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 원화 환율 ‘날개 없는 추락’

김혜경 기자 khk@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8-06 14:56

하루 만에 미화대비 1.5% 하락...中위안화보다 더 떨어져
미 연준 추가 금리인하 유력...루니 대비 1천원돌파 ‘적신호’



한국 원화 환율이 하루 만에 캐나다 달러에 대해 1.22% 떨어지는 등 환율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원화 환율은 미 달러에 대해서도 1.5%가 떨어지면서 1216원으로 3년 5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 원화의 하락폭은 중국 위안화(1.4%)보다 더 클 정도로 외환시장에서 두드러진 약세를 보였는데 미국 달러당 위안화 가치는 지난 5일 역외 시장에서 종전 거래일에 비해 1.6% 하락, 7.0898 위안까지 떨어졌다. 

위안화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달러당 7.0위안`을 돌파하는 `포치(破七)`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중이던 2008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이런 환율시장 혼돈이 계속되는 와중에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서 환율전쟁의 방아쇠를 당겼다. 이로 인해 앞으로 한국 원화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원화 환율이 유독 큰 충격을 받은 것은 미중 무역전쟁 심화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대상국) 배제라는 악재에 동시에 노출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원화 약세 현상이 단기간에 해소될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으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이같은 대외 요인으로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주요 2개국(G2)의 경제 패권 전쟁, 한일 경제 갈등은 후발주자를 견제하려는 주도권 싸움이라는 맥락이 혼재돼 있기 때문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현재의 세계 경제를 1980년대 미일 분쟁 때처럼 국제 무역질서의 큰 틀이 바뀌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 

당시 미국은 일본의 부상을 막기 위해 플라자 협정을 통해 엔화 가치를 크게 끌어올렸다. 동시에 일본 제조업 견제를 위해 수출쿼터 등 자율 규제를 요구했고 첨단 산업이었던 반도체의 경우 일본을 통상법으로 제소해 일본 시장 내 해외 반도체 쿼터를 대폭 늘리는 식으로 대응했다. 

이같은 미국의 압력에 일본은 반도체 주도권을 한국, 대만 등에 내줄 수밖에 없었다.

지금 상황이 그때와 다른 건 일본과 달리 중국은 미국에 안보를 기대지 않고 있고 경제 규모와 외교 자산 역량도 다르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더 커지는 형국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갈등은 자유무역 질서와 안보 문제 등이 연결돼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며 “아직은 아시아에 국한된 현상이지만 글로벌 경제 질서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국제교역 환경의 거대한 풍랑 속에서 캐나다 달러는 당분간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2.00~2.25%로 0.25%포인트 내리면서 캐나다와 금리차가 0.25%포인트로 좁혀졌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자신의 트위터에 "중국이 역사상 최저 수준으로 자신들의 화폐 가치를 떨어뜨렸다. 명백한 `환율 조작‘이다. 연방준비제도(Fed)는 이같은 상황을 보고 있나"고 지적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이에 따라 당초 올 연말쯤 한 차례 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됐던 연준이 다음 달에도 또 다시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하겠다는 트럼프의 10% 추가 관세가 이미 피로감을 보이는 미국 경제 성장세를 급격히 둔화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이 가중되면서 통상 경기침체 이전에 나타난다는 장단기 금리역전까지 심화하고 있다. 단기 금리인 3개월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지난주 장기 기준물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을 크게 앞지르며 수익률 곡선 역전을 심화시켰다. 미 경제 둔화세가 강화될 것임을 예고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월가의 금융 전문가들은 앞으로 3차례 남은 올해 연방 공개시장 위원회(FOMC) 회의에서 최소 2차례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캐나다 연방 중앙은행이 이자율을 인하하지 않는다면 미국과 이자율 역전 현상이 발생하면서 루니가 더욱 강세를 보일 것이 유력하다. 

외환 전문가들은 연말 정도 미화 대비 80센트선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현재의 외환시장 환경하에서는 루니의 상승세가 더욱 빨라 질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이같은 루니 강세 추세를 고려하면 한국 원화 환율은 올 연말 정도에는 1천원대에 근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국제 무역전쟁의 직격탄을 맞은 한국 원화가 앞으로 힘겨운 행보를 이어갈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유학생 가족을 비롯해 한국과 교역하는 무역업자 등 해당 한인들의 각별한 외환 관리가 절실한 시점으로 보인다. 

