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시, 加 최초 불법 약물 합법화 ‘초읽기’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01-28 13:54

연방 보건부, 밴쿠버시와 약물 비범죄화 공식 논의 예정
작년 불법 약물 사망자 역대 최대···새로운 국면 맞이


밴쿠버시 내의 불법 약물 소지가 처벌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밴쿠버의 케네디 스튜어트(Stewart) 시장은 27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밴쿠버에서 불법 약물 소지를 비범죄화하는 것에 대해 패티 하이두(Hajdu) 연방 보건부 장관과 공식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만약 연방정부가 이를 허용하게 되면, 밴쿠버는 불법 약물 소지가 비범죄화되는 캐나다 최초의 도시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밴쿠버 시의회는 지난해 11 밴쿠버 내에서 적은 양의 불법 약물 소지를 합법화하도록 연방 정부에 요청하자는 발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있다.

 

약물 소지가 합법화되면 복용자들은 형사 처벌을 피해 몰래 음침한 곳에서 안전하지 않은 길거리산 약물을 복용하는 대신, 안전한 대체 약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게 되고, 약물 중독 치료도 더욱 적극적으로 받을 있게 된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BC주는 지난 2016년부터 불법 약물 비상사태가 선포되어 오고 있다. BC에서 불법 약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난 2016 830명을 기록하면서 급격히 증가하더니,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389명과 1427명의 BC 주민이 불법 약물로 목숨을 잃으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게 됐다.

 

안전한 대체 약물 보급과 약물 예방 서비스센터의 역할로 인해 2019 사망자 수는 918명으로 줄어들면서 다소 진정되는가 싶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체 약물 공급망이 막히게 되면서 2018년에 기록했던 역대 최고 사망자 수를 경신하는 ,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밴쿠버시는 캐나다 내에서 불법 약물 문제가 가장 심각한 곳으로. 비상사태가 선언된 지난 2016 이후 5 동안 밴쿠버에서만 1600명이 넘는 시민들이 불법 약물과 관련해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불법 약물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약물은 오피오이드계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로, BC 검시소(BC Coroners Service)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 이후 펜타닐 관련 사망자는 전체 불법 약물 사망자 86% 차지하고 있다.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펜타닐 문제로 인해 BC 보건당국과 경찰 관계자들은 불법 약물 소지를 비범죄화함으로써, 약물 문제를 보건상의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뜻을 밝혀오고 있다.

 

호건 수상도 지난해 약물 복용자들이 의료 서비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있도록 약물 소지를 비범죄화해달라는 내용의 공식 서한을 저스틴 트뤼도 총리에 보내기도 했다.

 

