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C부동산협회 “’주택 판매량과 집값, 내년 동반 하락할 것”
올해 BC주 연간 주택 거래량이 사상 최대치를 새로 쓰게 될 전망이다. BC부동산협회(BCREA)는 29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2016년 한 해 동안 총 11만3800채의 주택이 판매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주택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지난 2005년 당시의 기록(10만6310채)을 넘어서는 것이다. 내년 상황은 올해와는 다를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여건이 나빠지고 또 여기에 정부의 강화된 부동산 규제가 맞물리면서 주택 거래가 둔화된다는 것이다. BCREA는 내년 주택 거래량은 금년 대비 15% 줄어든 9만6300채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것이 주택 시장 침체로 곧장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내년 거래 예상치 또한 지난 10년간 연간 주택 거래량 평균(8만5000채)을 훌쩍 웃도는 수준이기 때문이다.캐머런 미어(Muir) BCREA 수석 경제분석가는 “내년 주택 수요는 높은 집값과 부동산 규제 강화로 인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여전히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한편 올해 BC주 평균 집값은 9.8% 오른 69만8000달러로 예상됐지만 내년에는 조정기를 거치게 될 전망이다. BCREA가 예상한 내년 평균 집값은 금년 대비 6.4% 떨어진 65만4200달러다. 동 협회는 “:2017년에는 균형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평균 집값 하락의 이유로는 새집 공급 확대와 초고가 주택의 거래 둔화 등을 꼽았다.문용준 기자
문용준 기자
2016-11-29 13:16:10
-
BC주 주택 거래 둔화 속, 새집 공급은 활발할 듯
BC 지역 주택 신축 투자액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새집 공급량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BC주 새집 건설 투자액은 11억317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했다. 아파트와 단독 주택 건설에 대한 투자가 이 같은 증가세의 배경이라고 통계청은 전했다.같은 달 전국의 주택 신축 투자액은 1년 전에 비해 5.9% 늘어난 51억달러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도 단독 주택과 아파트가 신축 시장을 이끌고 있는 모습이다. 단독 주택 신축 투자액은 전년 대비 8.2% 늘어난 25억7800만달러, 같은 기간 아파트 투자액은 2.9% 늘어난 17억782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투자액 규모만 봤을 때 전국에서 신축 열기가 가장 뜨거운 곳은 역시 온타리오주로 나타났다. 동월 이 지역 신축 투자액은 21억184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5.3% 늘었다. 반면 앨버타주의 신축 시장은 침체의 늪에 여전히 갇혀 있다는 평가다. 이곳 신축 투자액은 29% 감소한 6억8100만달러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앨버타주 신축 투자액은 연간 기준으로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6-11-22 11:08:16
-
캐나다 부동산協 “10월 주택거래 늘었다”
CREA 10월 보고서 하일라이트- 캐나다 전국 10월 주택매매 9월보다 2.4% 늘어- 계절조정 미적용시 거래량 전년 대비 2% 증가-9월에서 10월로 넘어오며 새 매물 1.7% 증가-주택가격지수는 올해 10월 지난해보다 14.6% 상승-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1년 사이 5.9% 올라캐나다 전국 10월 주택거래가 9월보다 2.4% 증가한 예외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캐나다부동산협회(CREA)가 15일 발표했다.협회는 "프레이저밸리·캘거리·에드먼턴·해밀턴-벌링턴·몬트리올 주도로 캐나다 주요 시장 60%에서 전월 대비 거래량 증가가 감지됐다”고 밝혔다.