김혜경 기자 khk@vanchosun.com



.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광복 80년, 한일 수교 60년 맞은
손기정 아들 손정인씨의 마지막 귀향
한국의 첫 ‘월드 클래스’ 스포츠 스타 손기정의 외아들 손정인씨는 본지 인터뷰에서 “강직하고 고지식한 양반이었다”고 회상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 손기정이 결승선을 끊는...
캠비 스트리트, 밴쿠버의 개성 잘 보여줘
▲캠비 스트리트가 시작되는 개스타운의 증기시계 / Getty Images Bank 밴쿠버의 캠비 스트리트(Cambie Street)가 세계에서 가장 멋진 거리 중 한 곳으로 인정을 받았다.   세계 여행·문화...
소포 경쟁·노사 분쟁 여파, 올해 최악의 실적 전망
누적 손실 55억 달러 넘어··· “사업 모델 전환 필요성”
▲/gettyimagesbank올해 초 10억 달러 연방 대출로 시작한 캐나다포스트가 계속된 적자로 내년 초까지 추가 구제금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올해는 회사 역사상 최악의 회계 연도가...
캐나다인 28% 소포 도난 경험
집 앞 소포 방치하지 말아야
▲/RCMP 최근 현관 앞 놓인 택배를 훔쳐가는 ‘현관 절도(Porch Pirates)’ 피해가 증가하면서, 블랙프라이데이와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페덱스(FedEx)의 최근...
3분기 소매판매 0.2% 증가 그쳐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아
▲/Getty Images Bank 금리가 인하됐음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은 이어지면서, 연말 쇼핑철을 앞둔 캐나다 소비자의 소비 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21일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폭우 지나 기온 뚝··· 산간 지역 눈 예상
BC정부, 주민들에 “본격 겨울 대비해야”
▲/gettyimagesbank메트로 밴쿠버 지역 주민들은 이번 주말 폭우를 지나 다음 주부터 체감 온도가 뚝 떨어지는 변화를 경험할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ECCC)는 북극 기단이...
이번 ‘블프’에 꼭 사야 할 아이템
블랙프라이데이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경기 침체로 지갑이 얇아지면서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대규모 할인 행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뜨겁다. 1년에 한 번 찾아오는 ‘쇼핑...
12월 12 ·13일 랭리서 시사회 진행
경계선 장애 아동의 200일 여정을 담아
캐나다 밴쿠버에 본부를 둔 한인 방송 채널 KTV Media Production Inc.가 경계선 장애(BSD)를 가진 아동과 가족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경계선 장애 아이들, AI로 날다>를 제작, 오는...
학교 필드트립 중··· 초등학생 등 2명 위독
▲곰 습격으로 부상을 당한 학생들이 재학 중인 액살크타 스쿨 / acwsalcta.ca BC주 북부의 작은 마을에서 초등학생들과 교사들이 필드트립 중 회색곰(그리즐리곰)의 습격을 받아 11명이...
로즈재단 CEO로 임명··· 내년 7월 업무 시작
차기 총리 후보 1순위였지만··· 카니에게 밀려
▲올 9월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의원이 교통·내부무역부 장관 사퇴 발표 후 본인의 SNS에 올린 마크 카니 총리와의 사진 / Chrystia Freeland X 저스틴 트뤼도 전 총리의 오른팔이자 한때 차기...
12월 2일 예약 접수 시작
▲Bowron Lake / BC Parks인기 아웃도어 명소인 버그 레이크 트레일(Berg Lake Trail)과 보우런 레이크 카누 서킷(Bowron Lake Canoe Circuit)의 2026년 성수기 예약 접수가 곧 시작된다. BC 환경공원부는...
2027년 오픈 예상··· 일부 공간만 채울 듯
▲퍼시픽센터에 들어설 아릿지아 플래그십 매장 예상 렌더링 / Aritzia 밴쿠버 패션 리테일러 아릿지아(Aritzia)가 구 노드스트롬(Nordstrom) 자리에 있는 CF 퍼시픽센터(CF Pacific Centre)에 새...
일부 주민, 교통량 증가와 환경 영향 우려
▲/Open Grid Scheduler써리 시의회가 사우스 써리 지역에 대형 도매업체 코스코의 신규 지점 건립을 승인한 가운데, 일부 주민들이 교통량 증가와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유통기한 오해로 가정당 매년 246불 낭비
냉동 육류 1년, 유제품 2주 지나도 섭취 가능
▲/Getty Images Bank ‘유통기한(Best Before Dates)’에 대한 혼동으로 엄청난 양의 음식물이 버려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잉여 식품 거래 플랫폼 투굿투고(Too Good To Go)가 18일...
야당 모두 반발··· “투명성 부족·필요성 의문”
일부 환영도··· 퍼스트 네이션 프로젝트 지지
BC 주정부가 정치적 명운을 걸고 추진한 수십억 달러 규모 송전선 법안이 야당의 거센 반발 속에서도 20일 주의회에서 가결되며, 북부 전력망 확충 계획이 본격화됐다.BC 주의회는 20일,...
추가 절차 없이, 타주 판매 가능··· 식품 제외
2000억 달러 경제 창출 기대··· 업계 환영
▲/BC Government Flickr 캐나다의 모든 주(州) 간 교역 장벽이 완화되면서, BC주 기업들이 캐나다 전역에 더 수월하게 제품을 판매하고 소비자들도 캐나다산 제품을 더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일요일 오후 그라우스 마운틴서 마지막으로 목격
▲16일(일) 오후 그라우스 마운틴서 실종된 김원길 씨. 오른쪽 사진은 마지막 목격 당시 모습/ SPS, North Shore Rescue 84세 한인 김원길 씨가 그라우스 마운틴에서 실종된지 닷새째가 됐지만,...
온타리오·BC는 여전히 상승세
▲/gettyimagesbank캐나다의 모기지 연체율이 3년 만에 처음으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온타리오와 BC에서는 연체가 계속 증가하며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한 모습이다. 캐나다...
타임아웃 ‘2026 머스트 트립’ 13선에 포함
▲/The Rocky MountaineerBC주와 앨버타를 잇는 신설 열차 노선이 2026년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열차 여행 코스 중 하나로 선정됐다.이번 선정은 세계 여행·문화 매체 타임아웃(TimeOut)이 내년...
한인 셰프 운영 ‘스시현’ 4위 올라
▲/Sushi Hyun 캐나다 신상 레스토랑 톱10에 밴쿠버 식당 4곳이 포함됐다.   17일 에어캐나다(Air Canada)는 2024년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새롭게 문을 연 캐나다 식당 가운데 최고 10곳을...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