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한석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캐나다 사람에게 연어가 국민 생선이라면 한국인에게는 명태가 그러하다. 이전엔 명태가 흔하여 보통 서민들의 식탁을 독점해 왔지만, 언젠가부터 그 자리를 뒤로 물러설 만큼 요즘 우리나라 근해에서 명태잡이는 수월하지 않다. 마치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여 각종 아날로그 장비와 절차가 사라져 버린 것처럼 이젠 동해안 명태잡이는 옛말이 된 지 오래다. 알다시피 지금은 러시아산이나 일본산에 의존하여 소비를 충당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대중적인 고등어에는 고작 "간고등어" 라는 이름 외엔 다른 어떤 이름이 없지만 명태는 수많은 별칭을 갖고 있다. 생태, 동태, 황태, 노가리, 북어 등등... 여러 명태의 이름 중에 코다리는 색다른 어감을 느끼게 하며 어떻게 이런 코믹한 이름을 갖게 되었는지 알고 싶어 찾아보았다. 아가미와 내장을 뺀 명태에 코를 뚫어 서너 마리씩 한 줄로 꿰어 매달아 반 건조가 되도록 꾸덕꾸덕 말렸다고 해서, 다시 말하면 코를 꿰어 달아 매어 반쯤 말린 것이라 하여 코다리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완전히 건조된 북어와 달리 촉촉함이 남아 있어 훈제된 생선처럼 식감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진득하고 매콤한 양념이 뿌려진 조림이나 찜 요리에 좋은 이유는 반건조가 되어 푸석푸석했던 살이 단단해지므로 맛의 농축 성을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나이 드신 어른들의 입맛을 돋구는 별미 음식이 되어왔다.
유년 시절 아버지는 명태를 무척이나 즐기셔서 자주 밥상에 명태로 만든 음식이 올라왔다. 동태국을 드실 때면 어두일미라고 살 부위는 안 잡수시고 머리만 세밀히 발라 드시곤하여, 식사를 마치고 나면 국대접에 수북이 머리 발린 잔뼈들이 고봉밥처럼 쌓였다. 그것은 자식들에게 생선 살 한 점이라도 더 먹이게 하시려던 아버지의 감추신 사랑인 줄 몰랐다. 해체된 머리뼈에서 전투기 모양을 닮은 형태를 들고 비행하는 소리를 내며 철없던 장난도 생각났다. 먹다 보면 머리 부분에서 항상 이빨 같은 하얀 돌 두 개가 나오는 것이 궁금했다. 이것은 부레와 달리 생선이 헤엄칠 때, 균형을 잡아주는 묘한 구실을 한다고 알아가기도 했다. 아버지는 유난히 마른 북어를 쭉쭉 찢어 술안주 삼아 고추장에 찍어 드시길 좋아하셨고, 또한 어머니는 북어채 무침을 매콤새콤하게 무쳐주셨다. 그 중, 가장 좋아하신 것은 코다리조림이었다. 갖은 양념이 듬뿍 들어가야만 해서 어쩌다 가끔 만드셨다. 어머님이 만드신 코다리조림은 무어라 말하기 어려울 만큼 감칠맛 나는 밥도둑이었다.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고유의 손맛이 들어 있어서 그랬던 것일까. 다들 똑같은 재료를 썼는데, 도무지 어머님의 그 맛은 흉내낼 수가 없었다. 비법을 전달해도 미묘한 차이가 감춰있기에 어머님표 코다리조림은 영영 재현 불가능의 영역이 되고 말았다. 가끔 그 맛이 그리워서 주된 양념의 포인트를 기억하며 시도해 보지만, 매번 그 맛이 아니라고 고개를 흔든다. 신토불이의 손맛이던가, 살아계실 때에 자주 뵙고 솜씨를 물려받지 못한 것이 못내 후회스럽다.