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로 집계한 결과는 업계 예상과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클리프 아이버슨(Iverson) CREA회장은 10월 중순부터 모기지 대출 신청 시 스트레스 테스트 적용 대상을 확대해 시행키로 했는데도 거래량이 증가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 대출금리보다 더 높은 인상 예상 금리를 적용해도 상환능력이 있는지를 계산하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확대 시행하면, 일반적으로 대출 가능 액수가 준다. 다운페이먼트 준비금이 적으면 집을 사지 못할 수도 있다. 아이버슨 회장은 "스트레스 테스트 확대 시행이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려면 더 두고봐야한다”며 “일부 시장에서는 생애 첫 주택 구매 도전자가 시장 밖으로 밀려났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그레고리 클럼프(Klump) CREA 수석경제분석가는 생애 첫 주택 구매자가 스트레스 테스트 확대 시행 도입 직전인 10월 첫 두 주 안에 구매를 서둘렀다는 진단을 내렸다. 클럼프 수석은 현재까지 스트레스 테스트 확대 정책이 미친 영향만 따로 뽑아내 해석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클럼프 수석은 “특히 최근 미국 대선 결과로 경제성장 전망에 불투명성이 증가한 가운데, 정부도 정책이 캐나다 전국 각 시장에 미치는 영향 모니터링을 원하는 점에는 의심할 여지 없다”고 설명했다. 올해 10월 캐나다 주택거래량은 계절조정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 지난해 10월보다 2% 늘었다. 10월 기준 연간 거래량 증가율은 사상 최고치다. 그간 2009년 10월 0.8% 증가가 연간 거래량 증가율 최고치였다. 캐나다 주요 시장 60%와 주로 광역 토론토에서 거래량 증가가 BC주 로워매인랜드 거래량 감소 효과를 상쇄했다.10월에 새로 나온 매물은 9월보다 1.7% 늘었다. 광역 토론토 주도로, 캐나다 주요 시장 60%에서 10월 새 매물이 9월보다 늘었다. 매물 증가보다 판매량 증가율이 약간 낮은 결과, 10월 전국 새 매물대비판매율은 62.9%로 9월 62.4%보다 소폭 상승했다. 새 매물대비판매율은 장세 진단 지표다. 수치가 일정 기간 40~60%대를 유지하면 균형시장을, 균형시장 범위 이하면 구매자 주도 시장, 그 이상이면 판매자 주도 시장으로 진단한다. BC주와 광역토론토 및 인접지역, 온타리오주 서남부를 중심으로 캐나다 전국 주택 시장 중 반에서 새 매물대비판매율이 60%를 넘었다. 단 메트로밴쿠버는 새 매물대비판매율이 50% 중반으로 내려가면서 판매자 주도 시장에서 벗어났다.또 다른 장세 진단 지표인 매물 매각 기간은 평균 4.5개월로 지난 7년 이내 최단으로 줄었다. 원인은 온타리오주의 광역골든홀슈(Greater Golden Horseshoe) 지역 장세가 전례 없는 수요와 공급의 빈틈없는 균형을 보였기 때문이다. 골든홀슈 지역은 광역토론토·해밀튼-벌링튼·오크빌-밀튼·궬프·키치너-워털루·케임브리지·브랜포드·나이아가라 지역·배리와 주변 별장지를 통칭한다. 골든홀슈 매물 매각 기간은 10월 기준 1~2개월이다. 특히 미시소가·더럼·오렌지빌·케임브리지·궬프에서는 집이 시장에 나오면 한 달이 걸리지 않고 매매가 이뤄지고 있다.MLS주택가격지수 종합지표를 보면 캐나다 10월 집값은 1년 전보다 14.6%, 9월보다 14.4% 올랐다. 집값은 주로 2층 단독주택과 아파트를 중심으로 올랐고, 타운홈 가격 상승세는 둔화했다. 2층 단독주택과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지난해보다 각각 16.7%와 16% 올랐다. 1층 단독주택은 14%, 아파트는 11.4% 올랐다. 협회가 측정하는 11곳 주요시장 중 9곳에서 10월 주택 가격 오름세가 감지됐다. 메트로밴쿠버(+24.8%)·프레이저밸리(+32.5%)가 지난 1년새에 캐나다 국내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으로 지목됐으나, 두 곳 모두 단독주택 가격이 정점에서 내려왔다. 1년 새 집 값이 많이 오른 지역으로는 광역토론토(+19.7%)·빅토리아(+20.1%)와 밴쿠버아일랜드(+15.8%)도 있다. 집값이 내린 곳도 있다. 캘거리 집값은 1년 전보다 4.1% 내렸다. 협회는 “캘거리 집값은 올해 5월 이래로 하락 폭이 안정적이나 2015년 8월 이래 매월 연간 가격 하락세를 보였으며, 2015년 1월 가격 정점에서 5.1% 내린 상태다”라고 진단했다. 사스카툰 집값은 지난해보다 1.3% 내렸다. 사스카툰 역시 2015년 8월 이래 매월 연간 비교결과 집값이 계속 내렸다. 집값 안정세를 보이는 지역으로 리자이나(+4.5%)·오타와(+3%)·광역 몽튼(+2.8%)·광역 몬트리올(+2.6%)이 있다.계절조정을 거치지 않은 캐나다 전국 평균 10월 주택 가격(거래가)은 48만1994달러로 지난해 10월보다 5.9% 올랐다. 다른 지역보다 가격이 유난히 높은 메트로밴쿠버와 광역 토론토 두 곳을 평균 가격 계산에서 빼면 12만달러가 준 36만1012달러다.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6-11-18 11:58:09
-
-
