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에서 흔하게 보이는 의료용 대마초 가게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4-20 15:21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6)
밴쿠버 시내 곳곳에 간판을 걸고 영업 중인 ‘의료용 대마초(Medical Marihuana)’가게는 ‘대마초=마약’인 한국인 정서에서는 기이한 풍경이다.

의료용 마리화나는 캐나다의 쟁점이다. 보건부는 대마초를 약품·의약품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정부 입장과 판이한 대마초 가게 영업 배경은 연방법원이 “의사의 처방전이 있으면, 대마초 구매를 보장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속내를 보면 정치 싸움이다. 2001년 자유당(Liberal) 연방정부는 의사의 처방과 면허를 받아 개인이 대마초를 재배하거나, 약국서 살 수 있게 일부 규제를 풀었다. 첫 해 100명이 이용했으나 곧 4만명에 가까운 이가 처방·면허를 받고 대마초를 길렀다. 

2006년 보수당(Conservative)이 집권하며 규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2011년 총선서 보수당이 의회의석 반을 넘어 앞서 5년간 소수집권을 청산하자, 규제는 본격화됐다. 야당의 표결협조가 없더라도 법안 통과를 자신하게된 보수당은 2014년 4월부터 환자 개인 대마초 재배권 폐지 및 보유량을 제한하는 MMPR법을 입법했다. 그러나 법령시행 전 연방법원은 보유량 제한은 합헌이나, 이용권은 보장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때부터 이른바 ‘의료용 대마초’ 가게가 우후죽순으로 생기기 시작했다. 현재 일부 의사의 대마초 처방남발과 청소년 규제 필요성이 제기된 상태다. 

시민권자라면 올해 총선에서 투표로 대마초 정책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여당은 대마초에 반대한다. 스티븐 하퍼(Harper)총리는 기자간담회 중 대마초 허용여부 질문에 “몸에 해로우니 당연히 금하자는 것 아니냐?”고 반문한 바 있다.  야당 자유당(Liberal)의 저스틴 트뤼도(Trudeau) 당대표는 대마초 흡연 경험 질문에 “있다”고 답하고, 주류(酒類)법처럼 성인에게는 선택권을 주고, 청소년 대상으로 규제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중도·보수 여당와 중도·진보 야당이 반대·찬성을 표한 가운데, 진보 신민당(NDP) 토마스 멀케어(Mulcair) 당대표는 ‘개인의 선택’으로 자유당과 같은 입장을 표했다.

사진=밴쿠버 시내 마리화나당(黨) 당사와 대마초 판매점. 사진= Flickr/Chrystian Guy (CC)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1)
"Sleep well" 밴쿠버테크니컬세컨더리(이하 밴텍)와 UBC는 지난해 공동으로 고등학생의 건강과 심리에 관해 재학 중인 학생 907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진행했다. 프레이저연구소의 2012·13 학교평가보고서를 보면 벤텍은 BC주 283개 세컨더리(고교) 중 125위로 중간...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0)
Income Tax Returns2014년도 개인소득세정산이 오는 5월 5일 만료된다. 캐나다 국세청(CRA)은 27일 기준 납세자의 86%에 해당하는 1340만명이 정산을 끝낸 상태라고 밝혔다. 자영업자와 배우자는 정산신고는 6월 15일까지 해야 하나, 납세할 금액이 있으면 역시 30일까지...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9)
캐나다의 구호국력지난 25일 진도 7.8지진이 인구 3100만명 네팔과 수도 카트만두를 강타했다. 수 천명이 파괴된 건물 밑에 깔리는 등 80년 만의 최악의 지진을 당한 나라를 향해...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8)
하우스쉐어의 악몽캐나다인 중에도 살림에 보템이 되고자 방을 빌려주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 가운데 지난해 노바스코샤주 핼리팍스에서 일어난 로레타 손더스(Saunders·26)씨...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7)
RRSP와 RRIF캐나다는 사회주의국가가 아니다. 신자유주의로 칭해지는 현대 자본주의 교리에 충실한 나라다. 이웃 미국보다 조금 나은 의료보험, 한국보다 조금 앞선 연금제도가 있을 뿐이다. 인생의 고비를 나라가 책임지기보다는 미리 투자해...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6)
밴쿠버 시내 곳곳에 간판을 걸고 영업 중인 ‘의료용 대마초(Medical Marihuana)’가게는 ‘대마초=마약’인 한국인 정서에서는 기이한 풍경이다. 의료용 마리화나는 캐나다의 쟁점이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5)
"에밀리 가믈랭(Gamelin) 수녀가 몬트리올에 프로비던스 수녀회(the Sisters of Providence)를 1843년 창립해 북미 전역에 양로원·고아원·병원·학교를 지은 것이 우리 병원 시초입니다" 밴쿠버...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4)
대체로 우방국 정상이 나라를 방문하면, 손님 예우차원에서 외교 성과라 할 수 있는 협약을 맺는 모습은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물론 외교 성과는 정상이 왔다해서 급조된 것은 아니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3)
봄하면 떠오르는 꽃 중에는 대퍼딜(Dafodil·노란 수선화)이 있다. 이 중에서도 4월은 노란 봄 꽃, 대퍼딜의 달이다. 이 시기에 피는 꽃일 뿐만 아니라 캐나다암협회(Canadian Cancer...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2)
메트로밴쿠버 주민들은 언젠가 대규모 피해를 유발할 대지진, 통칭 ‘빅원(Big One)’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산다. 매년 주정부 주도 비상사태 대응 훈련은 지진발생 후...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
2016년도 캐나다 연방정부의 예산 발표를 앞두고 TFSA(Tax Free Saving Account) 투자 한도 증액 가능성이 화제다. 매년 투자 한도(Contribution limit) 내 투자한 금액에서 발생한 소득에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 저축·투자권장 제도다. 2009년 도입부터 2012년까지는...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