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당신의 눈을 아끼고 사랑하라

박오은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9-26 08:43

박오은 / 캐나다 한국문협 자문위원
  잔디가 제 색을 잃고 맥을 놓아 버렸다.
언제나 비가 오려나. 투명한 하늘이 오늘따라 흐릿하게 보인다. 2년 전에 다중 렌즈를 바꾸었는데 또 다시 바꾸어야 하나. 안 봐도 될 것을 너무 많이 봐서 그런가. 속절없는 세월에 눈이 먼저 신호를 보낸다. 카페를 운영한 지 열 네 해 째이고, 컴 작업을 좀 많이 하는 편이다. 간단한 건 아이패드와 아이폰으로 해결하는데 수시로 신호가 오고 깜빡이고 부르르 떨고… 어디 눈을 가만두는가.

  앞 못 보는 헬렌 켈러 여사는 사흘만이라도 앞을 볼 수 있다면, '동이 터서 낮으로 바뀌는 장대한 자연 현상과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 삶의 현장'을 직접 보고 싶다고 했다. 이러한 것들은 자연과 인간의 영혼 깊숙한 곳을 들여다보는 게 아닌가. 상상력은 자신이 겪은 기억의 그림자이고 간절히 바라는 희망이기도 하다. 느껴 보고 싶은 게 그녀의 소망이었다. 하지만 어느 영화에선 눈을 뜨게 된 소녀가 자신이 상상했던 세상과 너무나 다르고 두렵기조차 해 앞을 보지 못했던 그때를 그리워 했다던가. 4년 전에 타계하신, 우리 문협 고문으로 계셨던, 탄천 선생님은 시력이 약해져 4번이나 눈 수술을 받으셨다. 안경으로 교정하는 게 3번은 가능했지만, 4번째는 불가능했다며 부디 눈을 잘 보호하라고 당부하셨다.

  삶이란 얼마나 깊은 것인가. 몸과 마음으로 느낄 수 있지만 변하는 그 모습을 눈으로 감지한다. 무변 장대한 우주공간의 아름다운 변화도 눈으로 볼 수 있다. 보아야 느낄 수 있고 보아야 마음에 새길 수 있다. 세상에 폼 나는 문장들도 시력이 나쁘면 읽기 어렵고 무슨 암호처럼 날아다닌다. 눈은 마음의 호수이고 마음의 창이고 마음의 거울이다. 모든 감각이 다 소중하지만 그 중에서 보는 것이야말로 가장 값진 것이다. 젖은 스펀지처럼 마음이 무거워도 명문 한줄기를 맑은 눈으로 읽고 나면 마음이 고요하고 가뿐하다.

  중학교 때 종로 광안당으로 안경을 맞추러 갔다. 안경을 쓰기 싫어서 눈을 찡그리고 책을 읽다가, 어느 날 아버지에게 들켜 바로 안경원으로 끌려(?)갔다. 꾀부리지 말고 바로 안경을 쓸 것을, 아버지 손을 잡고 집으로 오는 데 세상이 달라 보였다. 기분까지 맑고 상쾌했다. 시력이 나빠도 안경으로 교정할 수 있으면 다행이다. 지금까지 안경을 쓰고 있지만 눈 관리는 철저히 하는 편이다. 안경 전문의 말이 나이에 비해선 눈 관리가 잘 되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요즈음은 지면 신문보다는 e신문이, 책도 e북이, 심지어 다달이 나오는 문학잡지도 웹진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간지는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예전의 책 읽는 맛이 추억으로나 남으려나. 책장을 넘기며 손가락에 감지되는 책갈피의 촉감을 아는 분은 다 아시리라.