집값이 급락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
캐나다내 주요 시중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이자율 인상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갑작스런 금리 상향 조정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를 통해서다. CMHC는 “상황에 따라 집값이 최대 30% 떨어질 수 있다”며 “이는 모기지 채무자의 위기 관리 능력을 점검하기 위해 시행된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얻어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동 기관이 지정한 주택 가격 급락에 영향을 줄 최악의 시나리오에는 ▲사회 기반을 마비시킬 정도의 대지진 발생 ▲귝제 유가 추락 ▲미국식 집값 조정 등이 포함돼 있다. 이 밖에 경기 침체 심화 및 장기화가 집값을 최대 25% 끌어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나왔다. CMHC는 이 같은 시나리오가 하나의 예측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일종의 단서를 달았다.한편 로열은행(RBC)이 17일자로 4년 및 5년 텀 고정 금리를 각각 0.3%P 상향 조정했다. TD은행도 RBC와 비슷한 수준으로 금리를 조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6-11-17 11:46:05
-
월세 6424달러 고급 노인주택 "없어서 못들어간다"
메트로밴쿠버 지역에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도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의 메트로밴쿠버 노인주거 현황을 보면, 지난해까지만 해도 노인 전용 주거지의 공실률은 9.7%로 높은 편이었으나, 올해 5.5%로 내려갔다. 이 가운데 노인전용 임대 주거공간은 2015년 1만1567세대에서 2016년 1만1697세대로 소폭 증가했다. 입주 노인은 1만1463명에서 1만1956명으로 늘어 점차 노인이 살 공간은 줄고 있다. 공간이 줄면서 월세가 상당히 올랐다. 지난해 평균 2250달러에서 2303달러로 인상됐다. 노인 주거는 가사도우미 등 각종 서비스가 제공돼 일반적인 임대주택보다는 월세가 비싸다. 각종 편의가 제공되는 고급형 노인 임대 주택은 공실률 1.2%로 자리 찾기가 어렵다. 고급형 노인 임대 주택 월세는 올해 평균 6424달러로 지난해 6155달러보다 300달러 가까이 올랐다. 고급형은 메트로밴쿠버내 단 2334세대로 지난해 2399세대보다 오히려 준 상태다.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6-11-10 16:48:12
-
BC주 시외 공영 임대주택 공급 사업 건설 시작
BC주 시외 지역을 중심으로 공영 임대주택 공급 사업이 시작됐다. BC주정부가 올해 9월 공영임대주택 보급사업에 5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한 이후 첫 삽을 뜰 예정지가 10월부터 등장하고 있다.
광역빅토리아 일대는 총 500세대 공영 임대주택 공사가 대부분 내년 여름에 시작돼 2018년 여름에 완공될 예정이다. 사업 내용을 보면 주정부가 예산을 지급하면 운영기관이 완공 후 입주자를 선정하고 건물을 직접 또는 위탁 관리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퍼시피카 주택자문협회(Pacifica Housing Advisory Association)는 주정부로부터 850만달러 예산을 받아 87세대가 입주할 수 있는 주택 단지를 빅토리아에 2017년 여름 착공한다. 2018년 가을에 완공하면 중·저소득층이 월세를 내고 입주하게 된다. 입주 희망자는 협회를 통해 신청하게 돼 있다. 이른바 코옵주택(Co-op housing)방식으로 운영된다. 일반적으로 임대료가 시장가격보다 저렴한 편이 매력이다. 또 아무나 입주할 수는 없으며 입주인터뷰 등을 통해 거주 환경에 물의를 일으킬만한 이들은 배제된다.
7일에는 써리 시내 71세대 규모 코러스 아파트(Chorus Apartment)가 새로 문을 열었다. 중·저소득 발달장애인과 가족이 장기간 살 수 있게 만들어진 건물이다. 해당 건물은 장애인의 취업 교육과 가족 지원도 제공한다. 운영은 페닌슐라이스테이트하우징소사이어티(Peninsula Estates Housing Society)로 주소는 153가 2350번지(2350 153rd St.)이다. 해당 건물은 캐나다 정부와 BC주정부, 세미아무재단과 밴시티커뮤니티 재단이 공동으로 1540만달러를 출자해 지었다. 이중 연방-주정부 지원금은 110만달러고, 950만달러는 주정부가 융자형태로 건설비를 제공했다. 세미아무 재단은 토지 218만달러에 기부금 120만달러로 사실상 사업을 추진했다. 밴시티는 40만달러를 지원했다. 이러한 내용은 한인 사회가 자체 양로원 건립 등을 추진한다면 눈여겨볼 부분이다.
