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19-09-09 10:54

김선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벌개미취는 연보라색의 꽃이 피는 여름 꽃이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꽃으로 가늘고 길쭉한 꽃잎이 가지런히 나서 가운데의 노란 술을 동그랗게 둘러싼다. 봄과 초여름까지 풀처럼 낮게 지내다가 여름의 뜨거운 볕 아래서 줄기가 길게 올라오고 그 끝에 꽃봉오리가 달리기 시작한다. 장마가 지나고 꽃이 버텨낼까 싶은 높은 온도가 되면 봉오리가 벌어져 소국처럼 생긴 예쁜 꽃을 피운다. 벌개미취는 생명력이 강해서 뿌리를 사방으로 뻗어 금세 군락을 이루고 꽃이 드문 여름 정원에 싱그러움과 보랏빛 생기를 선사한다.

실제로 우리 집 벌개미취는 지금껏 그러기는커녕 구박데기 신세였다. 여름 정원에 싱그러움 ’은 생각지도 못했다. 줄기가 너무 높게 올라오다가 다 꺾여서 바닥을 기거나 여기저기 한두 개씩 피어나서 꽃인지 잡초인지 구분이 안돼 눈여겨보지도 않았다. 봄이면 어김없이 세차게 포기들이 올라오지만 나는 뽑아 버리기 바빴다. 다른 꽃들에 쏟을 정성도 부족한데 기대치 없는 벌개미취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밟히면 밟히는 대로 뽑히면 뽑히는 대로 던져버렸다.

아무리 뽑아도 없어지지 않는 것이 벌개미취이다. 뿌리를 다 없앨 수 없기 때문이다. 뿌리가 조금이라도 남아있으면 거기서 싹이 올라온다. 한번 뽑아보면 뿌리가 사방팔방으로 뻗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하나를 뽑아도 이미 땅속에서 온 데로 뻗었던 뿌리가 다른 곳에서 또 싹을 올린다. 이 뿌리의 생명력 덕에 밟히고 뽑혀도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뿌리가 튼실해져서 다른 꽃이 자라는 땅속으로 여기저기 뿌리를 뻗어간다. 그래서 더욱 안심하고 뽑아버렸는지 모른다. 어딘가에서는 또 살아나겠지라는 생각이었다.

올해는 작심한 듯 빽빽하게 싹이 올라오더니, 튤립과 크리스마스로즈가 봄 동안 가득 채웠던 앞쪽 정원이 벌개미취 밭이 되었다. 맞춘 듯 반듯하게 열까지 맞춰 착실히 자리를 잡았다. 올봄에 싹들을 뽑지 않고 그대로 둔 탓이다. 자리를 잘 잡아서 뽑기도 미안할 지경이라 그대로 두었더니 보란 듯이 세력을 형성해서 그동안 땅속에서 키워온 힘을 다 쏟아냈다. 늘 쓰러지기만 하던 꽃대가 똑바로 하늘을 향해 자라 오르고 꽃봉오리도 잔뜩 달렸다. 그동안 천대받던 시절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이 빼곡하고 눈부시게 꽃을 피웠다.

꽃이 적은 여름, 앞마당이 보랏빛 생기로 가득하다. 정원에 싱그러움과 생기를 정말로 선사하고 있다. 장마 지나고 피기 시작해서 9월이 된 지금도 보랏빛 꽃이 생생하다. 봉오리가 계속 생기고 피어나며 오래도록 꽃을 피우는 모습이 기특하다. 뽑히고 밟혔던 고난의 세월을 보상받고 있다. 지금은 누가 뭐래도 벌개미취의 계절이다. 자신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하다는 것을 벌개미취가 보여주고 있다.

