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화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가르치는 학생으로부터 나의 말투에 대한 불만을 들은 적이 있다. 선생님은 우리들의 말에 너무 즉각적으로 부정적인 답을 하는 편이라서 무안하고 서운할 때가 많았다고 했다. “내가 정말 그랬나” 하며 고개를 갸우뚱거리자 학생은 내 말을 흉내 냈다. “안 돼”, “그건 아니야”, “말도 안 되는 소리” 등. 그 말들은 쌀쌀맞고 공격적으로 들렸다. 어떤 상황에 대해 빨리 의사를 밝히려다 보니 상대방을 미처 배려하지 못했던 것 같다.
딱딱하게 들릴 수 있는 말을 부드럽게 전해지도록 하는 게 ‘쿠션 언어’다. 벽에 기댈 때 쿠션이 있으면 훨씬 편한 것과 같은 이치다. 이를테면 ‘미안하지만’ 또는 ‘무슨 말인지는 알겠는데’라는 말로서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다. 토론회에서 상대방과 나의 생각이 다를 때, “그렇게 말씀하시는 게 이해는 됩니다만, 저는 다르게 보고 있습니다”라고 말한 다음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라는 것이다. 이것이 쿠션 언어의 역할이다.
쿠션 언어가 상투적이거나 가식적인 말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말이란 낱말로만 전해지는 게 아니다. 말할 때의 표정, 어조, 몸짓까지 함께 전해진다. 진실한 마음으로 ‘죄송합니다만, 양해해 주신다면, 괜찮으시다면 ’이라고 한다면 상대방도 자신이 존중받는 느낌이 들면서 신뢰가 생길 것이다.
쿠션 언어에 농담을 곁들이면 더욱 효과적이다. 남편은 종종 밤샘 근무를 하고 이른 아침에 퇴근한다. 그리고는 기절한 듯 잠이 들어 너덧 시간을 내리 잔다. 그날 아침에도 그럴 줄 알고 잠시 은행에 다녀왔다. 현관문을 열고 들어서는데 덜거덕대는 소리가 들렸다. 부스스한 머리를 한 남편이 화난 표정으로 거실에 서 있었다.
“어디 갔다 오는 기고? 애들도 낮잠 자고 일어나서 엄마 없으면 우는 거 모르나?”
황당한 얘기였다. 이럴 때 강대강으로 가면 시끄러워진다.
“아이구. 당신이 놀랬구나. 나는 이제 당신이 더 큰 줄 알았지.”
나의 조용한 반격에 그는 더 말이 없었다.
말이 거친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그의 말투를 닮기가 쉽다. 채소를 아무리 부드럽게 데쳐도 냉장고에 들어갔다 나오면 질겨 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런 경향은 특히 유치원 아이들에게서 잘 드러난다. 부모가 아이에게 주주 소리를 지르게 되면 아이도 은연중에 따라 한다. 유치원 선생님이 제 뜻대로 해주지 않는다고 선생님에게 “선생님, 나가”라고 소리 지른 아이 얘기를 들었다. 거친 말을 쓰는 아이 뒤에는 더 거친 말을 쓰는 부모가 있게 마련이다.
말이 안 되는 소리라도 기분 좋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옳은 말이지만 기분 나쁘게 하는 사람이 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이 그런 의미다. 좋은 화법을 가진 사람은 다소 껄끄러운 말이라 해도 상대방의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전한다. 듣기 좋은 말만 해주는 사람에 둘러싸여 있으면 자신의 문제점을 알 수 없다. 그래서 객관적인 평가를 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평가와 조언과 충고를 할 때일수록 말에 예의와 진정성을 담아야 한다. 쿠션언어가 필요할 때다.
낯선 사람과 한자리에 앉아 있을 때, 침묵이 길어지면 불편하다. ‘무슨 말이라도 해야 할 텐데….’ 이때 상대방이 가벼운 농담이라도 건네 오면 반갑고 긴장감도 풀린다. 상황에 맞는 농담 한마디는 멋진 언어유희다. 어떤 토론회에 다녀온 뒤 그날의 주제는 어렴풋한데 비해, 그날 들은 농담 한마디는 또렷하게 남아있다. 그런 의미에서 농담도 쿠션 언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죽을 때까지 대략 오백만 마디의 말을 한다. 나의 경우, 말로 인한 영광보다는 말에서 비롯한 오해와 다툼과 갈등이 훨씬 더 많았다. 간간이 지난날 나의 말실수를 떠올리며 때늦은 후회를 한다. 주로 배려 없이 내뱉은 말 때문이다.
바둑을 둘 때 바둑 알도 허투루 두지 않듯이, 말도 ‘둔다’는 느낌으로 한다면 나의 언어생활도 조금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정성화 의 다른 기사
(더보기.)
|
|
|
|










정성화 의 다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