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God, where are you?

愚步 김토마스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1-02 16:16

愚步 김토마스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어느 추운 겨울날 새벽 4시 30분쯤. 출근길에 bus shelter를 지나는데, 어떤 사람이 시멘트 바닥에 웅크리고 누워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homeless guy인 것 같았다. 살펴보니 흐트러진 갈색 머리의 젊은이가 누워있는데 그는 얇은 천으로 된 검정 상의와 파란색 하의 그리고 흰색 양말만 신고 있었다. 그의 허리와 발목은 속살이 다 드러나 있었고 신발도 신지 않았다. 그 순간 그의 몸이 요동치는 바람에 나는 움찔하며 놀라고 말았다. 그는 상체를 비틀다가 하체를 쭉 뻗더니 빠르게 수축하고는 격렬하게 떨었다. 아마도 추운 날씨 때문에 경련을 일으킨 것 같았다. 그때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눈이 촉촉해진 것을 느꼈다. 문득 이민 초기의 아픈 기억이 떠올랐다. 유난히 매서운 어느 겨울에 배달 일을 하러 나갔는데, 살을 에는 듯한 추위에 쩔쩔매다가 끝내 눈물을 쏟았던 기억이 되살아 난 것이다. 마음조차 저리고 무서웠으며 몹시 슬펐다. 나는 무심결에 shelter 안으로 들어가 $5를 꺼내 들고 소리쳤다. “이봐, 여기는 너무 추워! 일어나! 이 돈으로 맥도날드에 가서 따뜻한 걸 사 마시라고! 이대로 오래 있으면 큰일 난단 말이야!”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나는 그의 얼굴 앞에 돈을 내려놓고 더 큰소리로 외쳤다. “여기에 돈이 있다고! 어서 일어나!” 그때 청년이 갑자기 눈을 번쩍 뜨더니 날래게 돈을 집어 바지 주머니에 쑤셔 넣더니 바로 눈을 감았다. 순간적으로 일어난 일이었다. 나는 멍하니 그를 쳐다보다가 문을 열고 밖으로 나왔다. 몇 걸음을 내딛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일었다. “내가 그에게 겨우 $5를 준 거야? 이거 너무 인색한 거 아냐?” 나는 지갑을 열고 $20를 꺼내 그에게 되돌아갔다. 그리고 그의 얼굴 앞에 돈을 내려놓으며 소리쳤다. “여기 돈을 더 줄게! 빨리 일어나! 따뜻한 거 사 마시고 정신을 차리란 말이야!” 아무런 대답도 없었다. shelter를 돌아 나오는 데 여전히 불안해서 결국 나는 cellphone으로 call centre에 전화하여 peace officer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운전하는 중에도 영 마음이 편치 않았다. “아이고, 참 불쌍한 인간이네! 저러다 얼어 죽으면 어떡해!” 그러는 순간 나는 나도 모르게 허공을 향해 부르짖고 있었다. “Oh my goodness! God, where are you? Where are you? Where are you?” 나는 몇 번이나 큰소리로 질러대며 화를 달래고 있었다. 이런 세상(世上)이 싫고 이런 상황을 내버려 둔 신(神)이 원망스러웠다. 그러다 길가의 세븐일레븐이 눈에 띄었다. 나는 얼른 들어가 hot chocolate 한 잔을 사서 shelter로 다시 돌아갔다. 그는 여전히 그 자리에 누워있었고, peace officer는 아직 오지 않았다. “이봐 젊은이, 이거 hot chocolate이야! 빨리 따뜻한 걸 좀 마셔봐! 제발 좀 일어나라고!” 아무리 소리쳐도 그는 움직이지도 반응하지도 않았다. 나는 그의 앞에 종이컵을 내려놓는 수밖에 도리가 없었다. 더 늦기 전에 일하러 가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마음이 답답하고 우울해서 한 발자국도 움직일 수가 없었다. “이 상황에서 도대체 내가 어떻게 무얼 해야 하는 거야?” 그런 순간에 한 생각이 번뜩였다. “그래, 내 옷이라도 벗어서 덮어줘야겠구나! 잠깐이라도 따뜻하게 해주는 게 좋겠어!” 나는 얼른 파카를 벗어 그의 몸을 감싸주었다. 그러고 나서야 한숨을 내쉬며 대피소를 떠날 수 있었다. 운전하며 갈 길을 재촉하는데 반대편 저 멀리서 peace officer 차량이 달려오고 있었다. 이제는 되었다고 안심을 하면서도, 나는 또다시 혼자 중얼거리고 있었다. God, where are you?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봄이 오는 밤 2024.01.29 (월)
조용한 호흡이크게 느껴지는안식의 긴장이무의식의 시간을날 선 칼같이 새롭게 한다대지의 핏줄은이미 봄을 바로 집터 밑까지밀어 오고밤은 내일 터질 성벽을벼르듯 턱 밑까지숨이 차다가느다란 비가적막의 커튼을 드리우고어둠의 너머에새봄의 생기가아가의 숨골 위에새록 인다긴 여정 끝지난 모든 과실은겨울 추위와 얼은 땅거죽아래에서 모두 해체되어 다시준비되었다땅 밑의 수로는물길을 뚫어바로 봄의 축제를 대비했다모든 생명은 이제이해...
