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다 하나님의 은혜 였소

심정석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7-29 10:49

심정석 / (사)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나태주 선생의 “행복” 이란 시에 “외로울 때 홀로 부를 노래가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했다. 나도 외로울 때 홀로 부를 노래 한 곡을 찾아 불러 보기로 했다. 손경민 목사님의 자작, 작곡해 부른 “은혜”라는 노래다.

● 내가 누려왔던 모든 것들이 / 내가 지나왔던 모든 시간이
● 내가 걸어왔던 모든 순간이 / 당연한 것 아니라 은혜였소

부지런히 따라 불러 연습하다 보니 익숙해진다. 외로울 때 혼자 흥얼거려 본다. 내가 걸어왔던 과거 시간으로 되 돌아가 본다. 기억들을 하나하나 더듬어 본다. 가장 어려웠던 때가 생각나면 한 소절이 끝 “다 은혜였소” 한 옥타브 올려 부른다. 행복을 느낀다. 행복이 은혜다. 나태주 시인이 옳았다.

나는 UBC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박사과정 학생으로 밴쿠버에서 4년을 살았다(1970-1974). 다섯 살 난 딸, 두 살 된 아들, 그리고 아내, 이렇게 네 식구 가정을 이끄는 학생 가장이었다. 대학에서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지급하는 연구보조 장학금(Research Assistantship)과 대학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아내의 수입으로 네 식구는 넉넉히 살만했다. 그러다가, 공부를 마치니, 고향 같은 밴쿠버를 떠나야만 했다. 미국 북가주 대학(UC Berkeley) 로 옮겨야 했다. 1974년 박사후(PDF) 연구생으로 2년 계약으로 질병영양학 연구실에서 일을 시작했다. 

콩코드(Concord)라는 작은 도시에 아파트를 얻어 정착했다. 아파트 건너편에 한 삼사십 명 쯤 모이는 작은 교회가 있다. “Park Heaven 남침례교회” 간판이 우리가 사는 아파트창으로 크게 보인다. 1975년 8월말 어느 날이다. 한 이 십대 후반 쫌으로 보이는 전도사님이 집집마다 문을 뚜드리며 부흥집회에 꼭 나오라고 권한다. 그날 저녁 나와 아내는 이상하게도 아무 저항 없이 참석을 했다. 부흥집회 3 일째 되든 날 저녁 집회때다. 경험해 보지 못한 성령님의 강권 적 역사가 우리 부부에게 임하셨다. 그 날 우리 부부는 한 날 한 시 같은 장소에서 예수님을 만나게 됐다. 예수님을 주님으로 영접했다. 내가 구원받아야 할 죄인이었음을 처음 알았다. 이제 예수님이 십자가 상에서 흘린 그 보혈로 씻겨 용서 받았음을 믿게 됐다. 그리고, 내가 어디서 와서 이생에서 무엇을 하다가 어디로 가는 지 확실히 알게 됐다.

박사 학위를 소유했다고 다 교수가 되는 것이 아니더라. 교수직을 구하느라 보낸 이력서만해도 100통이 훨씬 넘게 보내 봤다. 무던히도 애를 썼다. 하나 같이 안 된다는 답장만 받아 보기를 역시 100통이 넘었다. '이제 3개월 후면 PDF 연구생 자리도 끝이 나는데 어쩐 담.' 걱정이 태산 같다. 홀로 초조함과 염려 속에 살아오다가, 예수님께 한 번 매달려보고 싶은 생각이 났다. “내 이름으로 무엇이든지 내게 구하면 내가 시행하리라.”(요한복음 14장 14절 말씀)하신 말씀이 떠 오른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하나님에게 “교수직을 주세요.” “제게 알맞는 직장을 주세요.” “하나님께 영광 드릴 수 있는 직장을 주세요.” 참으로 철없는 어린애 같은 기도다. 매일 열심히 기도했다. 그렇게 하다 보니 하나님께서 꼭 응답해 주실 것만 같은 생각이 짙어 간다. 그렇게 믿고 싶었다. 이렇게 예수님께 직장을 위해 기도를 시작한지도 6개월이 지났다. 이젠 더 기다릴 곳도 없다. 

