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선단체인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공동 대표 빌 게이츠가 올해 포브스가 선정한 미국 최고 갑부에 이름을 올렸다. 게이츠는 이로써 19년 연속으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 1위부터 5위까지 순위 변화 없어
19
일(현지시각)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2012년 미국의 400대 부호" 리스트에 따르면, 게이츠의 자산은 지난해보다
70억달러 늘어난 660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2위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보다 200억달러 이상 큰 규모다. 게이츠는
지난 1993년 이후 19년 연속으로 미국 내 최대부호 자리를 유지했다.
게이츠와 버핏을 포함한 1위부터 5위까지의
순위는 지난해와 똑같았다. 3위는 총 자산 규모가 410억달러로 집계된 소프트웨어(SW) 회사인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회장이
차지했고, 에너지 기업 코치 인더스트리의 찰스 코치, 데이비드 코치 형제가 310억달러로 공동 4위에 올랐다.
6위
부터 9위는 월마트 창업자 샘 월튼의 가족들이 차지했다. 샘 월튼의 둘째 며느리 크리스티 월튼이 279억달러로 6위, 셋째 아들 짐
월튼이 268억달러로 7위, 막내딸 앨리스 월튼이 263억달러로 8위, 장남 롭슨 월튼이 261억 달러로 9위에 올랐다.
10위는 250억달러를 보유한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이 차지했다.
반면 지난해 7위를 차지했던 조지 소로스 소로스 펀드매니지먼트 회장은 올해 12위로 떨어졌다. 카지노 황제로 불리는 셸던 아델슨 라스베이거스 샌즈 그룹 최고경영자(CEO) 역시 지난해 8위에서 올해 공동 12위로 떨어졌다.
◆ 희비 엇갈린 SNS 창업주들… 재미교포 부부도 이름 올려
지난해 순위에 지각변동을 가져왔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 창업주들은 올해 희비가 엇갈렸다.
지
난해 14위를 차지했던 페이스북의 창업주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36위로 떨어졌다. 나스닥 상장 이후 페이스북의
주가가 폭락했기 때문이다. 저커버그의 자산은 지난해 175억달러에서 올해 94억달러로 47%가 줄어들었다. 지난해 293위였던
그루폰 공동 설립자 에릭 레프코프스키 회장과 212위였던 마크 핀커스 징가 회장 모두 올해 순위에서는 탈락했다. 에릭 레프코프스키
회장의 그루폰 지분 가치는 지난해 11월 상장 당시 40억달러에서 올해 8억달러로 줄어들었다. 징가의 주가는 현재 최고가의
20%를 밑돌고 있다.
그러나 트위터의 창업자였던 잭 도르시 스퀘어 CEO는 올해 자산이 11억달러로 불어나며, 392위에 이름을 올렸다.
금융계에선 기업 사냥꾼으로 유명한 칼 아이칸 아이칸엔터프라이즈 회장이 21위, 존 폴슨 폴슨앤드컴퍼니 회장이 28위, 채권왕 빌 그로스 핌코 최고투자책임자(CIO)가 206위에 올랐다.
그 밖에도 재미교포 장도원, 장진숙 부부가 79위에 이름을 올렸다. 패스트 패션 기업 포에버21을 운영하는 이들 부부는 총 자산 45억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88위에서 순위가 올랐다.
스
티브 잡스의 유산을 상속받은 잡스의 부인, 로렌 파월 잡스는 110억달러로 28위를 차지했다. 그는 올해 400대 부자 순위에
새로 진입한 사람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400대 부자 가운데 여성은 45명으로 작년보다 3명 늘어났다.
◆ 400대 부자들 자산 합치니 미국 GDP 8분의 1
조
사 결과, 포브스가 선정한 올해 400대 미국 부자들의 총 재산은 지난해보다 13% 늘어난 1조70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회계연도 기준 미국 GDP(국내총생산)인 13조5600억달러의 12.5%에 해당한다.
