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리 석세스 한인 담당 장기연씨가 알려드립니다
"BC주 임대 주택 어떻게 입주할까?"
써리 석세스에서 한인 정착 담당으로 근무 중인 장기연씨의 <BC하우징의 모든 것, 임대주택부터 렌트비 보조까지>가 총 3주에 걸쳐 연재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임대 주택 신청 자격과 입주 과정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편집자 주
BC주가 제공하는 임대 주택 신청
임대주택에는 월소득의 30%를 임대료로 내는 ‘정부보조 임대주택(Subsidized Housing)’과 실제 시장가격 보다는 저렴한 임대료를 내게 되는 ‘저가 임대주택(Affordable Rental Housing)’이 있다.
“정부보조 임대주택은 누가 신청할 수 있나”
BC 하우징이 제공하는 모든 임대주택과 비영리 주택회사가 제공하는 일부 임대주택은 입주자 월소득의 30%를 임대료로 지불하는 정부보조 임대주택이다. 이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신청자는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가족이거나 ▲55세 이상 노인이거나 ▲장애인이거나▲ 집이 없거나 없어질 위험이 있는 저소득 독신 또는 부부 중 하나에 해당돼야 한다.
또한 ▲신청자와 가족 모두 BC주에 거주하며 ▲캐나다 시민권자, 영주권자, 혹은 난민자만 신청할 수 있다. ▲가족 초청 이민자는 계약기간이 종결되어야 한다(부모초청 10년, 부부초청 3년). ▲신청가족의 연 총소득이 밴쿠버 경우 원룸 3만8500달러, 1침실 4만2500달러, 2 침실 5만2000달러, 3 침실 6만4500달러, 4 침실은 6만8500달러 이하여야 신청 가능하다. ▲자산총액은 신청자 및 가족의 부동산, 주식, 사업체, 은행 잔고 등을 포함하여 10만달러 이하여야 한다.
“정부보조 임대주택 및 저가 임대주택은 어떻게 신청하나”
BC 하우징 웹싸이트(www.bchousing.org)에서 정부보조 임대주택과 저가 임대주택 목록을 함께 볼 수 있다. 주택목록(Housing Listings)은 다음 두가지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하나는 PDF파일로 열어보는 것이다. 이때 목록 첫 부분은 BC 하우징이 관리하는 주택들로 하나의 등록 신청서(The Housing Registry)에 원하는 주택의 코드번호들을 적어 BC 하우징에 신청서를 제출한다. 목록 두 번째 부분은 BC 하우징에 소속되지 않은 비영리 주택이나 조합 주택들로 직접 원하는 주택 운영사무소에서 신청서를 받아 제출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BC 하우징 웹싸이트에서 검색범위를 좁혀가며 원하는 주택목록을 보는 것이다. 주택단지의 위치, 입주자격,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나와있다. 참고로 BC 조합주택은 자체 웹싸이트(www.chf.bc.ca)에 현재 신청 가능한 주택 목록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하고 있다.
“입주자 선정 기준과 대기 시간”
BC 하우징이 제공하는 임대주택은 신청 순서대로 입주기회를 주기도 하지만 대개 긴급한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므로 늦게 신청한 가족이 먼저 입주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입주까지는 평균 2-5년의 대기 시간이 소요된다. 비영리 주택이나 조합 주택들의 선정 기준은 BC 하우징과 다를 수 있으므로 자격 요건과 대기 시간에 대해 직접 문의해 본다.