위슬러에는 근로자 입주용으로 짓는 27세대분 3층 아파트가 내년 10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8일 발표된 내용을 보면 클라우드버스트 드라이브 1310(Cloudburst Dr.)에 건설 중인 아파트 입주 관리단체는 위슬러주택관리공단(Whistler Housing Authority·WHA)이다. 해당 아파트에 입주하려면 주간 20시간 이상을 위슬러 리조트 지역(RMOW)내에서 사업면허를 보유한 업체에서 일해야 한다.
공단은 이미 위슬러에는 임대 주택 입주를 원하는 대기자 명단이 1~2년치 쌓여있다고 밝혔다. 낸시 윌헬름-모든(Whillhelm-Morden) 위슬러시장은 “위슬러의 주거공간 부족은 현재 정점에 이르러, 시청은 이 문제 해결을 최우선 순위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주정부는 일부 건설 중인 공영주택 프로젝트에 추가투자를 통해 규모를 늘리기도 한다. 10일에는 크랜브룩 송야스가든(Sonja’s Garden)에 18세대 입주공간을 추가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전체 53세대 규모 임대 아파트를 연말까지 공사를 통해 확장할 계획이다. 관리는 캐나다정신보건협회(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가 한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6-11-10 16:46:36
-
새집 가격 안 떨어졌네
전국의 새집 가격이 18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고 캐나다 통계청이 10일자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동 자료에 따르면 9월 전국 새집 가격 지수(NHPI)는 전달 대비 0.2% 상승했다. 통계청은 MHPI 증가세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확인이 가능하지만, 특히 토론토와 밴쿠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고 전했다. 건설업계는 시장의 조건이 해당 수치 상승의 원인이라는 입장이다.월간 통계를 살펴보면 온타리오주 윈저(Windsor)와 동부의 세인트존과 몽튼 등의 상승률이 1.2%로 우선 눈에 띈다. 이와는 달리 21대 도시 중 일곱 곳의 NHPI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퀘벡의 경우 0.2% 오히려 하락했고, 캘거리나 에드먼튼도 가격 상승이 거의 없었다.이는 1년 전 상황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지역에 위치한 사스카툰과 캘거리의 경우 1년 전에 비해 NHPI가 각각 2.7%, 0.9% 하락했다. 반면 토론토와 오샤와는 7.1%, 밴쿠버는 5.2% NHPI가 올랐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6-11-10 13:23:24
-
-
외국인 취득세, 모기지 강화에 숨죽인 신축 시장
주택 착공량이 10월 들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의 8일자 보고서에 따르면, 메트로밴쿠버 지역 연간 기준 주택 착공량은 9월 조사 당시 3만7000채에서 10월 약 1만2000채로 67% 수직 하락했다. 이는 1990년 이후 최저치로, BC주정부의 이른바 외국인 취득세법과 연방정부의 모기지 관련 규정 강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CMHC는 “동 지역 실제 주택 착공량은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52%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며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에 대한 신축 움직임이 특히 둔화됐다”고 전했다. 한편 신축 시장의 찬바람은 지난 9월에도 어느 정도 감지된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통계청의 8일자 보고서에 따르면, 9월 밴쿠버 지역 건축 허가 액수는 5억2120만달러로 전월과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와 23.3% 모두 하락했다.같은 달 BC주 전체 건축 허가액수는 전달과 전년 동월에 비해 각각 13.3%와 6.5% 감소한 9억958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주택 부문 건축 허가액수는 7억5780만달러로, 한 달 전에 비해 12.1% 줄었으나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6-11-08 11:42:32
-
