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찬밥과 화장실 청소

송무석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8-14 17:15

송무석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문정희 시인의 <찬밥>을 읽다 어머니와 아내의 생활을 다시 생각했다. 엄마가 찬밥을 혼자 드시던 일을 떠올리면서 엄마를 향한 그리움에 찬밥을 먹는다는 시다. 밥을 꼭 알맞은 만큼만 지을 수는 없다. 그렇다고 식구들이 먹을 밥이 부족하게 지을 수도 없으니 보통 조금은 밥이 남게 된다. 그 남은 밥은 보온밥통도 없던 시절에는 찬밥이 되게 마련이다. 그 찬밥은 누가 먹었을까? 말할 것도 없이 엄마, 가정주부의 차지였다. 나는 그런 '찬밥을 누가 먹는가' 하는 이야기를 문정희 시인처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으로 표현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여성의 희생과 가정 내 역학 구조에서 생각해 보고 싶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는 남성이 가계의 주 소득원이자 거의 유일한 소득원이었다. 밖에서 돈을 벌어 오는 남편을 위해 주부는 아침 일찍 일어나 따스한 밥을 지었다. 저녁에도 물론 넉넉지 않은 살림에 지혜를 짜내어 반찬을 준비하고 김이 폴폴 나는 밥을 지어 식구들을 먹였다. 지금은 우리 사회도 맞벌이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 여성의 소득은 다른 사회처럼 남성에 비교해 적다. 그리고 막벌이하는 집이어도 우리나라는 남성의 가사 참여가 잘 사는 국가 중에서 가장 낮다. 남편을 위하는 아내의 마음, 아이를 사랑하는 엄마의 마음으로 주부들은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늘 식구들에게 맛나고 좋은 음식을 먼저 떠서 준다. 그래서 막상 요리하는 주부는 남은 음식을 먹게 된다. 이러니 찬밥도 주로 주부가 먹게 된다.
나는 아내가 이러는 것이 싫어서 결혼 초부터 자주 아내의 반대를 무릅쓰고 찬밥을 가져다 먹었다.이를 막기 위해 아내는 찬밥을 종종 숨기고. 그러다 보니 우리 집에서는 종종 찬밥 보물찾기를 하게 된다.

 왜 여자들만, 특히 주부만 찬밥을 먹을까? 물론 가족을 아끼는 마음이 앞서서 주부가 스스로 그렇게 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뿌리 깊은 우리 사회의 남녀 차별적 사고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할 수 없다. 어려서부터 남자를 받드는 사회 속에 길들어진 것이다. 빵과는 달리 밥은 따스해야 맛이 더 좋은데 전자레인지에 간단히 데워 먹을 수도 없던 시절 찬밥은 누구도 가능하면 먹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주부의 희생을 보여주는 다른 예로 나는 화장실 청소를 들고 싶다. 아직도 많은 가정에서 청소는 주로 여자 그러니까 주부가 한다. 더군다나 화장실 청소라면 남자분이 하는 경우가 많지 않을 것이다. 집 안 청소라면 아내를 밀치고 하던 나지만 화장실 청소는 30년 가까운 결혼 생활을 하면서도 오랫동안 주로 아내의 일이었다. 그러다 수년 전 어느 날 내가 더럽다고 여기는 일을 왜 아내가 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기면서 그 이후론 되도록 화장실 청소도 내가 한다. 또, 화장실 청소용 세제가 여성 호흡기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기사를 본 이후 화장실 청소를 더 열심히 내가 하려 한다.이렇게 화장실 청소를 하면서 나는 징그럽다고 못 하는(?) 고기나 생선 다루는 일을 하는 아내에 대한 미안한 마음이 조금은 덜해진다.