1976년 7월 말쯤 어느 날 오후였다. 캐나다에서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내가 도서실에 있는 사이라 받지 못했다. 오후 4 시 다시 걸테니 기다리란 메시지를 남겼다. 전화벨이 울린다. 내가 학생으로 있던 UBC 농학부의 학과장님의 전화다. 안면만 있을 뿐 잘 모르는 분이다. 어떻게 연락처를 알았는지도 모른다. 전화의 요지는 9 월부터 교수 자리가 났으니 캐나다로 9월 학기부터 올 수 있겠냐고 묻는다. 현기증이 나도록 어리둥절했다. 내 홀로 100통을 넘게 쓴 신청서류는 모두 허사였건만 무릎 꿇고 그것도 어린애 떼같이 향방 없이 올린 우리 부부 함께 무릎 꿇은 기도가 응답되다니 놀라왔다. 기도가 하나님 보좌를 움직여 응답을 받아낼 수 있다는 귀한 진리를 체험했다. 

그해 9월 학기부터 나를 키워준 모교 UBC 교수가 됐다. 이것이 다 하나님의 은혜(恩惠)다. 그 후로는 다른 직장을 구하는 신청서를 써 본 일이 없다. 하나님이 필요한 곳에 보낼 때 순종만 하면 됐다. UBC 교수로 재직한 지 10년이 되든 해, 알버타 대학으로 부터 석좌교수로 초빙되어 21년간 근무했다. 2006년 정년을 채우고 31년 긴 교수직에서 물러났다. 연이어 연변 과학기술대학에서 6년, 그리고 평양과기대에서 6년, 도합 12년을 더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내 나이 80이 되던 해 2018년에야 총 43년의 예수님이 정해 주신 교수라는 천직에서 물러났다. 할렐루야. “이것이 다 은혜, 은혜요, 하나님의 은혜였소”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여름 풀꽃처럼 2025.08.22 (금)
한낯의 햇살 아래풀꽃 하나 피어 있다눈길 한 번 받지 못해도그 존재는 찬란하다바람에 흔들리며잠시 피었다 지는 운명인생도 그러하더라무상함 속에 피는 의미늙음은 시드는게 아니라익어가는 열매임을풀꽃은 말없이 가르친다빛바랜 잎에도 향기가 남는다지나간 세월을 탓하지 말고다가올 햇살을 기다리자풀꽃은 오늘을 살며내일의 빛을 준비한다
이봉란
젊었을 때 들었던 이야기가 있다. 할아버지 세 분 중 한 분이 낚시 도구를 챙기고 계셨다. 그를 본 다른 할아버지가 “낚시 가나?” “아니, 낚시가.” 그 대화를 듣던 다른 한 분이 “나는 낚시 가는 줄 알았지.” 그때는 이 이야기를 듣고는 배를 잡고 웃었다. 어떤 학부모에게 할아버지들의 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더니 “선생님, 너무 슬퍼요.” ‘그런데, 이 뜻밖에 반응은 뭐지?’ 얼마 전에도 한인 슈퍼 앞 벤치에서 할아버지 두 분이...
아청 박혜정
사랑의 돌봄 2025.08.22 (금)
   일 년 전 어느 날, 일상대로 교우들과 함께 아침 걷기운동을 하던 중 일어난 일이다. 앞서가던 남편이 돌부리에 차였는지 갑자기넘어져서 이마와 눈 주위에 상처를 입었다. 오후에 어렵사리 클리닉(Urgent clinic)을 방문해서 조치 받고, 그 이후로 걷는 일에 신경을 쓰게 됐다. 시간이 흐를수록 걸음 속도가 불안정하고 그때부터 한 달쯤 뒤에 동네에서 함께 걷고 들어오는 길에 집 문턱에서 또 넘어졌다. 전문의의 검진을 요청했더니 늘 그렇듯이...
김진양
밴쿠버 회상 2025.08.22 (금)
메트로타운에서 몇 번 버스를 탔는지는 기억나지 않아요더듬더듬 낯선 길을 물어가며 겨우 모임 장소를 찾았을 때간간이 내리던 비가 진눈깨비로 바뀌어 쏟아졌지요빅토리아를 떠나 밴쿠버에 도착한 날부터일주일 내내 내리는 비와 눈 때문에 꼼짝 없이 숙소에만 있다가 우연히 영자신문 틈에서 캐나다 문인협회 문학사랑방모임 안내문을 보았던 그날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자유롭고 행복했으나 가끔은 쓸쓸하고 더러는 섬이 되기도...
정금자
부활 병아리 2025.08.15 (금)