  젊음이 봄을 타듯 세월은 가을을 탄다. 머지않아 초록을 거두고 옹색한 햇볕이 그림자마저 떼어놓을 것이다. 삶은 흐름이고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모두가 한때일 뿐, 쇠(衰)하는 것에 너무 연연해 하지 말고 나름 최선을 다해 사는 것이 삶의 지혜이고 삶의 아름다움이다. 우리는 눈을 뜨고 있으면서도 대충 보거나 잘 못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눈을 혹사하고 이미 전자기기의 노예가 되었다. 고맙고 소중한 시력을 아무렇 게나 사용하고 함부로 대하진 않는지 눈을 질끈 감고 한번 생각해 보시라. 평생 사용할 당신의 눈을 진정 아끼고 사랑하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칠월의 에필로그 2025.07.04 (금)
초록이 물오르면포도 광주리에 둘러앉아시퍼런 입술들이 깔깔대며구름 위를 달린다포식자의 먹잇감이풀을 뜯는 칠월은가슴에 품은 진초록이다칠월마다 삶의 이삿짐이옮겨갔지만진초록이 마르고 있음을 알지 못했다칠월은등줄기 진땀이어미의 젖가슴을훑고 가는 여름감기나의 노스텔지어 칠월에발을 담구면시리고 저리는 삶의 변주곡이장조로 화답을 한다
반현향
  나는 한국을 방문할 때 머물 곳이 마땅치 않아 호텔 신세를 지곤한다. 강남보다는 강북에 있는 호텔을 선호한다. 강남은 남에 나라에 온 것 같아 낯설다. 그래서 강북에 머문다. 60년대 모습과 정감이 조금은 남아 있어 길 찾기가 편하다. 또 혹시나 내가 남긴 옛 추억하나라도 만날 수 있을까 해서다. 50년대 후반 주경야독, 신문팔이, 고학시절, 자주 찾던 신문사들이 아직도 현존하는 광화문 근처에 머물고 있다. 석간 신문을 박아내는 우렁찬...
심정석
만년설 2025.07.04 (금)
소복이 쌓인 눈이어느새 쌓인 눈이하얗게 쌓인 눈이 봄이 왔다고마음대로 눈물이 된다 숨죽여 울고소리 내어 울고가슴 치며 울어도 녹지 않는 마음이라는 게 있다
문선혜
분가 2025.07.04 (금)
    아들이 분가했다. 처음 집을 떠나 독립해서 살아보겠다고 했을 때, 내 안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허전한 느낌이 훅! 들어왔다. 살인적인 고물가, 렌트비 등의 현실적인 문제를 아이가 지는 게 너무 가혹하지 않을까? 그런 염려스러운 엄마 맘이 먼저였다. 장남에게 은연중 믿고 의존해 왔던 내 기대어진 몸을 바로 세워야 하는 게 두려웠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6개월의 시간이 지났다. 아이는 지금껏 그래왔던 것처럼 지혜롭고,...
고희경
아침 이슬이여, 너는 어둠의 울타리에 걸어 놓은  내밀(內密)의 창(窓) 지순한 그리움의 초상이구나    춥고 습한 긴밤들을 눈물로 견디며 모든 고통의 순간들은 결국 숭고한 환희로 통하는 길이라는 지혜를 터득한 너의 맑은 이마여!                                           ...
안봉자
작은 아씨 2025.06.27 (금)
  어머니는 젖이 풍부하신 분이셨다. 우리 형제들을 키우면서도 일부러 젖을 떼려고 애쓰지 않고 아이가 먹겠다면 언제까지고 먹이려고 하셨다. 나도 거의 세 네 살까지 젖을 먹었다고 들었다. 내 밑에 막내 동생은 여섯 살이 넘도록 젖을 먹었다. 친구들과 밖에서 놀다가도 들어와서는 어머니 품을 파고들어 젖을 먹었다. 주위 사람들이 젖을 떼지 다 큰 애를 무슨 젖을 먹이냐고 하면 어머니는 이제 더 먹일 아이도 없는데 나오는 젖을, 먹겠다는...
심현섭
그리움 2025.06.27 (금)
사그라져 가는 물안개 아침 햇살에 부서지고   파도가 뿜어낸 당신 닮은 은빛 숨결 물 비늘이 허공 위로 흩어지네   그대 향한 서성임이 아픔의 태산 되어 울고   요란한 살여울 지쳐 밀려온 그 자리 차디찬 빙산 이어라   볕 뉘 사이로 스며드는 따뜻한 당신 목소리에 오늘도 목이 메이네
김정임
바람이 전해준 말 2025.06.27 (금)
  캐나다 웨이에서 오클랜드 스트리트로 우회전 핸들을 틀자마자, 눈부신 초록의 나라가 시야에 확 펼쳐졌다. 눈이 맑아지고 머리가 시원해진다. 문득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로 시작되는 설국(雪國)의 첫 페이지가 떠올랐다. 하얀 눈의 나라로 들어가는 대신, 나는 온 세상이 초록으로 물든 별세계로 들어가는 느낌이 들었다. 이 길은 조금 지나면, 디어 레이크 파크 숲을 우측으로 끼고 돌면서 계속...
지연옥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집도의는 캐나다에서도 이름 있는 Doctor라 했다. 수술실에 들어가니 남자가 7사람 여자 두 사람이 있다. 수술은 집도의와 보조의가 하겠지만 의대생들이 견학하는 걸 허락했던 것이다.수술은 성공적으로 잘 마무리 된듯하다. 수술을 하고 정신을 차려보니 방광에 호스를 꽂아 소변을 받아내고 양팔 혈관에 주사바늘을 고정시켜 줄이 달려있다코로 호수를 따라 식사대용 영양제가 들어간다. 또 수술한 부위에도 호스를 넣어...
박병준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암이 자리 잡은 곳, 그 위치가 어디인가. 그게 중요하다.폐라면 힘 든다. 췌장이라면 수술이 어렵다. 급성으로 여러 군데 전이가 되었다면 걷잡을 수 없이 위험하다.내게 온 곳은 목이다. 후두암이라고도 한다. 그 자리는 어떤 곳인가?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부분이다. 거기는 기도(Air way)와 식도가 만나는 곳인데 코와 입을 통해서 공기가 들어오고 또 입에서 식도로 넘어오는 음식이 지난다.또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가...
늘산 박병준
늘산 본인이 암 판정을 받고 수술을 하고 퇴원을 하면서 그간에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싶습니다. 이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암에서 예방될 수 있는 일에 다소나마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암의 발견은 우연적일 수도 있고 필연적일 수도 있다.나는 우연적이라 생각하며 그나마 일찍 발견하였다는데 다행이라 생각한다.산에서 사람을...
늘산 박병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