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어려울 때 공짜로 집주는 캐나다? 사실은...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6-01-29 15:33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0)
Social Housing

자유당(LPC)정부 연방 집권 정부가 된 후, 부동산 분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용어는 사회복지주택(Social Housing)이다. 정부가 더 짓겠다는 의지를 여러 번 피력했기때문이다.

사회복지주택은 대체로 저소득 입주자에게 시가보다 낮은 임대료를 받고 공간을 임대된다. 운영은 대부분 복지단체나 전문 기관에서 한다.

엄밀히 말해 무료는 없다. 입주자는 소득세 정산 자료 등을 제출해 저소득층임을 증명하면, 정부는 지원금(subsidy)을 사회복지주택 운영 단체에 지급해 임대료를 감면해주는 방식이다. 즉 정부가 임대료 일부를 입주자 대신 부담하는 것이다.

당면 문제는 메트로밴쿠버에는 이런 사회복지주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일단 시가보다 낮은 임대료라지만 시가가 워낙 높아 사회복지주택도 임대료 자체가 높게 정한 곳이 많다. 또한 연방정부의 보수당 정부의 결정에 따라 임대지원금은 폐지돼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 자유당은 부활 여부를 밝히지 않은 상태다. 

주정부의 지원제도도 지원금이 그 자체로 많지 않을 뿐더러 수혜기준도 소득이 낮은 수준 아니면 안 된다. 일반 주택 임대지원을 받으려면 12개월 이상 산 BC주민으로 근로소득이 세전 연소득 3만5000달러 이하·10만달러 미만 재산·최소 1명 이상 부양자녀가 기준이다.  이때 4인가족 최대 846달러를 월 임대료로 지원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주택이 숫자도 부족할 뿐 더러, 주거비용 부담이 큰 저소득층에 도움이 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연방정부-주정부-시청 간의 사회복지주택 관련 논의는 비용에 대한 제도적 지원보다는 주택 공급 자체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논의했다고 혜택으로 금방 이뤄지지 않는다. 예컨대 밴쿠버 시내 343고어 에비뉴(343 Gore Ave.)에 짓기로 한 172세대 사회복지 주택은 2014년 3월에 사업 결정이 돼 올해 1월에야 최종 허가가 나왔다.  물론 이 주택이 완성되면 큰 화제가 될 수 있다. 35세대에 한해 월 임대료를 375달러만 받기로 했기 때문이다. 나머지 104세대는 시장가격보다 ‘염가’에 임대돼 기회는 한정돼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24)
NDP leadership Crisis지난 2015년 10월 19일 연방총선에서 패배한 신민당(NDP)은 최근 지도력 위기를 맞이했다. 총선에 패배한 당대표는 자리에서 물러나고 새 당대표를 선출한 야당은 다음 총선을 대비하는 것이 일반이지만, 토마스 멀케어(Mulcair) NDP 당대표는 물러나지...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23)
New Political Economy of Welfare자유당(LPC)정부는 22일 발표한 연방정부 예산안을 통해 캐나다를 어떻게 바꿀지 명확하게 보여줬다.예산안을 중산층 납세자 관점에서 읽었을 때, 사회보장제도 보다는 감세에 더 점수를 주는 편인 기자의 눈에는 ‘결국은 몇 년 후...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22)
Banning Online Anonymity캐나다 사회는 금지할 때까지는 금지가 아닌 사회다. 자유가 기본이고, 사회적 문제가 생겼을 때야 자유를 규제할 규칙이나 법을 만든다. 온갖 금지와 규제, 공권력의 개입에 익숙한 사람이 보기에 캐나다는 엉성한 나라로 보일 수도 있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21)
Spotlight on Luxury Houses멋진 집을 보면 누가 살지 상상해보는 것은 캐나다인도 다르지 않다. 요즘 멋진 집 주인의 인상은 많이 망가지고 있다. 일부 집주인의 문제점들을 최근 캐나다 언론은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공영방송 CBC는 BC주 빅토리아시에 사는 한...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20)
To Keep Seniors Living Independently대부분 캐나다 노인들도 가능한 독립적인 생활을 누리고 싶어한다. 양로원·요양원을 구분없이 쓰는 경우도 있지만,  BC주정부는 양로원(assisted-living residence)과 요양원(residential-care home)을 구분한다. 양로원은 식사나 실내청결 등 노인...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9)
Carbon Pricing지난 2·3일 저스틴 트뤼도(Trudeau)총리와 각 주 수수상들이 밴쿠버에 모여 탄소가격제(carbon-pricing)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탄소가격제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주목된 온실가스(GHG)의 배출권에 가격을 매기자는 것이다. 온실가스의 대표로...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8)