김석봉
밴쿠버에서 남들은 거의 다 가보았다는 멕시코 캔쿤 여행은 갑작스럽게 결정이 났다. 막내 딸과 아내 세 식구가 비행기를 탄 것은 작년 12월 11일이었다. 근래 비행기를 타러 공항으로 향할 때는 에어 캐나다 직원 가족으로 자리가 있어야 탈 수 있기 때문에 빈자리가 있으려나 하는 불안감이 들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할인 가격으로 사기는 했지만 어쨌든 공짜는 아니다. 공짜가 아니면 당당해진다. 비행기는 이륙 후 기수를 남쪽으로 돌려 콜로라도...
한힘 심현섭
골덴 바지 2024.01.29 (월)
  추위를 많이 타는 편이라 나는 겨울이면 늘 어깨를 웅크리고 다녔다. 어머니는 내가 키가 크지 않은 이유가 그 때문이라며 자주 나무라셨다. 그게 마음에 걸렸던 지 어느 날 어머니가 나를 위해 골덴 바지를 한 벌 사오셨다.  바지에 대한 촉감은 허벅지까지 먼저 알아차린다. 병아리 털에 닿은 듯 부드럽고 포근하면서 약간 간지럽기도 했다. 그런데 길이가 길고 품이 컸다. 내 허리춤을 잡아보며 어머니도 다소 난감한 표정을 지었지만...
정성화
어미 2024.01.29 (월)
처음은 어둠이었다가다음은 점이다가그 다음은 점 점 점 선명해지는눈 코 입 손 그리고 발가락그렇게 생긴 꽃들이 내게 와서나는 저절로 꽃이 되고덩달아 꽃이 되어어미의 이름으로 사는꽃의 나날난얼마나 환하고뜨겁고겁 없이 용감했는지
어미
쏟아지는 모시빛의 햇살아래너는 눈이 부시게도 빛나고 있었지.누군가를 향한 너의 기다림은하얀 여백이 되어가고 있었고지울 수 없는 명징한 약속은까만 상흔이 되어 나부끼고 있었어.고결하게 새겨진 너의 이름은성실한 애달픔을 묵묵히 지우며무심한 시간을 견뎌내고 있었지.하얗게 사무치는 천년의 침묵은한겹 두겹 수피를 벗겨 내었고,영혼을 향한 순백의 기도로 다시 태어났었어.빛과 어둠은 자리를 바꾸어 나갔지만너의 가녀린 뿌리는...
이봉란
황혼의 찬미 2024.01.22 (월)
J 에게,엊그제 이민 온 것 같은데 어언 30년이 훌쩍 지나고 이제는 성숙한 디아스포라의 길을 가고 있는 중이네. 내 인생에도 황혼의 자유가 찾아온 셈일세.자네가 보내 준 ‘황혼의 자유’ 라는 글 속에 보면 나이가 들어가면 노숙해지는 것도 있어 참 좋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글픈 일도 있다네. 오미크론이 지난 이즈음 아는 목사님의 거동이 불편한 모습을 보면서……그렇지만 자고 싶으면 자고, 먹고 싶으면 먹고, 웃고 싶으면 웃고 내...
이종구
나의 문학 수업기 2024.01.22 (월)
  학원이란 잡지가 있었다. 1960 년대 중, 고교생들의 인기 잡지로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소년, 소녀 문사들의 문학 등용문 역할을 했다. 참으로 글을 잘 쓰는 친구들이 많았다. 거기에 실린 주옥같은 글들을 보면서 나는 언제나 저들처럼 멋지게 글을 잘 쓸 수 있을까 하고 한탄하고는 했다.  필자가 다녔던 대전 중학교 도서관은 규모가 꽤 큰 편이었다. 동, 서양의 고전을 비롯해 현대물, 교양 서적 등 만 여권의 장서가 사방 벽면을 가득 메우고...
이현재
끝끝내 매달리려마침내 매운 바람 끝흘러 내리는 눈물처럼마지막 잎 새는 떨어져 나갔다내가 지르고 싶은폐 깊이 눌렀던 고함을 걷어가을 나무 잎 새는 떨어져 나갔다작은 가지에 모든 얘기 걸어 놓고마지막 잎 새는떨어져 나갔다연 고등 새싹 피어 오르던 봄나는 네 앞에 서서새 출발의 새 다짐을갈증의 한 모금 찬물처럼입에 물었다견디다 보니 견디어도 무너지는세월의 회초리는고통에 웃으라고 윽박 지르더라그래도 봄이 오면겨울 견딘 나무에 새...
조규남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