 찬밥을 먹는 일이나 화장실 청소를 하는 일이나 우리 어머니나 아내들이 도맡아 해 왔다는 것은 그분들의 가족을 위한 희생을 보여준다. 하지만, 반면에 왜 누구나 먹기 싫고 하기 싫은 걸 여자분들만 했는지 숙고해 보면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남성 우위적 사고와 어느 전통사회에서나 뚜렷했던 성 역할 구분에 그 근본적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틀을 깨고 어머니와 아내들에게 따스하고 맛있는 밥을 먹고, 불쾌한 화장실 청소를 안 할 기회를 줄 사람은 바로 생각을 바꾸는 남편, 남자들일 수밖에 없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동숙의 자매들 2021.03.08 (월)
송무석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어린 시절 들었던 문주란이 부른 ‘동숙의 노래’에 얽힌 사연을 한 회원분이 단체 카톡방에 올리셨다. 덕분에 이 노래가 나오게 된 배경을 알게 되었다. 초등학교도 못 나오고 구로공단 가발 공장에서 일하며 검정고시 학원에 다니던 순진한 여성의 비극적 삶이었다. 어쩌다 그 학원의 총각 선생님을 사랑하게 되었는지.... 그 글에 나온 대로 그러한 무수한 어린 소녀와 소년...
송무석
바람 2021.02.22 (월)
송무석 / 한국문협 밴쿠버지부어디서 불어온 바람이었을까. 나는 그를 타고 세상을 날아다녔다. 바람은 바람이 되어 고개를 빼 들고 눈을 벼리고 찾아다녔다.   어떻게 바람이 내려앉을 곳을 찾았는지는 모른다. 뿌리칠 수 없는 향기였는지 혹은 아름다운 자태였는지. 아무튼 바람이 내려놓은 그곳에서 자리 잡고 머무르는 방법을 익혀갔다.   그러면서, 깨달아갔다. 바람은 더는 떠돌지 말고 기대어 살도록 나를 여기에 데려왔다는...
송무석
거미 2020.11.16 (월)
네게 필요한 것은 먹이뿐인가 보다. 집도 몸에서 빚어내고. 아무 데나 줄을 이을 수 있는 곳이라면 체면도 가리지 않고 자리 잡고서는 온몸의 감각을 벼리며 죽은 듯이 기다리지. 이곳저곳 두리번거리면서 더 나은 땅, 더 좋은 기회를 좇는 우리와 달리 너는 삶의 운명을 온전히 몇 가닥 줄에 걸고는 무작정 인내하지. 오늘이고 내일이고 굶주릴까 걱정조차 없는 듯이. 먹을 걱정을 떨구고도 내일을 미래를 준비한다면서 창고를 가득 채우고 또 창고를...
송무석
잠자리 2020.06.22 (월)
잠자리가 날고 있었다,채집망을 용케도 피하며유유히 넓은 하늘을 누비는자유를 만끽하면서 잠자리처럼 자유를 좋아하지,무엇에도 매이지 않고마음대로 떠도는그런 자유를 채집망을 더는 들지 않고무얼 하고 있는지도 잊고정신없이 날다무언가에 부딪치게 되었어 안간힘을 쓰며 날아오르려 해도망 속의 잠자리는주저앉는 그물 안에서점점 힘이 빠져가는 중이야
송무석
고압선 2020.01.22 (수)
평행선을 그으며 끝없이 달리는 것이 너희뿐이냐만   차라리 평행을 이루는 것이 나을 수도 있지, 조금도 굽히지도 양보하지도 않고 제 뜻만 내세워서야 만나면 불꽃을 피우다 모두 스러지고 말 것을   고압의 전기가 흐르지 않는데도 서로를 재로 만들려는 듯이 분노를 드러내기도 하는데 차라리 너희처럼 평행을 달리는 게 낫지  
송무석
  우리 집 패밀리 룸은 정남향이고 동쪽 서쪽 남쪽이 모두 커다란 유리창으로 되어 있어 밤이 아니면 늘 환하다. 여기서 뜰을 보면 마치 정원 속에 앉아 있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 우리는 햇빛이 강렬하고 무더운 여름 며칠을 제외하고는 늘 유리창 가리개를 젖혀 놓고 산다. 하지만 가을이 깊어 가면 우리는 할 수 없이 패밀리 룸 한쪽의 블라인드를 창틀 아래까지 내려놓아야 한다. 바로 새들 때문이다. 옆집에 이름을 알 수 없는 앵두같이 작고 빨간...
송무석
2019.08.26 (월)
때로는 배수구였으면 한다들어오는 모든 말들을여과 없이 그대로 흘려보내는한쪽으로만 흐르는그 모습이 싫다면두 팔 활짝 벌린 문이라도 좋다방향을 가리지 않고 살랑거리며온갖 바람에 장단을 맞춰 주는나뭇잎이면 어떤가그런데, 어쩌지소리에 절로 반응하는 악기는신호를 발신하느라 바쁘니.
송무석
빨랫줄 2019.04.15 (월)
이 처마 저 처마가혹시나 질까 봐얼굴이 빨개지도록힘껏 서로 당기고 있을 때나는나비가 꽃인 줄 알고 내려앉던 분홍 영희 옷어깨가 처질 만큼 무거운 아빠 외투거기에 지난 밤에 영수가 누런 그림 그린 요까지모두 팔 높이 받쳐 들고고개 들어 볼 수 없이 찬란한 햇빛 아래끙끙거리며 땀방울을 날렸다신기하게도 해가 서쪽으로 걸어갈수록팔은 가벼워져 콧노래가 나오고내 마음도 뽀송뽀송하루가 보람 있었다마당도 없이 사는요즈음 보람이네...
송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