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너구리 길 건네주는 사람

송무석 ch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11-07 10:14

송무석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수십 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는 꿩이나, 산토끼는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이었다. 농한기인 겨울 어른들은 눈이 덮인 들판에 독을 넣은 콩을 뿌려 먹이를 구하기 어려운 동물들을 잡았다. 나도 덕분에 꿩고기와 토끼 고기를 적어도 한 번은 먹어볼 수 있었다. 우리가 가난하고 먹을 게 적었기 때문에 이렇게 야생동물들을 잡아먹었다. 이렇게 야생동물을 사냥하고 농약을 많이 써서 먹이 사슬을 끊은 까닭에 우리나라는 이제 시골에서도 야생동물을 발견하기 힘들다. 만약 꿩 같은 야생동물의 고기를 판다면 그것은 분명 농장에서 닭처럼 키운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이 동물들을 잡아먹었기 때문인지 우리나라 야생동물들은 사람만 만나면 도망가기 바쁘다. 목숨을 보전하려면 온 힘을 다해 도망가야 한다는 것을 체득한 것이리라.

캐나다에 와서 야생동물을 자주 조우해 놀랍기도 하지만 정작 신기한 일은 너구리건 작은 다람쥐건 기러기건 많은 야생동물이 사람을 봐도 도망가기는커녕 가만있거나 멀뚱멀뚱 쳐다본다는 점이다.캐나다 사람들은 우리보다 오래전 이런 동물들은 사냥하지 않아도 될 만큼 잘살게 되었고 일찍 동물 보호에 대해 인식을 했기 때문에 이 나라 동물들은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게 된 것이리라. 엄연히 캐나다는 야생동물들에게 먹이를 주면 적정 수준 이상으로 개체 수를 늘려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린다고 이를 금지하고 벌금을 물린다. 하지만, 타인헤드 같은 공원에서도 심지어 상가 주차장에서도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사람을 종종 보게 된다. 그러니, 매닝파크나 록키산맥의 다람쥐처럼 사람을 보면 도리어 다가와 먹이를 달라고 하는 모습을 하기까지 하는 게 아닌가.

눈이 덮인 알프스산맥에 먹이를 구하지 못한 동물들이 굶어 죽지 않도록 위험한 길을 몇십분씩 달려 먹이를 뿌려주는 스위스 공원지기를 방송에서 본 적이 있다. 헬리콥터를 동원해 겨울에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캐나다 야생동물 보호원의 기사를 읽은 적도 있고. 요즈음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겨울철에 야생동물 먹이를 준다지만 야생동물 보호라는 생각이 여전히 낯선 내게는 이런 일이 별나 보인다.