Sharp Turn to Environment-Friendly Nation캐나다는 친환경 국가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자유당(LPC) 집권이전, 보수당(CPC)의 캐나다는 산유국이었다. 2009년 세계 경기 대침체(Great Recession)에서 캐나다를 구원한 것은 산유국 정책이었다. 보수당 정부는 환경보다는 개발을...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7)
Physician-Assisted Dying캐나다는 조만간 의사 지원으로 자살을 허용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독자의 문의가 있었다. 왜 존엄사나 안락사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굳이 ‘의사 지원으로 자살’이라고 부르는가 하는 것이다.안락사(euthanasia)는 ‘생존이...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6)
Meaning of Budget Deficit캐나다 언론은 23일 일제히 캐나다 연방정부의 막대한 적자 예산 발표 가능성을 크게 다뤘다. 큰 뉴스가 되는 까닭은 그 파장이 캐나다에 사는 이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자유당(LPC)정부는 경기부양정책을 계속...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5)
Marijuana Industry‘대마초=마약’이라는 캐나다 기준으로 보수성향을 띤 사람에게는 어처구니없겠지만, 최근 캐나다 업계에서 공공연하게 자주 언급되는 분야는 대마초 재배업이다.  저스틴 트뤼도(Trudeau) 총리가 지난 연방총선에서 대마초의   합법화를...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4)
Shaving their hair off사람들은 때때로 정치적 의미에서 삭발을 한다. 한국에서 삭발식은 대체로 항의의 표시인 경우가 많다. 정부에·고용주에·또는 귀 기울이지 않는다고 보이는 누군가를...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2)
Same Scene Different Point of View토론토 길거리에 죽은 너구리를 다른 너구리 한 마리가 나타나 소리를 내며 감싸 안는다. 차들은 너구리를 위해 정차했지만, 곧 경적이 울린다. 차들이 죽은 너구리를 돌아서 가는 사이 찾아온 너구리는 자리를 떠난다.길이 46초...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1)
Star’s Trial하늘에서 떨어져 이제는 나락을 확인하고 있는 캐나다의 라디오 스타, 지앙 고메시(Ghomeshi48)가 연일 화제다.고메시는 2007년 CBC라디오원의 문화토크쇼 큐(Q)의 호스트로 기용됐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0)
Social Housing자유당(LPC)정부 연방 집권 정부가 된 후, 부동산 분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용어는 사회복지주택(Social Housing)이다. 정부가 더 짓겠다는 의지를 여러 번 피력했기때문이다.사회복지주택은 대체로 저소득 입주자에게 시가보다 낮은 임대료를 받고 공간을...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9)
Overcoming Challenges캐나다 국가(國歌) 가사 중 “in all thy sons command”를 “in all us command”로 성(性) 중립적으로 개사하자는 의원 개인 법안(법안C-210)을 27일 상정한 모리...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6)
Canadian Newsroom Merger19일 캐나다 신문사들이 일제히 기사거리가 됐다. 포스트미디어(Postmedia) 산하 신문사 편집국(newsroom)이 일제히 합병하게 됐다. 메트로밴쿠버에서 발간되는 일간지...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5)
RRSP “season”매년 1월부터 2월 말 사이는 캐나다의 RRSP(세금 이연 효과가 있는 사설금융투자 상품)철이다. 꼭 RRSP투자를 해야만 하는 철이 있는 게 아니지만, 2월말까지 투자한 지분은 전년도 소득세 정산에, 소득공제 항목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세무 규정 때문에...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4)
Streaming Service Subscription캐나다인도 한국인과 마찬가지로 고속인터넷을 통해 영화나 TV, 음악을 즐긴다. 이제 더 이상 물리적으로 “쌓아놓고 즐긴다”는 개념은 없다. 비디오 테이프나 DVD를 쌓아놓고 본다거나, 레코드나 CD를 모은다는 취미는 이제 과거의 유물이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3)
Income Tax Report한 나라의 거주자라면 마땅히 해야 할 의무, 소득세 정산이 다가오고 있다. 한국에서는 ‘연말 정산’이라는 말이 익숙할 것이다. 캐나다 한인들은 ‘income tax report’를 번역해 대체로 ‘소득세 보고’ 라고 써왔다. 본보는 ‘소득세 정산’이라고 쓰고...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2)
Gloomy January영어의 관용적 표현 중에 ‘우울한 1월(Gloomy January)’이란 표현이 있다. 1월 초에서 중순으로 가는 이때쯤에 자주 대화나 글에서 등장하는 단어다.희망과 현실의 차이가 사람들을 우울하게 한다. 연말에 잔뜩 기분 내며 나눈 선물, 신년 기념 여행경비가...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