포브스는 전문가를 인용해 "미국 내 부호들의 자산 증가율이 미국 경제성장률을 크게 웃돈 점으로 미뤄볼 때, 미국 내 빈부격차가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400대 부자들 사이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400
대 부자들이 가진 자산의 평균치도 42억달러를 기록해 지난해보다 10% 증가했다. 이는 포브스가 미국 내 400대 부호 리스트를
작성한 이후, 가장 높은 기록이다. 가장 마지막인 400위의 재산도 11억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10억5000만달러보다 늘었다.
포브스는 400명 중 241명의 자산이 늘어난 반면, 66명은 자산이 줄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주로 주식 가치나 부동산 가격, 예술품 가치 상승 등을 통해 자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진우 기자 ojo@chosun.com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미국은 패스” 캐나다인, 바다 건너 여행 간다
2025.08.25 (월)
올 1분기 미국 방문 뚝··· 국내 여행 증가
미국 외 해외 여행 급증··· 멕시코·도미니카 인기
▲/Getty Images Bank 올 1분기 캐나다인들은 미국 여행을 대폭 줄이는 대신 국내와 미국 외 해외 국가 방문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
캐나다 연방 공무원이 꼽은 ‘최악의 직장’ 어디?
2025.08.25 (월)
2024 직장 만족도 조사··· CBSA·CSIS 최하위
▲/gettyimagesbank캐나다 연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국경서비스청(CBSA)과 캐나다안보정보국(CSIS)이 ‘일하기 좋은 직장’ 추천도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25일...
|
李대통령, 백악관 도착··· 한미 정상회담 시작
2025.08.25 (월)
백악관 공지는 12시, 예정보다 30분 늦게 시작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의 백악관에 도착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앞(Greeting entrance)에 나와 이 대통령을 맞았다. 이 대통령은 차에서 내려 트럼프 대통령과 악수했다.양 정상은 백악관 안으로 이동해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
난타부터 원주민까지··· 버나비를 채운 다문화 리듬
2025.08.25 (월)
제3회 다문화 드럼 축제 성료
제3회 다문화 드럼 축제(Multicultural Drum Festival)가 23일 오후 버나비 브렌트우드 몰 플라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MDF 소사이티(위원장 장민우)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어메이징...
|
메트로밴쿠버, 산불 연기로 대기질 악화
2025.08.25 (월)
스모그 경보 월요일까지 이어질 듯
▲프레이저 캐니언 예일 북쪽에서 발생한 세일러바 산불. /BC Wildfire Service 메트로밴쿠버 동부와 프레이저밸리 중·동부 지역에 내려진 대기질 경보가 25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번...
|
밴쿠버, 살기 좋은 캐나다 도시 8위··· 1위는?
2025.08.25 (월)
연봉 높고 자연과 밀접하지만, 집값 부담 최고
캘거리, 밴쿠버 집값의 반값··· BC 1위는 빅토리아
밴쿠버 전경 / Getty Images Bank 밴쿠버가 캐나다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8위로 선정됐다. 1위는 캘거리였다. 글로벌 이민 컨설팅 기업인 ‘글로벌 시티즌 솔루션’(Global Citizen...
|
“불닭면 탓 위계양” 소송 캐나다 틱톡커, 또 불닭면 먹방
2025.08.25 (월)
▲캐나다 틱톡커 하베리아 와심이 불닭볶음면을 먹고 입원했다고 주장한 모습(좌)과 불닭볶음면을 먹고 있는 모습. /인스타그램불닭볶음면을 즐겨 먹다가 위궤양에 걸려 현지 법원에...
|
지중해식 식단, 치매 위험 낮춘다···고위험군서 효과 뚜렷
2025.08.25 (월)
미국 연구진, 수십 년 장기 추적 연구
▲/Getty Images Bank지중해식 식단이 치매 위험을 줄이고 인지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제너럴 브리검, 하버드대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
올여름 美 국경, 1만5000명 휴대폰 검사
2025.08.22 (금)
4~6월 국제 여행객 전자기기 검사 급증
▲/gettyimagesbank올해 미국 국경을 통과할 예정인 여행객들은 휴대폰 등 전자기기 검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 최신 자료에 따르면, 올해 4~6월 사이...