우리 집에는 옆집 큰 개 덕택인지 다녀간 흔적으로 분비물을 남기고 가던 너구리 가족이 한동안 안 보여서 좋아했다. 그런데, 요즈음 다시 등장해서 뒤뜰에 실례하고 가는 것은 물론 식구들이 뜰에서 신는 신발을 뜯어 못 신게 만들기도 한다. 덕분에 밤마다 신발을 치어 놓아야 한다. 창문을 두들겨도 멀뚱멀뚱 쳐다보면서 가만히 있는 너구리 녀석들은 꼴 보기 싫다. 청설모도 자주 와 견과 껍질 등을 남기고 때로는 땅에 견과를 묻어 놓고 가지만 그 정도는 애교로 봐 줄 만하다. 청설모와 너구리는 때로는 화분에 심어 놓은 오이를 따 먹다가 버리고 가고 시퍼런 토마토까지 따 놓는다. 나는 블루 제이와 벌새의 방문을 반기며 가만히 그들의 움직임을 쳐다본다. 개똥지빠귀는 가을에 작고 빨간 열매를 다 먹을 때까지 쉼 없이 날아오지만,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게 블라인드를 내려놓으면 그만이다. 까마귀는 자주 오지만 시끄러운 울음소리를 빼면 별로 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번 수요일 지리가 익숙지 않은 밴쿠버 다운타운 식당을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운전해 찾다가 그만 길을 놓쳐서 스탠리파크를 본의 아니게 일주하게 되었다. 그때 프로스펙트 포인트 부근에서 한 여자분이 두 살 정도의 아이와 길을 막고 선 것을 보고 차를 멈추었다. 도대체 무슨 일인가 궁금해 살펴보니 너구리 세 마리가 숲에서 나오고 있었다. 그분은 너구리들이 무사히 길을 건너서 반대편으로 가게 해 주고는 아이를 데리고 길을 벗어났다. 나는 집에 출몰해 말썽을 부리는 너구리가 얄미운데 저분은 너구리의 안전을 위해 유아까지 길에 내려놓았다니! 그분 덕분에 야생동물의 생존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야생동물들은 갈수록 살 곳을 잃어가고 있다. 사람들이 주거지를 넓혀 갈수록 그들이 살 곳은 없어질 수밖에 없으니. 주거 공간에까지 등장해 우리 생활을 귀찮게 하는 너구리 같은 녀석들은 싫지만,점점 더 새로운 공간을 개발해서 숲과 산, 바다를 없애는 등 우리 사람의 영역을 스스로 너무 확장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된다. 사실 우리가 주로 대하는 동물은 사람이 사는 공간에 잘 적응한 동물이다. 가축은 아니지만, 집에서 나가 야생화된 고양이, 사람이 기르다 버린 토끼, 너구리, 쥐처럼. 이와 달리 사람 근처에 살 수 없는 동물을 위해서 사람이 개발하거나 들락거리지 않고 그네들만이 살 수 있는 공간이 보전되어야 한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포유류 질량의90% 이상이 사람과 가축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우리 사람은 다른 동물이 더는 상대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강한 존재가 되었다. 우리가 개발과 모험을 자제하지 않으면 지구 곳곳이 우리만이 살아가는 공간이 되고 말 것이다. 나는 이렇게 다른 동물의 생존을 위한 공간을 남겨 놓는 것이 단지 겨울철에 굶어 죽지 않도록 먹이를 나눠주는 것보다 더욱 근본적으로 야생동물 종이 보전되고 살길을 열어주는 길이라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선택 2025.11.24 (월)
  2016년 2월 12일, 나는 에어 캐나다의 서울행 비행기에 있었다. 어제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급하게 자리를 하나 구해서 다음날 출발할 수 있었다.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화장실에 가지 않았다. 급한 대로 나에게 벌을 내리고 싶었다. 밤을 헤치고 달려서 도착한 오랜만의 인천 공항은 익숙하지 않았다. 익숙한 한국어로 물어물어 공항을 빠져나왔다. 연락받고 공항까지 마중 나온 친구들의 도움으로 도착한 장례식장에서 생각과 달리 눈물이...
예종희
한 해를 보내며 2025.11.24 (월)
한 해를 보내며                     로터스 정병연 지나온 세월이여 그대는 내 마음에 깊이 머무네푸른 하늘 아래 서서 햇빛이 내리는 곳에서 나는 한 송이 꽃이 되어 열심히 피어났노라 흔들린 꽃잎 위에 지나온 시간이 내려앉고 기쁨도 슬픔도 모두 빛이 되어 나를 채웠네오늘도 감사하노라 여기까지 걸어온 길 땀과 눈물로 일군 날들 모두가 축복이었음을 이제 한...
로터스 정병연
