration)에 넘어가기로 합의했다.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을 대표하는 캐나다...
|
완화된 근원 물가, 금리 인하 ‘신호탄’
2025.09.16 (화)
17일(수) 금리 결정 주목··· 3월 이후 첫 인하 가능성
헤드라인 물가 1.9% 반등··· 휘발유 하락세 둔화 영향
▲/gettyimagesbank캐나다의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전년 동월 대비 1.9%로 오르며 7월 대비 반등했다. 휘발유 가격 하락세 둔화가 헤드라인 물가를 끌어올린 가운데, 근원 물가와 경기...
|
“월급으론 부족해” 캐나다인, 창업 열풍 거세다
2025.09.16 (화)
창업 희망 캐나다인 7년만에 최고치
‘창업이 생계 유지할 방법’ 인식 확산
▲/Getty Images Bank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도 창업을 꿈꾸는 캐나다인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로열뱅크캐나다(RBC)가 16일 발표한 스몰비즈니스 여론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
국민 위스키 크라운로얄, ‘왕의 술’에서 ‘배신 상징’으로
2025.09.16 (화)
디아지오, 캐나다 크라운 로얄 공장 폐쇄
86년 자존심 버리고 미국行
▲더그 포드 온타리오 수상이 2일 기자 회견장에서 크라운 로얄 위스키를 땅에 부어 버리고 있다. /Youtube글로벌 주류 기업 디아지오가 캐나다를 상징하는 위스키 ‘크라운 로얄’ 생산...
|
지난 주말 BC주 곳곳 교통사고··· 7명 사상
2025.09.15 (월)
밴쿠버·델타·나나이모 등지서 각각 발생
▲기사와 관련없는 이미지. 지난 주말 동안 BC 곳곳에서 치명적인 교통사고가 잇따르며 운전자 3명과 보행자, 오토바이 동승자 등 5명이 목숨을 잃었다. 밴쿠버 메인 스트리트 남단...
|
우편노조, 전국 전단 배달 중단··· 소상공인 피해 우려
2025.09.15 (월)
캐나다포스트와 갈등 여전··· 15일부터 중단
연말 쇼핑 시즌 앞두고 전단 마케팅 막혀
▲/gettyimagesbank캐나다 포스트와 노조 간 임금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전국 우편 배달원들이 광고 전단 배달을 중단했다.캐나다 우편노조(CUPW)는 지난주 전단 배달 금지를...
|
BC주 적자 역대 최대··· ‘유례없는 빚잔치’
2025.09.15 (월)
재정적자 116억불··· 예상보다 6억불 늘어
탄소세 폐지·부동산 침체로 세수 대폭 감소
▲브렌다 베일리 BC 재무장관 / BC Government Flickr BC 주정부의 재정적자가 예상보다 6억 달러 이상 늘어나 역대 최고치인 116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에는 적자가 더 확대될...
|
팀호튼·캐네디언 타이어, 멤버십 혜택 손잡는다
2025.09.15 (월)
내년 중 포인트 적립 연동 서비스 도입
앞으로 팀호튼에서 커피를 사면 ‘캐네디언 타이어 머니’가 따라올 수 있다.캐네디언 타이어(Canadian Tire Corp.)는 15일 커피 전문점 팀호튼(Tim Hortons)과 로열티 프로그램 제휴를 맺고 내년 중...
|
“안약으로 노안 시력 교정”··· 안경 없는 시대 오나
2025.09.15 (월)
아르헨티나 연구팀 발표
▲/Getty Images Bank특수 안약 한 방울만 눈에 떨어뜨리면 안경이나 수술 없이도 노안 시력을 교정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14일(현지 시각) 영국 가디언지에 따르면,...
|
뉴웨스트서 갑작스러운 정전··· 범인 잡고보니?
2025.09.15 (월)
다람쥐가 변전소 침입해 전력 설비 접촉
▲이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Getty Images Bank 지난 주말 뉴웨스트민스터 일대에서 갑작스러운 정전이 발생했다. 정전의 원인은 다름 아닌...
|
스물에 오른발 잃었지만, 환갑엔 소외된 이들과 매일 함께 걷는다
2025.09.12 (금)
국민훈장 동백장 받은 치과의사 박윤규 원장
우리나라 철도의 철로 폭(표준궤)은 1435㎜다. 성큼 한두 걸음이면 넘어갈 수 있는 거리. 그렇지만 요즘도 비극적인 열차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지난달 경북 청도에서 노동자 7명이...
|
집단폭행 후 영상 온라인 배포··· 10대 7명 체포
2025.09.12 (금)
친구를 집단 폭행한 후 그 장면을 온라인에 올린 10대 7명이 경찰에 체포됐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7월 2일 저녁 밴쿠버 아일랜드 수크(Sooke) 굿메어 로드 인근에서 한 청소년이 다른...
|
BC 공무원 파업 장기화··· 주류 유통 차질 우려
2025.09.12 (금)
주류 유통센터 초과근무 전면 중단
▲/BCGEU Facebook BC주 공무원 노조(BCGEU)의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주류 유통센터에서의 초과근무를 전면 중단했다. 12일 BCGEU의 폴 핀치 위원장은 “정부가 기록적인 주류 수익을 내는...
|
로블로 ‘빵값 담합’ 보상금 신청 시작··· 최대 25불
2025.09.12 (금)
2018년 기프트카드 수령자는 제외
▲로블로 마켓 모습 / Getty Images Bank 로블로(Loblaw)의 빵값 담합 혐의와 관련한 5억 달러 규모 집단소송 배상금 신청이 시작됐다. 배상 대상자는 최대 25달러를 보상받을 수 있다. 11일...
|
광역 밴쿠버 인구 증가세 꺾인다
2025.09.12 (금)
2051년 인구 420만 명 전망··· 성장 속도 둔화
이민 축소 여파··· 밴쿠버·써리 인구 증가 주도
▲/Translink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인구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것으로 보인다. 연방정부가 2025~2027년 이민 목표를 낮추고 비영주권자 유입을 제한하면서, 지역 성장 전망에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