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사물주의 시에 대한 근원과 정의
‘물과 대화를 나누었더니 반응했다. 밥에게 미움을 주니 까맣게 썩고, 사랑을 주니 흰밥 그대로였다.’ 이런 파장 연구는 옛날 같으면 귀신 씻나락 까먹을 일인데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신이 창조한 생물 외에 물질도 기운과 정체성이 있다는 걸 중세 시인들의 시에서 읽어볼 수 있다.
인류에 기여한 사물의 존재를 인식하려면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주의]에 근거해야 한다. ‘본질주의는 이론적으로 하나의 인식 대상이 해당 종류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필히 부합해야 하는 일련의 성격(본질)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철학적 논쟁에 중점을 둔 신념과 실천이다.’
사물에 관심이 커진 인문학자, 철학자, 시인들은 물질의 본질을 인정하고 물질이 인간에 귀결됨을 증명하기 위해 이론을 구축한다. ‘컴퓨터, 스마트 폰, 옷, 신발, 자동차 등. 사물과의 관계는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그 중요성을 통찰하고, 그것이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주목한 것이 신유물론’인데, 그것은 인간과 밀접한 물질을 시의 소재로 쓴 현대시에서 알 수 있다.
*김기택 시인의 시 세계
김기택 시인은 현대 시인이며 대학에서 시론 강의에 열정을 다하는 시인이다. 그의 시 세계는 어느 평론가의 말처럼 공손하며 반듯하다. 고지식한 교수는 늦깎이 작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데 감정에 솔직한 시인의 시작법이 제자들과 통했다고 할까. 현대 시는 장르를 뛰어넘어 초현실적이거나 감각적 언어가 주류를 이루어 주제 파악이 난해한데, 김기택 시인의 시는 인간과 사물의 공존을 친근하게 묘사해 주제 파악이 용이하다.
‘그의 시에서 사물은 일상 세계의 도처에서 출현하며 일상의 삶 자체를 개진한다. 사물은 인간의 삶을 구성하고 삶의 사태에 참여한다. 인간의 삶은 사물과 함께 사물 안에서 사물을 통하여 전개된다.’ 송승환-시인, 문학평론가
시인과 세대의 시작법은 반비례한다. 첨예하고 복잡한 시를 이해하는 것보다 김기택 시인의 삶을 엿보는 게 나에게 위로가 된다. 시인은 우월감에 도치되는 법이 없고, 문학과 사적인 일에 선을 긋고, 원칙을 고수하며 융통성이 없는 성품이어서 감각적 시보다 사실적 시가 시인과 걸맞다. 계산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는 시인의 자필 시집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에서 열반의 정서를 보았다.
-생명보험-
병원마다 장례식장마다 남아도는
죽음,
밥 먹을 때마다 씹히고
이빨 사이에 고집스럽게 끼어 양치질
해도 빠지지 않는 죽음이
오늘 밤은 형광등에 다투어 몰려들더니
바닥에 새카맣게 흩어져 있다
삶은 언젠가 나에게도 죽음 하나를
주리라
무엇이든 받을 준비가 되어있는 내 두
손은
공짜이므로 넙죽 받을 것이다.
시집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에서 -2015년 6월
편리를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 육 필 시집은 민 낯과 같다. 시집에서 시인은 고백한다. ‘나의 불구성을 상상력을 통해 견딜 만하고 놀만한 것으로 변형한 체험은 이후로도 계속 내 시에 남아, 내 더듬이로 하여금 내 생활이나 몸이나 주변 사람들이나 동물이나 사회제도 속에서 끊임없이 불구성을 찾아다니게 했던 것 같다.’
시인의 시 세계는 현실과 밀접하다. 세상에는 특별한 사람보다 평범하고 불행한 사람들이 더 많다. ‘생명보험’에서 공짜라 남아도는 죽음조차 두 손으로 넙죽 받고 싶은 겸손함. 시인의 언어는 부르주아들의 언어보다 불우한 환경으로 고통스러워 방황하는 현대인에게 맞춤형이다. 이는 몸소 겪은 고통을 사물과 인간에게 동일한 눈높이로 시를 썼기 때문이다. 시인이 선택한 시구는 거저 만들어진 게 아니다. 시인의 눈물과 아픔으로 만든 것이다. 시인은 자신의 업장을 시에서 하나하나 풀어가고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이명희 의 다른 기사
(더보기.)
|
|
|
|










이명희 의 다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