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포도밭 지기의 추억

송무석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7-11-10 16:22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수필

요즘 한국 슈퍼에 가면 ‘라고 포도’라고 한국에서 먹던 캠벨 포도와 같아 보이는 품종의 포도를 판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밴쿠버에서 파는 검은 포도는 몇 알씩 잘려서 작은 초록색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다. 인건비도 비싼 나라에서 왜 일부러 포도송이를 잘게 잘라 담았나 하는 의문이 든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포도송이가 크지 않고 낱알처럼 흩어져 있는 포도는 상품 가치가 없다. 그래서 도매 시장으로 출하하지 않고 과수원에서 직접 포도주용으로 아주 싼 값에 팔았다.

나는 한국에서 먹던 검정 포도의 달콤한 맛을 잊을 수 없어서 한국 포도를 좋아하는 딸아이와 함께 가끔 이 포도를 사 먹었다. 한국 포도는 캐나다에서 흔히 파는 포도와 달리 껍질과 알맹이가 쉽게 분리되어 알맹이만 먹는 분도 많다. 하지만, 나와 딸아이는 포도 씨만 뱉어내고 포도 껍질까지 다 먹는다. 포도 껍질에 영양분이 많이 들어서 건강에 좋기 때문이기보다는 잘 익은 포도 껍질을 깨물어 먹어야 정말 포도의 참맛을 느끼기 때문이다.

나는 어렸을 때 여름 방학이 되면 포도밭 지기로 아침을 먹으면 곧장 포도밭으로 가 원두막을 지켰다. 다른 오누이들이 가끔 같이 가기도 했지만, 포도밭은 주로 내 담당이었다. 포도밭에는 포도가 가장 많이 심겨 있었지만, 자두, 살구와 복숭아도 있었다. 아버지께서는 제일 먼저 자두를 따서 팔았고 그다음이 복숭아였다. 그런데 자두는 따서 카바이드를 넣어 저장고에서 익힌 다음에 출하해야 했고, 복숭아는 털이 너무 따가워서 나는 껍질을 어른들이 벗겨 주시지 않으면 먹지 않았다. 그러니 포도밭에서 내가 스스로 따 먹은 과일은 포도뿐이었다. 8월이 깊어가면 포도가 까맣게 잘 익어 갔다. 그때가 되면 나는 원두막에서 자주 내려와 관리하기 쉽게 철삿줄에 묶인 포도나무 밑으로 갔다. 먼저 송이가 큼직한 포도송이를 찾고 병충해를 막으려고 씌워 놓은 하얀 봉지를 살짝 찢어서 까만 포도알 위에 낀 하얀 분이 벗겨진 포도만을 골라서 땄다. 포도밭에는 캠벨 외에도 델라웨어와 청포도도 있었지만 나는 가장 달콤한 검은 포도만을 따 먹었다.

한 송이에 1kg 안팎의 커다란 포도를 2~3송이씩 원두막에 앉아 혼자 먹기도 했으니 원두막 지기를 한 것이 아니라 포도 서리를 한 셈이다.

포도밭은 어릴 적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였다. 그만큼 얽힌 추억도 많다. 한가롭게 드러누워 게으름도 피우고 졸기도(직무 태만?) 했다. 방학 숙제도 하고 밀린 일기도 원두막 위에서 몰아 썼다. 다리가 아프다고 칭얼거리는 나를 누나가 집에까지 등에 업고 간 곳이 포도밭이었다. 원두막에서 졸고 있는데 형이 작대기로 원두막 위로 기어 올라오는 뱀을 잡아 나를 구해준 곳도 그곳이었다. 소나기가 억수로 퍼부어 아버지께서 날 데리러 오셨던 곳이기도 했다. 거기서 초등학교 3학년이던 내가 몇 번이고 쓰러져 다치면서도 키도 안 맞는 짐 자전거로 자전거를 배웠다. 곤충채집을 하고, 장대비가 쏟아진 날 오누이와 땅바닥에서 작은 물고기를 발견하고는 신기해하던 기억도, 새집에서 새알을 찾던 일도 떠오른다. 하지만 나는 원두막 위에서 저수지 끝자락과 산을 쳐다보는 것을 무엇보다 좋아했다. 저수지는 포도밭에서 내려다보면 왼쪽의 야트막한 숲과 오른쪽의 수리골이라 부르는 우리 가족 묘지가 있는 야산 사이에 끼어 한 장의 풍경화처럼 보였다.