“신청 후에도 계속 업데이트 해야”
신청서 접수 후 긴 대기 시간 동안 가족사항, 주소 혹은 연락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신청서에 기재했던 내용 가운데 변동사항이 있으면 수시로 알려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6개월 마다 신청서를 업데이트 해야 한다. BC 하우징에 신청서를 제출한 경우에는 BC 하우징에 업데이트 하며(전화 604-433-2218), 비영리 주택이나 조합주택의 경우에도 각 운영사무소에 수시로 혹은 6개월 마다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
“몸이 불편한 노인을 위한 보조 임대주택 두 가지”
하나는 ‘노인 보조 임대주택(Senior’s Supportive Housing)’이다. 신청자격은 저소득이며 약간의 도움만 있다면 혼자 생활하는데 문제가 없는 노인이다. 신청자는 본인의 건강 상태를 증명해야 하며 주택 운영자와 의료 관계자가 이를 검토해 입주를 판단한다. 입주자는 총소득의 50%를 생활비로 내게 된다. 이 중 20%는 서비스 패키지 비용(하루 한 끼 식사, 주 1회 청소, 24시간 상시 대기)이다. 신청방법은 일반 임대 주택과 동일하다. BC하우징에 등록된 곳은 신청서(The Housing Registry)에 원하는 주택의 코드번호를 적어 제출한다. BC하우징에 등록되지 않은 비영리 주택은 직접 운영사무소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의료서비스가 더 한층 강화된 ‘보조 임대주택(Assisted Living)’이다. 저소득이나 중간 소득자로 치매증상은 없으나 혼자서 안전하게 생활하기 힘들어 정기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신청 가능하다. 입주자는 서비스 패키지 비용(하루 두 끼 식사, 청소, 세탁, 목욕, 미용, 옷 입기, 약 복용, 24시간 상시 대기)과 임대료를 합하여 순소득의 70%를 내야 한다. 신청은 지역 보건청을 통해서 하며 케이스 매니저가 자격을 인정하면 신청서를 작성해 BC 하우징이나 비영리 주택단지 사무소에 제출한다. 자격여부를 평가받기 위해서는 거주지역에 따라 다음 연락처로 문의해야 한다. 밴쿠버 코스탈 보건국(노스쇼어 604-986-7111, 리치몬드 604-278-3361, 밴쿠버 604-263-7377), 프레이져 보건청(1-855-412-2121)
자주 묻는 질문들
Q: 임대주택에 빠른 입주를 위해 주의해야 하거나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이 있나요?
A: 소수의 주택만 신청하는 경우 대기시간이 무한정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여러 주택들에 신청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주택공사로부터 입주요청을 받았을 때 2회 이상 거절하면 신청자체가 무효가 되기 때문에 신청 전에 주택단지의 위치, 주변환경, 입주자의 의견 등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BC 하우징의 입주자격에 맞지 않더라도 비영리주택이나 조합주택의 신청은 가능한 경우가 있다. 각 운영사무소에 문의하고 신청서를 제출해 본다. 특히 접수 대기 중에라도 새로 신청을 받는 단지가 나오면 신청양식을 받아 제출하는 것도 입주 기회를 높이는 방법 중 하나다. 신청서에 기재하는 주간 및 야간 연락처를 정확히 남겨서 입주하라는 전화에 답하지 못하여 입주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Q: 가족이 신청하는 경우에 침실의 수는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나요?
A: 임대주택 신청 시 가구당 주거의 규모는 캐나다 주거 점유 기준(National Occupancy Standards)에 따른다. 침실당 거주 인원은 최소 1인, 최대 2인에 한하며, 부부와 커플은 1침실을 사용한다. 부모는 자녀와 침실을 함께 쓰지 않으며, 18세 이상 부양가족은 다른 사람과 침실을 함께 쓰지 않는다. 5세 미만인 이성 자녀들은 침실을 함께 사용하지만 5세 이상인 이성 자녀들은 침실을 따로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부모와 18세 아들, 10세 아들, 7세 딸 그리고 5세 딸이 있는 가족은 4개의 침실을 사용한다.
Q: 임대주택 신청 시 미성년 자녀(dependent child)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A: 자녀가 19세 미만 이거나 25세 미만이며 풀타임으로 대학교나 직업훈련학교에 등록된 경우 미성년 자녀로 정의한다. 그러나 자녀에게 정신질환이나 신체질환 등이 있어 소득세 보고 시 장애인으로 보고하는 경우에는 연령과 상관없이 미성년 자녀로 인정된다.