밴쿠버부동산協 “주택 판매·매물 10월 평균 이하 수준”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는 2일 “주택 매매량과 매물이 줄면서 메트로밴쿠버 전 지역에 걸쳐 시장 흐름이 바뀌고 있다”고 10월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메트로밴쿠버 10월 주택 매매량은 총 2233건으로 지난해 10월 3646건보다 38.8% 감소했고, 올해 9월 2253건보다도 0.9% 줄었다. 지난달 주택 매매량은 10년간 10월 평균 거래량보다 15% 적은 수치를 보였다.댄 모리슨(Morrison) REBGV회장은 “정부의 이어진 시장 개입으로 시장 상황이 바뀌면서 주택 구매자와 판매자가 관망세로 전환했다”며 “잠재적인 구매자와 판매자들은 시장 상황의 변화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지 지켜보며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메트로밴쿠버에 10월 중 새로 나온 주택 매물은 3981건으로 지난해 10월 4126건보다 3.5% 적고, 올해 9월 4799건보다 17% 줄었다. 지난 달 신규 매물은 10년간 10월 평균 신규 매물보다 9.5% 적다.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메트로밴쿠버 10월 마감 매물은 9143건으로, 2015년 10월 9569건보다 4.5%, 올해 9월 9354건보다 2.3% 줄었다.10월 매물대비판매율은 24.4%다. 분석가들은 일반적으로 매물대비판매율이 12% 이하대를 일정 기간 유지하면 가격 하락세가, 20% 이상으로 몇 개월이 유지되면 가격 상승세가 발생한다고 본다. 모리슨 회장은 “다른 종류 주택 매매도 감소했지만, 특히 단독주택의 수요가 가장 많이 줄었다”며 변화하는 시장 동향에 대한 조언을 부동산 중개사를 통해 받으라고 권했다.MLS주택가격지수 기준 종합 벤치마크 가격은 91만9300달러다. 벤치마크 가격은 2015년 10월보다는 24.8% 상승했고, 올해 9월보다는 0.8% 내렸다. 10월 거래된 단독주택은 652건으로 지난해 10월 1437건보다 54.6% 감소했다. 단독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154만5800달러로 1년 전보다 28.9% 올랐고, 올해 9월보다는 1.4% 내렸다. 아파트 거래량은 10월 중 1178건으로 지난해 10월 1543건보다 23.7% 줄었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51만2300달러로 지난해 10월보다는 20.5% 올랐고, 올해 9월보다도 0.3% 상승했다.타운홈 거래량은 403건으로 12개월 전 666건보다 39.5% 줄었다.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66만9200달러로 지난해보다 25.7% 올랐으나, 올해 9월보다는 1.1% 내렸다.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6-11-03 15:50:07
-
프레이저밸리부동산協 “매물 감소했으나 매매 다소 늘어”
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는 2일 “10월 내내 지역 내 매매가 계속 이어져, 10년 간 10월 평균보다 다소 증가한 수치로 마감했다”고 10월 부동산 동향을 밝혔다.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를 통해 프레이저밸리 내에서 거래된 주택은 총 1463건으로 지난해 10월 1772건보다는 17.4% 줄었으나, 올해 9월 1305건보다는 12.1% 늘었다.10월 거래 내용을 보면 389건이 타운홈, 400건이 아파트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10월을 비교하면, 타운홈 거래량은 10.2% 아파트는 56.3%가 늘었다.찰스 위브(Wiebe) FVREB회장은 “타운홈과 아파트를 중심으로 10월 동안 매매량은 건전한 수준을 보였다”며 “가격이 꺾이기 시작하자 구매자들은 좀 더 프레이저밸리 일대의 매물을 찾아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지난 달 프레이저밸리의 총 주택 매물은 6035건으로 지난 10년 이래 10월 최저치다. 월 단위로 비교하면 주택 매물은 6% 줄었고, 연 단위로 보아도 지난해 10월보다 7.7% 적다.10월에 새로 나온 매물은 2197건으로 올해 9월보다 18.9% 적고, 지난해 10월 2155건보다는 1.9% 늘었다. 위브 회장은 “프레이저밸리내 강건한 수요를 보면 2016년 내내 집을 팔기 좋지 않은 시점이란 없어 보인다”며 "연말 이전에 움직일 계획이 있다면 부동산 중개사와 상담을 받아보라”고 권했다.프레이저밸리 내에서 단독주택이 판매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올해 10월 기준 평균 31일로 지난해 10월 36일보다 약간 짧다. MLS주택가격지수 기준 단독주택의 벤치마크 가격은 87만2100달러로 지난해 10월 64만9200달러보다 34.3% 올랐다.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42만1300달러로 1년 전 31만3700달러보다 34.3% 상승했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1년 전보다 25.2% 오른 25만4300달러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1년 전 20만3100달러였다.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6-11-03 15:4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