|
버나비 공원서 성추행 후 도주··· 용의자 추적
2025.08.22 (금)
일면식 없는 남성이 가슴과 민감한 부위 만져
버나비 센트럴 파크 전경 / burnaby.ca 버나비 센트럴 파크에서 한 남성이 여성을 성추행하고 달아나는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용의자 추적에 나섰다. 버나비 RCMP에 따르면 20일(수) 오후...
|
“보증금 먹튀” 메트로 밴쿠버 세입자, 임대 사기 주의
2025.08.22 (금)
7월에만 최소 5명 피해··· 수천 달러 잃어
▲/gettyimagesbank올여름 일부 메트로 밴쿠버 지역 세입자들이 임대 사기에 속아 수백 달러에서 최대 수천 달러를 잃는 사례가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리치몬드 RCMP는 지난달 이후 최소 다섯...
|
트럼프가 무서워서? 캐나다 난민 신청 미국인 급증
2025.08.22 (금)
난민 신청 미국인 수 2019년 이후 최고치
트렌스젠더 제한 조치에··· 승인 건수는 0건
▲/Getty Images Bank 올해 상반기 캐나다에서 난민 지위를 신청한 미국인이 전년도 전체를 넘어섰고, 2019년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캐나다 이민·난민 위원회(IRB)가 21일...
|
고용 불안 현실화··· EI 수급자 54만 명
2025.08.22 (금)
전년 대비 13% 급증··· 1년새 6만 명 늘어
퀘벡·온타리오 주도, 영업·서비스직 증가 뚜렷
▲/gettyimagesbank캐나다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국민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월 기준 실업보험(EI) 수급자 수가 지난해보다 빠른 속도로...
|
조류독감 노출 우려 “BC주 타조 400마리 살처분”
2025.08.22 (금)
오랜 법정 공방 끝에··· 항소법원, 살처분 판결
BC주 엣지우드(Edgewood) 유니버설 타조 농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에 노출된 타조 400여 마리가 연방 항소법원의 판결로 살처분될 수 있게 됐다.21일 연방 항소법원은 유니버설 타조 농장이...
|
관세 압박 속에서도 살아난 소비 심리
2025.08.22 (금)
6월 소매판매 호조··· 전 업종 매출 상승
무역 긴장 완화··· 완만한 수요 회복 신호
▲/Getty Images Bank 계속되는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도 지난 6월 캐나다의 소매판매가 뚜렷한 반등세를 보였다. 22일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1.5% 늘어난 702억...
|
캐나다, 미국산 제품 보복관세 철회
2025.08.22 (금)
오는 9월 1일부터··· CUSMA 적용 제품 대상
철강·자동차는 유지··· 양국 갈등 완화 조짐
▲/ White House Flickr캐나다가 캐나다·미국·멕시코 협정(CUSMA) 적용 대상 미국산 제품에 부과해 온 보복관세를 전면 철회한다. 다만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에는 당분간 관세를 유지한다.마크...
|
밴쿠버의 여름은 계속··· 주말 늦더위 기승
2025.08.22 (금)
▲/Getty Images Bank 이번 주말 광역 밴쿠버에 늦여름 더위가 찾아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주말 BC주 내륙 지역 기온은 30도 안팎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버나비, 코퀴틀람, 랭리,...
|
자고 일어나서? 아침 먹고? 치과의사가 조언한 양치 시간
2025.08.22 (금)
▲/Getty Images Bank아침 양치는 기상 직후, 식사 전에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치과 전문가들의 조언이 나왔다.미국 치의학 박사인 안잘리 라즈팔 베벌리힐스 덴탈 아츠 창립자와 미국...
|
번호판 숨기고 광란의 질주··· 오토바이 2대 덜미
2025.08.21 (목)
번호판 보이지 않도록 불법 조작
오토바이 압류에 벌금 폭탄 맞아
번호판을 식별이 되지 않도록 불법 조작한 후 위험운전을 하던 오토바이 두 대가 경찰에 적발됐다. / BC Highway Patrol 밴쿠버 하이웨이에서 번호판을 가리고 위험 운전을 하던 두 명의...
|
美·캐나다 정상 “생산적 통화··· 곧 재회동 합의”
2025.08.21 (목)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6월 16일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회동하고 있다. / White House Flickr미국과 캐나다 정상이 격화하는 무역 갈등 속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