장기연
써리 석세스 100-15117 101Ave Surrey. ☎ (604)588-6869(Ext 231)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무료 예식' 1만5000쌍···아버지 원망하던 아들은 이제 행복을 찍는다
2025.05.02 (금)
58년간 '완전 무료' 신신예식장
아버지 꿈을 잇는 백남문 대표
경남 창원 신신예식장에서 백남문(왼쪽) 대표와 어머니 최필순씨가 웨딩 촬영을 준비하고 있다. 1967년부터 지금까지 1만5000여 쌍이 이곳에서 무료 결혼식을 올렸다. “나처럼 돈이 없어...
|
BC 산불시즌 벌써 시작? 북부 마을서 활활
2025.05.02 (금)
포트 세인트 존에 대피령 내려지기도
포트 세인트 존에서 진행 중인 산불 모습 / BC Wildfire Service 5월 초부터 북부를 비롯한 BC주 전역에서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본격적인 산불철을 앞두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
|
충격패 딛고··· 폴리에브, 의회 재입성 파란불
2025.05.02 (금)
앨버타 보수당 의원, 폴리에브 의석 위해 사임
카니 “보선 조속히”··· ‘보수당 텃밭’ 승리 확정적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 이번 총선에서 충격 낙선으로 리더십에 경고등이 켜진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가 보궐선거를 통해 의석을 되찾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
시애틀 외식·관광 업계, “캐나다 방문객은 30% 할인”
2025.05.02 (금)
사과와 감사의 의미로··· 5월 9일부터 3일간
▲시애틀에 위치한 아이바르 식당 전경. 시애틀의 여러 식당과 관광 업체들이 캐나다 여행객들에게 할인과 함께 사과의 뜻을 전하고 있다. 시애틀의 유명 해산물 레스토랑 체인...
|
카니 시대 개막··· 외교·내정 본격 행보
2025.05.02 (금)
다음주 트럼프와 회담··· 리더십 시험대 올라
7월부터 소득세 인하·州간 무역장벽 제거 찰스 3세 개원 연설··· 주권 강화 의지 보여
연방 총선에서 승리한 마크 카니 총리가 다음 주 도널드 트럼프와의 회담을 시작으로 총리로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이 회담에서 어떤 성과를 얻어내느냐에 따라, 정치 신인인 카니...
|
[AD]한인업체 로얄캐네디언 추모 동참 ‘하루 수익 전액 기부’
2025.05.02 (금)
5월 3일 한남 스토어 매출 전액 유가족에 전달 약속
지난 26일 밴쿠버 라푸라푸데이 축제 현장에서 발생한 차량돌진 사고와 관련해, 로얄캐네디언(Royal Canadian)이 희생자들과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 지원에 동참한다. ...
|
美 “캐나다·멕시코 車 부품은 25% 관세 예외”
2025.05.02 (금)
미국 정부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적용받는 자동차부품에는 오는 3일(현지시각)부터 발효되는 25% 부품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밝혔다.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일...
|
엄마 마음 사로잡는 ‘마더스데이’ 효도 아이템
2025.05.02 (금)
밴쿠버만의 감성 담긴 ‘맞춤 선물’ 6종
어머니에게 감사를 표하는 마더스 데이(5월 11일)가 성큼 다가왔다. 올해 마더스 데이에는 뻔하고 진부한 선물보다는 ‘밴쿠버의 감성’를 담은 특별한 선물을 준비해 보는 것은 어떨까?...
|
차량 참사로 가족 잃은 소년, 슬픔 속 나눔 실천
2025.05.01 (목)
부모·동생 잃은 16세 소년 앤디 레 군
“모금액 52만불 중 절반 다른 유가족에 전달”
라푸라푸데이 참사로 부모와 동생을 잃은 16세 앤디 레(왼쪽에서 두 번째)군이 본인에게 전달된 모금액 중 절반을 다른 유가족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 GoFundMe 라푸라푸데이 참사로...
|
캐나다 우편 파업, 5월 재점화 위기
2025.05.01 (목)
캐나다포스트 노조, 5개월 만에 파업 가능성
22일 이후 우편 또 멈추나··· 은행들 ‘비상’
캐나다포스트 노동조합이 다시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지난해 벌어졌던 전국 규모의 파업이 종료된 지 5개월 만이다. 캐나다포스트 노사 간 기존 단체 협약이 오는 5월 22일...
|
캐나다의 ‘최다 불만’ 통신사는 어디?
