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2주 남았습니다!

박정은 sean@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10-28 08:54

박정은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얼마 전 지인이 병원일로 물어볼 게 있다며 전화를 걸어왔다. 간호사로 일을 하다 보니 이런 문의를 자주 받곤 한다. 질문의 요지는 이거였다. “우리 직원 남편이 어제 911 타고 응급실로 실려 갔대. 옆집 사람이 알려줘서 그걸 나중에야 안 거야. 그래서 급히 병원으로 가봤는데 간호사가 환자가 어디 있는지 상태는 어떤지 전혀 알려주질 않더래. 어떻게 그럴 수 있어? 이거 분명 병원에서 의료사고 같은 거 내놓고 뭔가 숨기려고 그러는 거지?” 캐나다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면 몰라도 한국에서 살다가 중간에 이민을 온 사람이라면 충분히 이런 오해를 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캐나다 병원에서 간호사가 입을 다물 땐 이유는 딱 한 가지다. 환자가 누구한테도 자기 상태를 말하지 말라고한 거다. 의사나 간호사는 환자의 비밀을 절대 누설하지 않겠다는 선서를 하고 이 일을 시작을 한다. 그런데 그 비밀 누설의 범위가 나라마다 다르다는 데 문제가 있다. 한국에선 환자 가족에게 상태를 말하는 건 비밀 누설에 해당되질 않는다.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아프면 가족 전체가 함께 그 상황을 헤쳐 나가려고 하는 게 한국의 문화이다. 그런데 캐나다에선 직계가족 중 누구에게만 알리라고 할 때도 있고, 환자 본인만 알겠다고 할 때도 있다. 캐나다가 상당히 개인중심이라면 한국은 가족중심의 사회라는 생각이 든다. 


     한번은 이런 안타까운 이야기를 전해들은 적도 있다. 한국에서 이민 온 20대 청년이 코피가 자주 나 병원에 갔다고 한다. 그런데 검사결과가 얄궂게도 ‘급성백혈병’으로 나온 것이다. 바로 여기서부터 캐나다와 한국이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이런 경우면 한국에선 미혼인청년에게 부모님을 모시고 오라고 한다. 그리고 닥터는 부모님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린다. 그럼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아들에겐 우리가 천천히 말 할 테니 당장은 알리지 말라고 한다. 그리곤 온 가족이 동원돼 사방팔방으로 치료방법을 찾으며 대처를 시작한다. 그런데 캐나다에선 18세 이상 환자에겐 단도직입적으로, “당신 급성백혈병입니다. 이런 저런 치료 방법이 있고, 이걸 안하면 2주밖에 못삽니다.” 이렇게 대놓고 말을 해버린다. 처음 이 말을 듣고 그 한국청년이 얼마나 충격을 받았겠는가! 한국 의사들이 환자를 배려하느라 가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결과를 알리는 반면, 이쪽 의사들은 인정머리라곤 손톱만큼도 없이 대놓고 강펀치를 먹여버린다. 결국 이 청년은 그 냉정한 의사에게 처음부터 깊은 불신을 갖게 되었다. 한국에 있던 부모님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수혈을 안 받는 분들이라서 아들에게 일단 수혈을거부하며 기다리라고 했다고 한다. 급한데도 환자가 수혈을 거부하자 의사가 방으로 다시 찾아왔다고 한다. 그리고는 아주 구체적으로 얼마나 상태가 나쁜지, 계속 치료를 거부하면 일주일도 안 남았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고 나갔다고 한다. 이에 이 청년은 주위 사람들에게, “의사가 자기가 하라는 대로 안 하니까 이젠 뻥을 쳐가며 협박까지 한다.”고 했다고 한다. 그렇게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 가운데 우왕좌왕 치료시기를 놓쳐버린 청년은 의사 말대로 진짜 2주 만에 세상을 떠났다. 이 이야기를 내게 전하던 지인도 환자가 얼마나 무서운데의사가 어떻게 그런 협박을 할 수 있냐고 물었다. 캐나다에선 그건 협박이 아니라 환자가 자기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설명을 해준다는 차원이다. 