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NHL에 번진 인종차별 미투(Me Too) 운동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11-29 12:44

캘거리 감독 10년 전 인종차별 발언으로 사임
NHL 선수들 인종차별·갑질 고발 이어져

▲ 아킴 알리우(왼쪽)와 빌 피터스 (사진=Akim Aliu Instagram/Calgary Flames Instagram)



캐나다 최고 인기의 스포츠리그 북미하키리그(NHL) 미투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인종차별에 대한 고백이다.


본격적인 NHL 미투 운동은 전혀 생각치 못한 곳에서 시작됐다. 토론토 메이플립스(Maple Leafs) 지난 20, 4 동안 팀을 이끌고 있던 마이크 뱁콕(Babcock) 감독을 성적 부진으로 전격 해고하자 현지 언론은 3 뱁콕 감독이 당시 신인이던 미치 마너(Marner) 괴롭혔던 갑질사건에 대해 보도했다. 그에 흑인계 캐나다인 하키 선수 아킴 알리우(Aliu) 본인도 감독으로부터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다고 털어놓았던 것이 미투 운동의 시작점이었다.


알리우는 지난 25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10 프로 신인 시절 자신이 라커룸에서 틀어 놓은 음악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서 감독으로부터 수없이 많은 인종차별적인 언어(N word) 들었다고 고백했다. 알리우는 트윗에 감독의 이름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하키 팬들은 NHL 캘거리 플레임스를 맡고 있는 피터스(Peters) 감독이라는 것을 쉽게 알아차릴 있었다.


그의 트윗은 팬들을 중심으로 일파만파 퍼지기 시작했고, 당일 바로 플레임스 구단은 피터스 감독에 대한 내부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틀 피터스 감독은 성명서를 통해 10년전 알리우에게 했던 인종차별 발언에 대해 인정하며 사과를 했지만 불길을 진압하기에는 늦었다.


결국 피터스 감독은 29 오전 감독직에서 사퇴했다. 피터스 감독은 지난해 플레임스를 13 만에 처음으로 디비전 우승으로 이끌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던 지도자였다. 그러나 이번 인종차별 스캔들로 피터스 감독이 또다시 NHL에서 감독 자리를 맡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사실 백인 선수들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NHL에서 인종차별 문제는 어제오늘 이야기가 아니다.  그러나 인종차별에 점점 민감해지는 캐나다 사회만큼 캐나다인이 가장 사랑하는 NHL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캐나다 대표 하키 해설가 체리(Cherry) 수십년 전부터 방송을 통해 인종차별적 발언을 여러 차례 해왔지만, 방송국으로부터 별다른 조치는커녕 사과조차 하지도 않고 넘어갈 있었다. 그러나 이번 그는 방송 이민자 차별적 발언을 했다가 그가 30년간 이끌던 TV 프로그램 코치스 코너에서 하차하기도 했다. 피터스 감독이 10 전에 지나가듯이 했던 인종차별 발언으로 인해 사임한 역시 NHL 변화의 바람과 일맥상통하다.


알리우의 고백을 시작으로 많은 유색 인종계 선수들이 용기 얻기 시작했다. 현재 NHL 대표하는 흑인 선수들인 PK 수반(Subban) 웨인 시몬즈(Simmonds) 캐나다에서 어린 시절부터 하키를 하며 수없이 많은 인종차별을 겪었다고 고백했고, NHL 간판 싸움꾼이었던 조지 라롸크(Laraque) 어린시절부터 인종차별을 하는 상대 선수들과 싸우다 보니 최고의 파이터가 됐다며 씁쓸하게 털어놓기도 했다.