저수지 남쪽에는 일대에서 제일 높은 산이 있고 저수지 물은 흘러서 남서쪽 마을로 흘러 들어가지만 거기까지 보이지는 않았다. 어린 내게는 그 경치가 세상에서 제일 멋져 보였다. 나는 포도밭 원두막에서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호젓하게 앉아 있는 것이 좋았다. 그것이 내가 스스로 포도밭에 매일 간 이유 중의 하나였다.

물론 이 포도밭에도 내게 무서운 곳이 한 곳 있었다. 한가운데에 버려진 무덤이 하나 있었는데 나는 거기로는 웬만하면 가지 않았다. 그리고 어느 여름날 한때 우리 집에서 머슴살이했던 젊은이가 무슨 이유인지 자살을 하였다. 내게는 초로의 할머니로 보이던 그의 어머니는 우리 집 제삿날마다 오셔서 집안일을 도와주셨다. 그분이 당신 아들이 죽은 뒤 몇 차례 우리 포도밭에 오셔서 아들을 찾으며 슬피 울다 가셨다.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괴로움을 처음으로 목격한 일이었지만 어린 나는 제대로 그 마음을 이해하지는 못하였다.

내가 대학에 들어간 뒤 아버지께서는 포도밭의 포도나무를 모조리 캐어냈다. 수익성이 없다고 대신 사과나무를 심으셨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이름만 포도밭인 그곳에 시골에 내려가면 빠짐없이 찾아갔다. 원두막도 없어진 과수원의 높은 자리에 서서 저수지와 산을 바라보면서 그 너머 보이지 않는 마을과 거기 살던 초등학교 친구, 그리고 어린 시절을 생각했다. 어릴 때 나는 이 담에 크면 포도밭에 집을 짓고 살겠다고 종종 생각했었다. 내가 포도밭에서 지내던 시절은 마음만 먹으면 내가 과일 중에서 가장 좋아하던 포도를 실컷 먹고 걱정 없고 철없이 지내던 행복한 시간이었다. 나는 그 행복한 시절의 추억에 끌려 거기를 자주 갔다. 내가 그곳을 유난히 좋아하니까 아버지께서는 “이다음에 포도밭은 네게 주마”고 하셨지만, 외국에 이민 와서 사는 내게 포도밭은 먹지 못하는 신포도와 같다. 그저 다시 갈 수 없는 나의 행복한 유년의 추억일 뿐이다.