가만히 명태라는 생선을 생각해 보면 이름도 다양하지만, 그에 버금가는 수많은 조리법과 아울러 이만큼 우리 생활 문화 속에 친숙하게 자리 잡은 생선도 없다. 한국인이 지닌 정서와 취향에 잘 어울려서 그런 것 같다. 한류성 회유 어종이자 심해어로 그 맛이 비리지 않고 담백하며, 생선 살은 풋풋하나 덤벼들지 않고 국물 맛이 시원하다. 북어는 막대기처럼 완전히 건조된 모양이 흡사 망자의 몰골이 연상되기도 한다. 그래서 "더덕북어"란 이름 아래 무속에도 쓰여 왔으며 한편 귀한 제사상에도 올랐다. 그런가 하면 개업한 가게 출입문 위에 하얀 무명 실타래로 묶어진 시커먼 북어를 걸어두어 악귀를 쫓는 역할도 했다. 심지어 두들기는 방망이 같은 구실도 했다. 혼례를 마치고 친구들과 모여 신랑을 매달아 뒤풀이를 가지면서 신부에게 노래를 시켰다. 그때 신부가 노래를 안 부르거나 멈칫멈칫하면 매달은 신랑의 발바닥을 향하여 아프도록 북어 막대기로 내려쳤다. 신랑이 아프다고 호소하면 놀란 신부는 얼른 노래를 불렀다. 그 때 들었던 신부의 수줍은 노랫 소리가 잊지못할 평생 추억거리가 되곤했다.
지금은 전부 수입산으로 국민 생선의 소비를 감당하지만, 한 때는 명태의 조업이 왕성하여 출항만 하면 만선을 이루는 시절이 있었다. 정부는 명태 자원 회복책으로 2020년부터 대량 양식업을 추진하여 명태 보호 수면을 지정하고 포획 금지 구역의 범위도 넓혀가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다시 동해안 명태잡이 어장이 되살아 숨쉬길 소망해 본다. 어디선가 동해 바다가 출렁이는 뱃사공의 흥겨운 노래 가락이 들려 온다. 살기좋은 원산이나 구경하다가 뜬금없이 이집트 왕의 미라 처럼 보이는 깡마른 북어가 된 자신을 본다. 어느새 가난한 시인의 친한 시가 되고 쫙쫙 찢겨 그가 마시는 소주 안주가 되어도 좋다고 호쾌하게 외쳐 부르는 우리 가곡 <명태>가 들려왔다. "내 몸은 없어질 지라도 내 이름은 남아 있으리라~ 크 크, 명태~!" 하고 노래가 마쳐질 무렵 나도 모르게 <명태 인생가>를 지어보았다.
명절이나 제사 후 먹는 생선전은 부드러운 십 대에
어린 노가리 구워 소주를 마시며 친구와 수다떨던 이십 대에
곤이와 이리가 들어간 매운 알탕은 삼십 대에 먹고
콩나물과 무 숭덩숭덩 썰어 끓인 얼큰한 동태찌개는 사십 대에
용대리 덕장에서 해풍으로 얼고 녹고 말린 누렁이 황탯국은 오십 대에
양념 듬뿍 매콤달콤 구수하게 찌고 졸인 코다리찜은 육십 대에 감칠맛을 알고
아가미와 내장으로 창란젓, 명란젓으로 짭조름 밥맛은 칠십 대에
명태 순대 장만하고 삭힌 명태 식혜로 고명 만들어 냉면과 비벼 먹는
팔십 대가 어느덧 와 있고, 말린 껍질 벗겨 돌돌 말아 튀각도 하고 볶아도 보니
이제 더는 맛 볼 것 없는 구십 대여라...명태~!
명태의 조리법은 참으로 다양하다. 굽든지 찌든지 말리든지 끓이든지 얼마나 서민의 일상 속에 깊숙히 들어와 있는지...머리부터 내장, 말린 껍질까지 그 용도를 말하면 명태로 해가 뜨고 명태로 해가 지는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성싶다. 예전엔 명태의 간이라 하는 "애"에서 기름을 짜내어 등잔 기름으로 사용했고, "애"를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고 했다. 세상을 밝히는 생선이니만큼 밝을 "명"자를 넣어 명태라는 이름이 당연히 생긴 것이라 짐작해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양한석의 다른 기사
(더보기.)
|
|
|
|










양한석의 다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