혹시 환자가 잘 몰라서 그런 선택을 했다면 그 책임은 모두 의료진에게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래서 추가설명을 했을 텐데, 그런 게 익숙지 않았던 청년은 그걸 협박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그런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불신과 오해가 없었다면 적어도그렇게 아무런 준비도 못한 채 가진 않았을 텐데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한국, 캐나다 어느 쪽 접근법이 더 나은지 쉽게 말할 수는 없다. 한국은 가족을 완충재 삼아 환자에게 충격이 덜 가게 하는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 병원에서 일할 때, 쇼오피(show operation)라는 것을 보곤 했었다. 회생 불가능한 말기암인데도 가족들이 환자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며 꼭 수술을 해달라고 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수술이다. 실제 암 덩어리를 제거하는 게 아니라 그냥 머리만 열었다가, 배만 열었다가 닫는 가짜로 하는 수술을 일컫는다. 환자 상태를 가족만 알지 본인이 정확히 몰라서 가능한 일이다. 이런 수술을 받고 나온 환자를 간호할 때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절대 환자에게 진실을 말하지 말라는 주의가내려지니 혹시라도 말실수를 할까 싶어 가능하면 사무적인 태도로 가면을 쓴 채 환자를 대해야만 했었다. 그렇게 진실을 가려 유지하는평화가 너무 아슬아슬해 보여 가능하면 그 사이에 끼지 말자는 심리도 있었을 것이다. 과연 이런 불필요한 수술과 고통으로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낭비하게 하는 게 맞을까? 이게 진짜 환자를 위한 것일까? 물론 가족들 입장에선 뭐라도 해봐야지 손 놓고 지켜본다는 게 쉬운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죽어가는 사람에게 쓸데없는 고통을 안겨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럴 때면 환자에게 진실을 직접 알리는 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막연한 믿음이 한없이 흔들리곤 했었다. 나라면 진실을 정확히 알고 싶을 것 같았다. 그렇게 눈앞에 닥친 끝을 감지하지 못한 채 주변정리도 못하고 황망하게 죽음을 맞고 싶지는 않았다. 캐나다에선 말기암 사망선고를 받은 사람이 버킷리스트를 만들어 하고 싶은 걸 다 하다 죽었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된다. 자기 상태를 정확히 알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환자에게 정신적인 충격을 주느냐 마느냐를 떠나, 결국 그 사람의 삶이니 모든 결정과 선택을 본인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람이 아프면 외로울 수밖에 없다. 수술장에도 혼자 들어가야 하고, 치료도 고통도 죽음도 홀로 감당할 수밖에 없다. 이 진실을 직시시키는 게 캐나다 방식이 아닌가싶다. 이런 다른 병원 문화로 인해 괜한 오해와 불신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낙타 세 마리 2024.03.08 (금)
박정은 / 사)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복권이 윷놀이 상품으로 걸렸다. 구정을 맞아 주유소에서 일하는 한국인 직원들과 모여 윷놀이를 하는데, 남편이 복권을 상품으로 건 거였다. 주유소에서 복권을 팔기만 했지, 난 한 번도 복권을 사본 적이 없었다. 딱히 복권에 욕심은 없었지만, 그래도 기왕에 하는 윷놀이 열심히 해보지 싶었다. 열성껏 윷을 던진 결과 결국 몇 장의 복권이 손에 들어왔고, 난 그걸...
박정은
    케이팝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한 유명인이 성경 강의를 한다고 해서, 유튜브를 통해 들어본 적이 있었다. 강의 시작에 앞서 그 유명인은 자기의 사적인 이야기부터 꺼냈다. 얼마 전 생일날 친구로부터, “세상의 모든 것을 가진 너에게.”로 시작되는 생일 카드를 받았다고 했다. 그 카드를 준 친구와는 무명 시절을 같이 보냈었는데, 현재 자기는 크게 성공했지만, 그 친구는 여전히 무명이라고 했다. 그러니 그 친구 눈에는 그가 얼마나...