이솝우화의 '여우와 신포도'에서 여우는 포도가 맛있어 보이지만 너무 높아서 도저히 따 먹을 수 없자 저 포도는 신포도일 것이라고 자기 위안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여우와 달리 나는 어릴 적 우리 집 포도밭에서 마음껏 포도를 따 먹었다. 그런데 이제는 포도를 껍질째 먹으면 이가 시려서 포도를 거의 먹지 못하니 이솝 우화의 여우처럼 검은 캠벨 포도를 신포도라고 억지를 부려야 할까? 아니다. 한국 포도는 여전히 내게 행복한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해주는 매개체이다. 검정 포도를 보면 포도나무도 한 그루 없고 생각난다고 쉬 갈 수도 없는 우리 포도밭에서 보낸 내 행복한 어린 시절이 또렷이 되살아난다. 그럴 때면 손을 뻗어 맑은 시냇물 속의 귀여운 조약돌처럼 여전히 내 마음속에 아름답게 존재하는 그 시간을 만져 보고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요즘 한국 슈퍼에 가면 ‘라고 포도’라고 한국에서 먹던 캠벨 포도와 같아 보이는 품종의 포도를 판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밴쿠버에서 파는 검은 포도는 몇 알씩 잘려서 작은 초록색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다. 인건비도 비싼 나라에서 왜 일부러 포도송이를 잘게 잘라 담았나 하는 의문이 든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포도송이가 크지 않고 낱알처럼 흩어져 있는 포도는 상품 가치가 없다. 그래서 도매 시장으로 출하하지 않고 과수원에서 직접...
송무석
부추꽃 2017.10.20 (금)
<시> 부추꽃/송무석   나에게는 그냥 채소였지만부추도 꽃을 피운다희고 노란 작은 별처럼 앙증맞은 꽃을 피운다한 달이 지나도 여전히 아리따운 그 꽃을화초로 대하지 않았듯이나는 얼마나 많은 사람과 세상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그저 스쳐 지나기만 했을까
송무석
좋아하는 음식을 여유 있게 먹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며칠 전 저녁때 아들이 어려서 서울에 살 때 엄마가 가끔 해 주시던 메추리 알 장조림을 맛있게 먹었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와 함께 이민 초기에 좋아했던 장어구이도 생각난다는 말을 했다. 밴쿠버는 한국보다 메추리 알 가격이 꽤 비싸고 알이 작아 다루기도 힘든 데다 아이들이 특별히 찾지도 않기에 수년간 아내가 메추리 알 요리를 한 적은 없었다. 다른 식구들이 좋아하지 않는 장어구이도...
송무석
오늘, 이 순간을 2017.08.22 (화)
배고프면 먹고 배부르면 평안히 쉬는 것이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활 방식이다. 그러나, 우리 사람은 이런 생리적 욕구에만 따르는 삶을 살지는 않는다. 동물은 이런 삶을 살기에 수만 수백만 년이 지나도 별다른 변화 없이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꿈을 꾸고 더 나은 미래를 계획한다. 그런 꿈과 계획은 우리 인류가 우리 삶의 방식과 환경과 세계를 바꾸는 출발점이다.우리는 어제와 같은 오늘, 오늘과 같은...
송무석
왼손과 오른손 2017.07.01 (토)
사람은 저마다 특징이 있다. 그중의 하나는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이다. 나는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는 왜 생기는지 그 원인이 궁금했다. 왼손과 오른손은 좌우 달린 위치가 다를 뿐 생김새도 구조도 똑같은데 왜 사람들 대부분이 오른손잡이일까? 나는 학창 시절 양손을 능숙하게 쓰는 사람이 부러워 종종 왼손으로 젓가락질도 해 보고 글씨도 써 보았다. 생각대로 쉽게 되지는 않았다. 물론 자꾸 할수록 차차 나아져서 이제 나는 왼손으로도 웬만큼...
송무석
관계 2017.06.24 (토)
속속들이 알았건 아니건당신의 매력에 빠져연못에 뛰어든 것은나당신이 작정하였건 아니건낚싯대에 걸린 것은드리운 낚싯밥을 물은나바늘에 걸렸어도팽팽히 줄을 당기며끌려가지 않아야 하는나연못에 뛰어들었어도빠져 죽지 않도록끊임없이 헤엄쳐야 하는나
송무석
나의 100세 친구 2017.04.22 (토)
그는 지하 주차장에서 처음으로 내게 말을 걸어왔다. 9년 전 단독 주택에 살다 집 관리가 힘들어 아파트로 이사를 오고 난 뒤 며칠 안 되어서였다. 그는 이미 90이 넘은 노인이었다. 그는 당신의 주차 공간 옆에 주차하고 내리는 나를 유심히 쳐다봤다. 지팡이를 짚지는 않았지만, 걸음걸이는 결코 빠른 편이 아니었다. 그는 생면부지인 내게 반갑게 인사를 하고 자기 이름과 거주하는 호수를 먼저 말하였다. 두 번째 만나던 날 그는 내게 언제 한 번 같이...
송무석
아버지 2017.02.25 (토)
나 어릴 적 동산에한 그루 늠름한 거목이 있었습니다나도 그 나무처럼 되고 싶었습니다하지만 그 나무는 너무 높고 우람했습니다시간이 흘러 내가 당신만큼 커져거목의 마음을 읽게 되었습니다곁에서 다정하게 지저귀는 새들도 없이우직하게 높이 서서 바람을 눈비를 말없이 견뎌야 했던잎들만이 아니라굵직한 가지마저 잃어가는쇠약한 당신을 봅니다겨울을 부르는 비바람이 당신을 흔듭니다당신을 넘어서려 했던 노력들이결국은 당신을...
송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