전성기는 힘들었던 시절과 절망의 나날이 있었기 때문에 전성기다. 그런 시간이 없으면 일상일 뿐이다. 하나하나 말하기도 어렵고 이런저런 사정이 있었다고 표현할 수밖에 없는 힘겨운 시간들. 자신의 때가 언제가 될지 모르는 허방 같은 시간을 견뎌내야 한다. 뿌리의 힘을 키워 두고 아름답게 피어날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 시간을 인내하다 보면 자신이 피어나기 딱 좋은 조건을 가진 시간이 온다. 꼭 온다. 이 아름다운 전성기의 기억이 생명체에겐 또 다른 힘이 되어 앞으로 올 변화무쌍한 시간을 살아내도록 도와줄 것이다. 근데 벌개미취가 고생하던 시기에 내가 제일 무시했던 것 같아 좀 미안하기도 하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칠월의 에필로그 2025.07.04 (금)
초록이 물오르면포도 광주리에 둘러앉아시퍼런 입술들이 깔깔대며구름 위를 달린다포식자의 먹잇감이풀을 뜯는 칠월은가슴에 품은 진초록이다칠월마다 삶의 이삿짐이옮겨갔지만진초록이 마르고 있음을 알지 못했다칠월은등줄기 진땀이어미의 젖가슴을훑고 가는 여름감기나의 노스텔지어 칠월에발을 담구면시리고 저리는 삶의 변주곡이장조로 화답을 한다
반현향
  나는 한국을 방문할 때 머물 곳이 마땅치 않아 호텔 신세를 지곤한다. 강남보다는 강북에 있는 호텔을 선호한다. 강남은 남에 나라에 온 것 같아 낯설다. 그래서 강북에 머문다. 60년대 모습과 정감이 조금은 남아 있어 길 찾기가 편하다. 또 혹시나 내가 남긴 옛 추억하나라도 만날 수 있을까 해서다. 50년대 후반 주경야독, 신문팔이, 고학시절, 자주 찾던 신문사들이 아직도 현존하는 광화문 근처에 머물고 있다. 석간 신문을 박아내는 우렁찬...
심정석
만년설 2025.07.04 (금)
소복이 쌓인 눈이어느새 쌓인 눈이하얗게 쌓인 눈이 봄이 왔다고마음대로 눈물이 된다 숨죽여 울고소리 내어 울고가슴 치며 울어도 녹지 않는 마음이라는 게 있다
문선혜
분가 2025.07.04 (금)
    아들이 분가했다. 처음 집을 떠나 독립해서 살아보겠다고 했을 때, 내 안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허전한 느낌이 훅! 들어왔다. 살인적인 고물가, 렌트비 등의 현실적인 문제를 아이가 지는 게 너무 가혹하지 않을까? 그런 염려스러운 엄마 맘이 먼저였다. 장남에게 은연중 믿고 의존해 왔던 내 기대어진 몸을 바로 세워야 하는 게 두려웠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6개월의 시간이 지났다. 아이는 지금껏 그래왔던 것처럼 지혜롭고,...
고희경
아침 이슬이여, 너는 어둠의 울타리에 걸어 놓은  내밀(內密)의 창(窓) 지순한 그리움의 초상이구나    춥고 습한 긴밤들을 눈물로 견디며 모든 고통의 순간들은 결국 숭고한 환희로 통하는 길이라는 지혜를 터득한 너의 맑은 이마여!                                           ...
안봉자
작은 아씨 2025.06.27 (금)
  어머니는 젖이 풍부하신 분이셨다. 우리 형제들을 키우면서도 일부러 젖을 떼려고 애쓰지 않고 아이가 먹겠다면 언제까지고 먹이려고 하셨다. 나도 거의 세 네 살까지 젖을 먹었다고 들었다. 내 밑에 막내 동생은 여섯 살이 넘도록 젖을 먹었다. 친구들과 밖에서 놀다가도 들어와서는 어머니 품을 파고들어 젖을 먹었다. 주위 사람들이 젖을 떼지 다 큰 애를 무슨 젖을 먹이냐고 하면 어머니는 이제 더 먹일 아이도 없는데 나오는 젖을, 먹겠다는...
심현섭
그리움 2025.06.27 (금)
사그라져 가는 물안개 아침 햇살에 부서지고   파도가 뿜어낸 당신 닮은 은빛 숨결 물 비늘이 허공 위로 흩어지네   그대 향한 서성임이 아픔의 태산 되어 울고   요란한 살여울 지쳐 밀려온 그 자리 차디찬 빙산 이어라   볕 뉘 사이로 스며드는 따뜻한 당신 목소리에 오늘도 목이 메이네
김정임
바람이 전해준 말 2025.06.27 (금)
  캐나다 웨이에서 오클랜드 스트리트로 우회전 핸들을 틀자마자, 눈부신 초록의 나라가 시야에 확 펼쳐졌다. 눈이 맑아지고 머리가 시원해진다. 문득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로 시작되는 설국(雪國)의 첫 페이지가 떠올랐다. 하얀 눈의 나라로 들어가는 대신, 나는 온 세상이 초록으로 물든 별세계로 들어가는 느낌이 들었다. 이 길은 조금 지나면, 디어 레이크 파크 숲을 우측으로 끼고 돌면서 계속...
지연옥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집도의는 캐나다에서도 이름 있는 Doctor라 했다. 수술실에 들어가니 남자가 7사람 여자 두 사람이 있다. 수술은 집도의와 보조의가 하겠지만 의대생들이 견학하는 걸 허락했던 것이다.수술은 성공적으로 잘 마무리 된듯하다. 수술을 하고 정신을 차려보니 방광에 호스를 꽂아 소변을 받아내고 양팔 혈관에 주사바늘을 고정시켜 줄이 달려있다코로 호수를 따라 식사대용 영양제가 들어간다. 또 수술한 부위에도 호스를 넣어...
박병준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암이 자리 잡은 곳, 그 위치가 어디인가. 그게 중요하다.폐라면 힘 든다. 췌장이라면 수술이 어렵다. 급성으로 여러 군데 전이가 되었다면 걷잡을 수 없이 위험하다.내게 온 곳은 목이다. 후두암이라고도 한다. 그 자리는 어떤 곳인가?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부분이다. 거기는 기도(Air way)와 식도가 만나는 곳인데 코와 입을 통해서 공기가 들어오고 또 입에서 식도로 넘어오는 음식이 지난다.또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가...
늘산 박병준
늘산 본인이 암 판정을 받고 수술을 하고 퇴원을 하면서 그간에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싶습니다. 이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암에서 예방될 수 있는 일에 다소나마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암의 발견은 우연적일 수도 있고 필연적일 수도 있다.나는 우연적이라 생각하며 그나마 일찍 발견하였다는데 다행이라 생각한다.산에서 사람을...
늘산 박병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