박정은
캐나다에서 처음 사업을 시작하려고 할 때 가장 많이 들었던 조언이 방 또는 물을 파는 장사를 하라는 것이었다. 즉, 술을 파는 바(bar)가 있는 호텔을 하든지, 아니면 또 다른 물인 기름을 파는 주유소를 하라는 말이었다. 그래서 시작한 사업이 술을 파는 바가 있는 호텔이었다. 이야기에 앞서 일단 여인숙부터 호텔까지, 그 명칭을 간단히 정리해 볼까 한다. 한국에서는 여인숙, 여관, 모텔, 호텔 등, 그 명칭에 따라 대충 시설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박정은
마지막 파티 2023.03.28 (화)
     죽기 위해 병원에 들어온 환자. 그 환자에 대해 보고받은 순간, 난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물론 병원에 들어온다고 모든 환자가 살아 나가는 건 아니었다. 하지만 적어도 그들은 살기 위해 입원했고, 우리는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 그런데 이 환자는 죽기 위해 들어왔다. 그것도 내일. 죽는 시간까지 정해져 있었다.2016년 캐나다에도 MAID(Medical Assistance in Dying, 조력사)가 합법화되었다. 웰다잉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의학적으로...
박정은
독고는 다이다! 2022.11.07 (월)
얼마 전 충격적인 일이 있었다. 야간근무 전담인 남자 간호사가 아무 연락도 없이 근무에 나타나질 않았다. 전화를 해봐도 받질 않고, 메시지마저 풀이라 남길 수가 없었다. 7년이란 세월을 함께 일해온 간호사인데, 그가 이랬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었다. 무슨 사고를 당했나? 불길한 생각이 들었지만, 혼자 사는 간호사라 딱히 연락해 볼 곳이 없었다. 그렇게 걱정스런 밤이 지나고 다음 날, 그의 집으로 달려간 직원이 집 밖에 세워진 그의 차를...
박정은
유행 2022.07.18 (월)
샹들리에처럼 천장에 매달린 미용기구에 머리카락을 가닥가닥 물리고 앉아있는 내 모습은 흡사 인조인간이 에너지를 공급받는 장면 같다. 꼭 그런 느낌인 게 머리카락이 감긴 미용기구마다 전기선이 가지처럼 연결되어 있어서, 내가 머리를 통해 에너지를 빨아들이는 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기 때문이다. 정말로 에너지를 받진 않더라도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새로운 머리 스타일이 내게 활기를 불어넣어 줄 수 있다면, 그것 또한 같은 의미일 수...
박정은
Why me? 2022.01.12 (수)
“그 소식 들었어?”“무슨?”“H가 폐암 말기래. 지금 옆 병동에 입원했는데, 보고 오는 길이야.”“무슨 말이야? 2주 전까지도 우리랑 같이 일했는데.”병원에 출근해 막 일을 시작하려던 난 동료가 전하는 말에 얼떨떨한 얼굴로 되물었다. H는 폴란드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30대에 이민 온 사람으로, 12년을 나와 함께 일한 동료였다. 내가 일하는 병동에서 healthcare aide로 일하다 65세에 퇴직했었는데, 퇴직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는 다시...
박정은
가장 뜨겁게 사랑하는 순간 박정은 사)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죽음만큼 삶을 극명히 보여주는 것은 없다. 그저 평온하기만 한 삶이 오늘도 내일도 끝없이 이어진다면, 아마 사람들은 지금이라는 삶에 소홀해지고 말 것이다. 하지만 문밖을 서성이는 죽음의 발자국 소리가 귀에 들려온다면, 사람들은 바짝 긴장하며 주어진 삶에 더 충실하게 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는...
박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