   이민 6년 차(1980), 몬트리올에서 쌩로랑 강을 건너 비둘기장처럼 작은 집을 마련하고 살 때였다.   부활절이 되면 쇼핑몰마다 병아리를 전시하기도 하고 팔기도 했다. 알에서 갓 부화되어 삐약거리는 노란 병아리를 볼 때마다 아이들은 사 달라고 졸랐다. 나는 강경하게 반대했지만, 남편은 내 편을 들어주지 않았다. 남편에게, 병아리가 크면 어떻게 할 거냐, 그리고 약 병아리가 되면 닭을 잡아 줄 수 있느냐고 물었다. 우리는 이민...
김춘희
자색 모란 2025.08.15 (금)
아무도 없는 이 새벽기어이 꽁꽁 옷고름풀었다차마 감당할 수 없어검붉은 입술도타다 말고 열려버렸나향칠갑소리 한 점 없이 사방을 진동한다진자주 꽃잎 속샛노란 마그마펄펄용암을 뿜는구나세상은숨소리조차 없는데너는 누굴 바라홀연 쏟아져 넘쳐첫길을 깨우느냐이랑을 다지느냐
백철현
치痴, 치, 치 2025.08.15 (금)
치痴는 무지하고 어리석은 마음이다.마음은 겉으로 바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럽게 보이는 사람의 모습이다. 마음 씀씀이를 보면 친구와 이웃 간에 나누는 정의 깊이, 선악의 구별,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지적인 깊이까지 보인다. 마음씨가 뒤틀려 번뇌에 빠지고 스스로 화에 갇혀버리면 옳지 못한 행동으로 자신과 주변 모두를 괴롭게 한다.치는 우리를 괴롭게 하는 번뇌의 뿌리다. 불교에서 말하는 삼독 번뇌, 탐진치는 모두...
강은소
개망초꽃 2025.08.15 (금)
죽은 아기를 업고 전철을 타고 들에 나가 불을 놓았다 한 마리 들짐승이 되어 갈 곳 없이논둑마다 쏘다니며마른 풀을 뜯어 모아 죽은 아기 위에불을 놓았다 겨울새들은 어디로 날아 가는 것일까 붉은 산에 해는 걸려넘어가지 않고  멀리서 동네 아이들이미친년이라고 떠들어대었다 사람들은 왜무시래기국 같은 아버지에게총을 쏘았을까 혁명이란 강이나 풀,봄눈 내리는 들판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죽은...
정호승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집도의는 캐나다에서도 이름 있는 Doctor라 했다. 수술실에 들어가니 남자가 7사람 여자 두 사람이 있다. 수술은 집도의와 보조의가 하겠지만 의대생들이 견학하는 걸 허락했던 것이다.수술은 성공적으로 잘 마무리 된듯하다. 수술을 하고 정신을 차려보니 방광에 호스를 꽂아 소변을 받아내고 양팔 혈관에 주사바늘을 고정시켜 줄이 달려있다코로 호수를 따라 식사대용 영양제가 들어간다. 또 수술한 부위에도 호스를 넣어...
박병준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암이 자리 잡은 곳, 그 위치가 어디인가. 그게 중요하다.폐라면 힘 든다. 췌장이라면 수술이 어렵다. 급성으로 여러 군데 전이가 되었다면 걷잡을 수 없이 위험하다.내게 온 곳은 목이다. 후두암이라고도 한다. 그 자리는 어떤 곳인가?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부분이다. 거기는 기도(Air way)와 식도가 만나는 곳인데 코와 입을 통해서 공기가 들어오고 또 입에서 식도로 넘어오는 음식이 지난다.또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가...
늘산 박병준
늘산 본인이 암 판정을 받고 수술을 하고 퇴원을 하면서 그간에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싶습니다. 이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암에서 예방될 수 있는 일에 다소나마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암의 발견은 우연적일 수도 있고 필연적일 수도 있다.나는 우연적이라 생각하며 그나마 일찍 발견하였다는데 다행이라 생각한다.산에서 사람을...
늘산 박병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