2025.05.01 (목)
텔러스·로져스·벨 순··· 4위 샤는 194% 급증
“통신사 계약시 보장 내용 꼼꼼히 살펴야”
고객들의 불만이 가장 많이 접수된 캐나다 통신사는 텔러스(Telus)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신-텔레비전 서비스 불만사항 위원회(CCTS)가 30일 발표한 2024-2025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
밴쿠버 참사 애도··· 5월 2일 ‘추모의 날’ 지정
2025.05.01 (목)
현행 정신 건강법도 전면 검토 착수
▲지난 26일 발생한 참사 현장 인근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민들의 꽃다발과 메시지, 촛불 등이 놓여져 있다. / 손상호 기자밴쿠버 필리핀 거리 축제에서 발생한 차량 돌진 참사로 11명이...
|
허드슨베이 자산 인수戰··· 캐네디언 타이어도 가세
2025.05.01 (목)
인수 희망자 속속··· 최대 18개 입찰자 경쟁 중
재정난에 처한 캐나다 백화점 체인 허드슨베이(Hudson's Bay)가 자산 매각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캐네디언 타이어(Canadian Tire)가 일부 자산에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다.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
화이트캡스, 메시 넘고 챔피언스컵 결승행
2025.05.01 (목)
마이애미 상대 1·2차전 합계 5대1 대승
캐나다 연고팀 최초 우승까지 1승 남겨
30일 플로리다에서 열린 CONCACAF 챔피언스 4강전 2차전에서 밴쿠버 화이트캡스의 페드로 비테가 역전골 후 기뻐하고 있다 / Vancouver Whitecaps X 밴쿠버 화이트캡스가 리오넬 메시를 또 한 번...
|
BC주, 단기 임대 플랫폼 등록 검증 기한 연장
2025.05.01 (목)
6월 1일까지로··· 호스트는 등록 미리 마쳐야
BC주 정부가 단기 임대 플랫폼에 요구한 호스트 등록 검증 기한을 한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앞서 에어비앤비·VRBO 등 플랫폼은 이번 주 목요일까지 단기 임대 호스트가 정부 등록번호를...
|
“꿈나무들의 한글 사랑 담은 축제 한마당”
2025.04.30 (수)
한글학교 한자리 모인 ‘어울림 한마당’ 개최
캐나다 서부 한글 학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어울림 한마당’이 ‘한글아~놀자!”라는 주제로 지난 26일 써리 소재 퍼시픽 아카데미에서 개최됐다. 캐나다 서부지역 한국학교...
|
메트로 밴쿠버, 재산세 올려 버스 운행 늘린다
2025.04.30 (수)
내년부터 버스 서비스 5% 확대
재원은 재산세 인상으로 충당
메트로 밴쿠버 지역 대중교통이 내년부터 확대된다. 메트로 밴쿠버 시장협의회(Mayors’ Council)는 30일 2025년 투자 계획을 승인하고, 버스 서비스 확대와 신속 대중교통망 구축을 본격...
|
BC주, 최대 4000달러 전기차 보조금 중단
2025.04.30 (수)
5월 15일부터 한시적으로··· 세부사항 추후 공개
BC 주정부가 최대 4000달러를 지원하던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을 오는 5월 15일부터 일시 중단한다.BC 에너지부 아드리안 딕스 장관은 30일 성명을 통해 “지난 1월 연방정부 EV 보조금이...
|
숨 고르던 加경제, 2분기에 요동치나?
2025.04.30 (수)
2월 마이너스 성장··· 1분기 성장률 미미
美 관세발 경제 위기, 2분기 본격 시작
미국과 무역전쟁 여파로 캐나다 경제의 불안 조짐이 조금씩 감지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위기는 2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연방 통계청은 지난 2월 캐나다의...
|
韓대행, 캐나다 자유당 정권 재창출에 축전
2025.04.30 (수)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 Mark Carney Instagram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30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집권 자유당의 총선 승리를 축하하는 전문을 보냈다고 국무총리실이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