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23분에 담은 한국형 하우스 호러의 진수"

UBC 하늬바람 양태웅 인턴기자 iouqou9999@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0-11 12:27

두 번째 단편 작품 '정동' 연출한 최우진 감독
클리셰 배제한 독특한 호러로 VIFF서 호평


올해로 42회째를 맞이한 밴쿠버국제영화제(VIFF)가 지난달 28일 개막해 8일까지 성황리에 열렸다. 240편의 장편 및 단편 영화가 상영된 가운데, 이번 영화제에 출품된 6편의 한국 영화들 중 최우진 감독의 단편 영화 <정동>은 비일상적이고 흥미진진한 시나리오를 드러낸 전 세계의 단편 영화를 모은 ‘International Shorts: Not Your Everyday Drama’에 선정돼 눈길을 끌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재학 중인 최우진 감독은 2년 전에 선보인 <크리스마스가 따뜻한 이유는 말이죠,> 이후 두 번째 단편 영화인 <정동>을 출품해, 부천 판타스틱국제영화제와 밴쿠버국제영화제를 비롯한 국내외 영화제에 초청받는 쾌거를 이뤘다. 영화제의 막바지를 향하던 6일 하늬바람 기자단은 밴쿠버를 찾은 최우진 감독을 만나 그의 작품세계와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정동>은 어떤 영화인가?

 

<정동>은 내가 영화계에 입문해서 찍은 두 번째 작품이다 보니, 특정한 메시지를 담았다고 거창하게 말하는 것보다는 개인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던 장면과 연출하고자 하는 씬을 담고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23분이라는 상영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간다고 느껴지는 엔터테이닝한 영화라고 생각해 주시면 좋겠다.

 

<정동>이라는 제목이 영화에 시사하는 바는?

 

어떤 분들은 지역 이름이라고 오해하시는 경우도 있더라. ‘정동'은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인데, 급격히 일어나는, 진행 중인 사고(思考)가 멎을 정도로 강렬한 감정의 파동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세 친구가 보유한 트라우마를 실제로 목도했을 때 발현되는 공포감을 중심적으로 다룬다고 할 수 있는데, 영상의 끝에정동'의 뜻을 설명하면서 관객의 궁금증을 해소함과 동시에 이야기를 이해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번 작품에서 특별히 선보이고 싶었던 부분이 있었다면?

 

첫 연출작인 <크리스마스가 따뜻한 이유는 말이죠,>는 개인적으로 만족도가 아주 높은 영화였다. 내가 영화감독의 꿈을 키운 이유를 다시 한번 느끼는, 심적으로 포만감 있는 촬영 과정이었다. 하지만 첫 영화를 찍을 때는 모든 것이 처음이기 때문에, 당연히 촬영 과정에서 시행착오도 많았다. 다행히 이번 작품에서는 그러한 시행착오를 잘 극복한 것 같다. 지난 영화에서는 내가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그대로 담아내는 데 집중했다면, <정동>에서는 영화의 기술적인 측면과 연출 방식을 가다듬고자 했다.

 

<정동>하우스 호러라는 특색 있는 장르의 영화인데, 기존 호러 영화와 차별화하고자 하는 점이 있었는지?

 

<정동>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등장인물의 트라우마를 묘사하기 위해 꼭 표현하고자 하는 연출과 촬영 기법이 있었다. 이를 적절히 담아내기 위해서는안전하다고 느끼는 폐쇄적인 공간을 무대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이외에도 늦은 밤, 삐걱대는 바닥, 스산한 효과음 같은, 일종의클리셰를 최대한 배제하고자 싶은 욕심이 있었다. 같은 호러 영화지만 아주 환한 대낮에 관객에게 압박감을 심어주고자 하는, 이른바대낮의 악몽과 같은 밝고 화사한 호러 영화를 만들었다고나 할까?





 

<정동>에서 반영하고자 한 핵심적인 아이디어나 참고한 영화 혹은 감독이 있었는지?

 

<정동>은 최우진의 시그니처 테크닉을 선보인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속에서 세 등장인물은 각각 자신이 보유한 트라우마를 마주한다. 나는 이 장면을 상실감, 신체적 폭력, 죄책감 등과 같은 주제에 맞는 색다른 방식으로 연출하고 싶었다. 나의 작품 스타일은 1940년대부터 활동한 구로사와 아키라와 1970~80년대의 브라이언 드 팔마가 선보인 카메라의 독특한 움직임과 화면 전개를 능숙하게 활용하는 방식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러한 감독들의 기술을 오마주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다.

 

<정동>멋진 한국적인 반전"이 드러난다는 평이 있다. 짧은 단편영화임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공포감 연출과 이질적인 분위기가 잘 나타난다는 호평에 대한 소감은?

 

개인적으로한국적이다'라는 표현이 마음에 와닿는 표현은 아니지만, 내 영화가 특별하고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아 아주 기분이 좋다. 밴쿠버국제영화제가 캐나다 3대 영화제인 것으로 아는데, 이런 큰 영화제에서 내 작품을 선보일 수 있다는 것에 굉장히 놀랐다. 개인적으로 만들고 싶은 작품은 전문적인 지식이 뛰어나지 않아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밌게 볼 수 있는 상업 영화로, 나에게 영화란관객에게 엔터테이닝함을 선보이기 위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이 영화 진짜 재밌다라는 평가를 듣는 것이 나의 목표이다.

 

<정동>의 제작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가?

 

아무래도 영화가을 배경으로 한하우스 호러다 보니, 영화 배경과 콘티에 적합한 이층집을 한국에서 찾는 것이 아주 힘들었다. 특히 아직 학생의 신분이다 보니 직접 촬영 세트를 지을 수 없었다. 전국을 샅샅이 돌면서 다행히 영화에 어울리는 집을 찾아서 촬영에 임할 수 있게 됐고, <정동>을 제작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작품 계획은 어떻게 되는지, 만들어 보고 싶은 장르가 있는지?

 

흔히 상업 영화라고 하는, 오락으로서의 영화를 만들고 싶다. 호러 영화도 좋아하는 편이지만, 앞서 말했듯이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 내 목표이다. 앞으로는 단편 영화뿐만 아니라 상업 장편 영화 역시 선보일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호러 베이스의 액션 활극을 만들어 보고 싶다. 미래의 밴쿠버국제영화제에 내 작품이 장편 영화 부문으로 출품되었으면 좋겠다.

 

<정동>의 관객들에게 한마디 부탁한다.

 

지금은 소위 말하는 ‘K-컬쳐가 많이 유행해서 한국을 널리 알리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 한국 문화를 완전히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이번 영화제와 영화 <정동>을 통해 한국을 알릴 수 있게 돼 감사하게 생각한다. <정동>을 찍은 영화감독 최우진의 신작 영화를 보고 실망하지 않도록 좋은 영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니 앞으로 많은 기대를 부탁드린다.

 

UBC K.I.S.S. 13기 하늬바람 학생 기자단

양태웅 인턴기자 iouqou9999@g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두 번째 단편 작품 '정동' 연출한 최우진 감독
클리셰 배제한 독특한 호러로 VIFF서 호평
▲하우스 호러 단편영화 <정동>으로 VIFF에서 호평을 받은 최우진 감독 (사진= 김세정 인턴기자) 올해로 42회째를 맞이한 밴쿠버국제영화제(VIFF)가 지난달 28일 개막해 8일까지 성황리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