트뤼도 총리는 지난 년간 꾸준히 불법 약물 비범죄화에 반대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연방 보건부가 이에 대해 밴쿠버시와 진지하게 논의를 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며 불법 약물과의 싸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사진출처=Getty Images Bank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늘어나는 총격 사건에 총기 규제 새 법안 발의
학교 등 특정 장소서 가짜 총기 소지도 금지
BC 주정부가 갱단의 불법 총기 사용을 막기 위해 새로운 불법 총기 규제 법안을 내놓았다.  마이크 판워스(Farnworth) BC주 공공안전부 장관은 3일 기자회견에서 이와 같이 발표하며,...
연방 보건부, 밴쿠버시와 약물 비범죄화 공식 논의 예정
작년 불법 약물 사망자 역대 최대···새로운 국면 맞이
밴쿠버시 내의 불법 약물 소지가 처벌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밴쿠버의 케네디 스튜어트(Stewart) 시장은 27일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밴쿠버에서 불법 약물...
가짜 음성 확인서 제출시 벌금 5000달러
입국자, 비행기 탑승 전 필수 문서 챙겨야
캐나다 입국시 필수로 요구되는 ‘코로나19 음성 확인서’를 불법으로 제출하는 승객들이 늘어나고 있어 캐나다 정부가 엄정 대응에 나섰다. 캐나다 교통국은 13일 성명을 통해 지난...
11월까지 사망자 수 1548명···2018년 기록 쉽게 넘을 듯
안전한 약물 공급망 개설, 약물 소지 비범죄화 시급
올해 불법 약물 오남용 관련 사망자 수가 결국 역대 최고 기록을 넘게 됐다.   BC 검시소(BC Coroners Service)의 지난 21일 발표에 따르면 11월 한달 동안 불법 약물 오남용 관련 사망자는...
올해 사망자 수 1386명···역대 최고치 경신할 듯
대체 약물 공급, 약물 소지 비범죄화 촉구 목소리
지난 10월 한 달간 BC에서는 하루에 5명의 BC 주민이 불법 약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BC주 검시소(BC Coroners Service)가 25일 발표한 BC주 불법 약물 사망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불법...
밴쿠버 시장, 약물 소지 비범죄화 개정안 발의 예고
약물 관련 사망자 하루에 5명꼴···"보건 문제로 접근해야”
케네디 스튜어트(Stewart) 밴쿠버 시장이 밴쿠버가 캐나다 최초로 불법 약물 소지를 비범죄화하도록 하는 개정안을 다음 주 중에 발의할 것으로 보인다.   스튜어트 시장은 18일 진행된...
팬데믹 이후 사망자 크게 늘어···역대 최고치 경신
보건당국 “약물 비범죄화 해야”···트뤼도는 “묘책 아냐”
BC주의 불법 약물 오남용 관련 사망자가 8개월 만에 벌써 작년 수치를 뛰어넘은 것으로 드러났다.   BC 검시소(BC Coroners Services)가 23일 발표한 BC주 약물 오남용 사망자 현황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불법 약물 사망자 급증
“약물 처벌한다고 사망률 낮아지는 건 아니야”
밴쿠버 경찰서장이 불법 약물 소지에 대한 비범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캐나다 경찰서장 협회(Canada Association of Chiefs of Police, CACP) 회장직을 맡고 있는 아담 팔머(Palmer) 밴쿠버...
3월 불법 약물 사망자 113명···1년만 최다
코로나 사태로 치료받기 더욱 어려워져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하기 시작하던 지난 3월, BC에서는 불법 약물 남용으로 하루 평균 3명이 넘는 주민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BC 검시소(BC Coroners Service)가 7일 발표한 ‘BC 불법...
펜타닐·코카인 등 3백만 달러 가치
밴쿠버 경찰(VPD)이 마약밀매 조직에 대한 소탕 작전을 벌인 끝에 대량의 불법 마약과 총기를 압수하고 일당 8명을 검거했다. VPD는 6일 성명을 통해 불법 오피오이드(opioid)의 메트로 밴쿠버...
지난해 981명 사망···2018년에 비해 36% 감소
30~50대 남성 사망률 가장 높아
지난해 약물 과다 복용으로 하루에 3명에 가까운 BC 주민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BC 보건당국은 24일 2019년 불법 약물로 인한 사망자 실태를 발표했다. 지난해 불법 약물로 981명이...
임대 규제법 시행 1년 불법 업주 크게 줄어
73% 정식 면허 취득... "향후 단속에 주력"
밴쿠버시에서 단기 임대 규제법이 시행된 지 1년여 만에 불법 업자들이 대거 적발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7일 밴쿠버시는 도시 내에서 불법적으로 성행하고 있는 단기 숙박·임대업을...
쉬어 대표, "경제이민과 가장 큰 위험에 처한 난민들 보호에 이민정책 초점 두겠다"
보수당이 난민 신청 목적의 불법 월경을 근절하겠다고 공약했다.CBC 뉴스에 따르면 보수당 대표 앤드류 쉬어는 지난 9일 퀘벡 록샘 로드(Roxham Road)에서 집권하면 외국인들이 공식 입국 지점...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교통법 모호
캘거리, 몬트리올은 이미 시범 프로젝트 가동
<▲ 사진=Lime>BC주정부가 최근 급격히 늘어나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Devices, 1인용 교통수단)에 대한 교통법을 재정립한다. 최근 들어 세그웨이(segway), 전동스쿠터(e-scooter),...
아동 연방법 위반 혐의 1억7천만 달러 벌금
구글과 유튜브가 광고 수익을 위해 아동의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거액의 벌금을 맞게 됐다. 16일 미 연방거래위원회는 최근 알파벳 산하 구글의 동영상 공유...
70일 대기 도로주행 300달러 받고 이틀만에 치르게 해
리치몬드 운전강사 해킹혐의 조사
BC주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 적체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리치몬드 운전 연수 강사가 고객들에게 돈을 받고 시험 대기자 명단을 해킹, 조작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국영...
정부 비용으로 수거 합의
쓰레기 전쟁을 선포했던 필리핀 정부의 으름장이 통한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 로드리고 대통령 대변인은 캐나다에서 건너간 쓰레기 처리에 합의했다며 캐나다 정부가 컨테이너...
감시기관 설립-컨설턴트 자격기준 강화 등 시행
연방 이민부 발표
이민 컨설턴트에 대한 자격기준이 대폭 강화된다.또 위반자들을 조사하고 징벌하기 위해 감시 기관에게 보다 강력한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비양심적인 이민 컨설턴트들과 해외 근로자...
관련 인력 5명 자원부족 어려움... 조사권 강화해야
세계 돈세탁의 본거지로 주목받는 BC주의 금융감독 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캐나다 법무부가 8일 발표한 돈세탁 수사 관련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BC주에는...
밴쿠버시, 820건 대상 규제조치...최대 2만 달러까지 부과
밴쿠버시가 불법 단기 임대에 단속의 칼을 빼들었다.시는 2000 여 건의 위반 사례 파일을 공개하고 820 여 건의 불법 단기 임대에 대해 규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밴쿠버시는 지난해...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