  요즈음 예전에 손주들과 같이 지내며 찍은 사진들을 보면 남편도 나도 그때는 이렇게 젊었었구나 하고 새삼 놀란다. 10년 전 사진을 보면 완전히 젊은 청장년 같고, 불과 2, 3년 전에 찍은 최근 사진들도 지금의 모습보다 훨씬 젊어 보인다. 아니, 언제 이리 늙어진 것인지 세월이 날아가는 것 같다.   청 중년에서 장년으로 되면서 늙어 간다는 것을 별로 느끼지 못했는데, 70세가 넘으면서 거울 속에 비치는 많은 흰머리와 약해진 피부 탄력에...
김현옥
소망의 씨앗은청춘 언저리에 쌓여들썩거리는데노안의 이 가슴은씀벅씀벅 아리다 뭉게구름 몽실 그리움 피우고낙심의 구름 회색 물로 울먹이고절망의 구름은 먹물을 토해 놓고무거워진 솜털 기다림으로 말린다 하늘에 사는 구름도저리 갈팡질팡하는데땅에 사는 우리네오죽하겠는가 우리, 그저바람 먹고 구름 보고꽉 찬 욕심에 쓰린 가슴 뒤집어로키의 침묵 속에 부려 놓고까짓거 나를 잊는 것도 좋으리나를 지우면 너가...
한부연
누가 쏘았을까독침 날아와심장에 박힌다벌떼는 귓속에까치는 머리에 살아서내 안에 서러운 항아리괜찮다 괜찮다고 말해본다아니다 아직은 아프다불면의 따가운 눈잿빛 거리를 서성인다보라눈보라 치는 날의 쥐똥나무를각 세워 몸통 잘린 채로홀로 푸르르다시렁 위 등불 켜고천 길 아래로 무릎 꿇고옹이진 마음 비워내던 날길모퉁이 키 작은 그 나무나를 보고 말한다산다는 것은 견디는 것이라고꾸욱하얀 그 꽃향기 가슴에 찍힌다.
김계옥
코다리의 추억 2025.11.14 (금)
  캐나다 사람에게 연어가 국민 생선이라면 한국인에게는 명태가 그러하다. 이전엔 명태가 흔하여 보통 서민들의 식탁을 독점해 왔지만, 언젠가부터 그 자리를 뒤로 물러설 만큼 요즘 우리나라 근해에서 명태잡이는 수월하지 않다. 마치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여 각종 아날로그 장비와 절차가 사라져 버린 것처럼 이젠 동해안 명태잡이는 옛말이 된 지 오래다. 알다시피 지금은 러시아산이나 일본산에 의존하여 소비를 충당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양한석
쿠션 언어 2025.11.14 (금)
  가르치는 학생으로부터 나의 말투에 대한 불만을 들은 적이 있다. 선생님은 우리들의 말에 너무 즉각적으로 부정적인 답을 하는 편이라서 무안하고 서운할 때가 많았다고 했다. “내가 정말 그랬나” 하며 고개를 갸우뚱거리자 학생은 내 말을 흉내 냈다. “안 돼”, “그건 아니야”, “말도 안 되는 소리” 등. 그 말들은 쌀쌀맞고 공격적으로 들렸다. 어떤 상황에 대해 빨리 의사를 밝히려다 보니 상대방을 미처 배려하지 못했던 것 같다....
정성화
부탁 좀요제발 바짓단 좀 걷으래요세상이 불편한 평발그냥… 아무거나 좀 주세요제발 발 발 좀 주세요아니 동그라미세 개쯤그거 신으면 나도 굴러갈 수 있을 것 같아요움직이지 않으면 뿔나요진짜로알고 보면 신앙 비슷한 뿔괜히 생겼다가방향도 없이 커지는 고집 같은 것한 번 주저앉으면세상이 미는 대로도 안 가요움직임이 나를 밀어도나를 꺾지 못하는 믿음이 있죠꼭대기는 늘 떨려요정점은 나래처럼 흔들리고누군가는 거기서매일...
하태린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집도의는 캐나다에서도 이름 있는 Doctor라 했다. 수술실에 들어가니 남자가 7사람 여자 두 사람이 있다. 수술은 집도의와 보조의가 하겠지만 의대생들이 견학하는 걸 허락했던 것이다.수술은 성공적으로 잘 마무리 된듯하다. 수술을 하고 정신을 차려보니 방광에 호스를 꽂아 소변을 받아내고 양팔 혈관에 주사바늘을 고정시켜 줄이 달려있다코로 호수를 따라 식사대용 영양제가 들어간다. 또 수술한 부위에도 호스를 넣어...
박병준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암이 자리 잡은 곳, 그 위치가 어디인가. 그게 중요하다.폐라면 힘 든다. 췌장이라면 수술이 어렵다. 급성으로 여러 군데 전이가 되었다면 걷잡을 수 없이 위험하다.내게 온 곳은 목이다. 후두암이라고도 한다. 그 자리는 어떤 곳인가?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부분이다. 거기는 기도(Air way)와 식도가 만나는 곳인데 코와 입을 통해서 공기가 들어오고 또 입에서 식도로 넘어오는 음식이 지난다.또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가...
늘산 박병준
늘산 본인이 암 판정을 받고 수술을 하고 퇴원을 하면서 그간에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싶습니다. 이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암에서 예방될 수 있는 일에 다소나마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암의 발견은 우연적일 수도 있고 필연적일 수도 있다.나는 우연적이라 생각하며 그나마 일찍 발견하였다는데 다행이라 생각한다.산에서 사람을...
늘산 박병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