인종차별뿐만 아니라 감독으로부터 당한 갑질폭로도 은퇴 선수들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어 NHL 미투 운동은 점점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8주간 이어졌던 파업 사실상 종료
▲/BCGEU Instagram 8주간 이어졌던 BC 공공근로자 노조(BCGEU)의 파업이 사실상 종료됐다.   26일 BCGEU는 성명을 통해 주정부와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며, 2만5000명이 넘는 공공 서비스...
▲22일 흉기 사건이 발생한 장소 인근 모습/구글맵 캡처밴쿠버 다운타운 이스트사이드(DTES)에서 4명을 흉기로 찌른 10대가 경찰에 체포됐다.   밴쿠버경찰(VPD)에 따르면 22일 저녁 6시...
경제 사실상 불황··· 고용시장도 부진
경제 전문가 “다음주 금리 인하 무게”
▲/Bank of Canada Flickr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다음주 기준금리를 두 번 연속으로 인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CIBC의 벤자민 톨 부수석 경제학자는 21일 오타와에서 열린 모기지...
온타리오 수상, “월요일부터 중단 계획”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수상. /Ford Nation Facebook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온타리오주의 반(反)관세 광고를 문제 삼아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하자, 캐나다가 미국 내 광고를...
재난 지원금 매년 10억불 추가 투입 전망
홍수 지원 비용 가장 높아··· 산불·폭풍 뒤이어
▲2021년 애보츠포드 홍수 당시 모습 / Abbotsford Police 캐나다 정부가 매년 반복되는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연방 차원의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릴 계획이다.   23일...
전체 직원의 1%··· “운영엔 차질 없어”
▲/gettyimagesbank에어캐나다가 파업으로 인한 재정 손실을 이유로 약 400명의 관리직 인력을 감축한다.에어캐나다 앤젤라 마 대변인은 24일 성명을 통해 “전체 직원의 약 1%에 해당하는 일부...
지출 확대에 적자 쌓여··· 순부채 10년새 4배 증가
부채 이자도 늘어··· “대가는 BC 주민들이 치를 것”
▲/BC Government Flickr BC 정부의 순부채가 2027-28 회계연도에는 2016-17년 대비 4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증가한 부채로 매년 수십억 달러의 이자비용이 발생해, 주민들의 세금...
올가을 최대 강풍, 남부 해안 강타
일시적 소강 후 주말 폭풍 재접근
▲24일 밴쿠버 아일랜드 윈터하버 지역이 폭풍으로 피해를 입고 소규모 산사태가 발생했다. /BC Hydro태평양 연안에서 몰아친 강력한 폭풍이 24일 BC 전역을 덮치며 곳곳에서 정전과 교통...
가상 소통에만 의지하면 외로움 커져
▲/Getty Images Bank 기술 발전으로 소통 방식이 다양해졌지만, 가상 소통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 친구 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24일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LA 다저스의 오타니 쇼헤이(왼쪽)와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 MLB Instagram메이저리그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2023년 12월 당시 자유계약선수(FA) 신분이던...
광역 밴쿠버 빛내는 ‘파스타 맛집’ 7곳 소개
매년 10월 25일은 ‘세계 파스타의 날’. 미식 도시 밴쿠버 곳곳에서도 스파게티, 넓적한 딸리아텔레, 나선형 로티니, 만두 같은 라비올리와 카펠레티까지, 다양한 파스타 맛집을 만날 수...
온타리오, ‘관세의 해악’ 말한 레이건 연설 삽입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제작한 ‘관세 반대’ 광고 일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1987년 4월 한 라디오 연설 장면이 삽입됐다. /X(옛 트위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웃 국가이자...
G7 국가 최초로 SMR(소형모듈원전) 개발
120만 가구 전력 공급··· 탄소배출 감소 기대
▲23일 보우먼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마크 카니 총리(왼쪽)와 더그 포드 온타리오 수상이 악수를 하고 있다. / Doug Ford X 캐나다와 온타리오 정부가 30억 달러를 투자해 G7 국가 최초의...
목요일 밤부터 금요일 내내 강한 비
▲/Getty Images Bank 밴쿠버를 비롯한 BC주 해안가 지역에 큰 비가 내릴 전망이다.   23일 오전 기상청은 광역 밴쿠버 지역에 목요일 밤을 시작으로 금요일 밤까지 강풍을 동반한 강한 비가...
위지언 마시 리저널 공원, 일반인 출입 허용
▲Widgeon Marsh Regional Park /MVRD그동안 일반인 출입이 금지됐던 ‘위지언 마시 리저널 공원(Widgeon Marsh Regional Park)’이 오는 11월 1일부터 제한적으로 개방된다. 코퀴틀람 센터에서 차로...
카니 “비(非)미국 지역 수출 두 배 확대 목표”
‘냉랭’ 중국과 해빙 움직임··· 카니, 한국 순방
▲지난 17일 아니타 아난드 외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해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 Anita Anand X 캐나다가 미국과의 무역 갈등을 계기로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에 나서고...
산업관계위, 노조 주장 받아들이지 않아
노동계 “정부가 개입해 파업 강제 종료”
▲/gettyimagesbank캐나다 산업관계위원회(CIRB)가 캐나다포스트 노동 조합(CUPW)이 제기한 ‘정부의 업무 복귀 명령은 위헌’이라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12월 13일,...
▲/Getty Images Bank대한항공은 캐나다의 2대 항공사인 웨스트젯의 지분 인수를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웨스트젯의 이사로 선임됐다.대한항공은 이날 캐나다...
필수 서비스는 계속 제공 예정
▲/BCGEU Instagram BC 공공근로자 노조(BCGEU)와 주정부 간 중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산불 진압대원과 산림부 직원들도 파업에 동참하며 정부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다.   22일 BCGEU는 산불...
어려운 결정 끝에··· 10/26 이후 운영 종료
▲/Google Maps80년 역사의 오랜 영화관인 밴쿠버 파크 시어터(Park Theatre)가 이번 주말을 끝으로 문을 닫는다. 캠비 스트리트에 위치한 파크 시어터는 밴쿠버 내 다섯 개 시네플렉스(Cineplex)...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