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콜로라도강의 걸작- Horseshoe Bend

권순욱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9-06 13:01

권순욱 / (사)한국문협 캐나다 밴쿠버지부 회원
  그날은 여행 일정이 빡빡하여 좀 늦어서 숙소에 도착했다. 짐을 풀고 시내로 나가서 저녁 식사를 하고 호텔로 돌아오니 거의 자정이 가까웠다. 피곤을 잊으려고 잠을 청하였으나 오랜만에 만난 친구의 이곳 길고 긴 세상살이를 듣고 나도 캐나다에서 겪은 이야기들로 새벽 두 시경에, 잠자리에 들었다. 이른 아침 식사 후 동트기 전에 먼저 콜로라도강의 걸작으로 알려진 말굽 협곡(Horseshoe Bend)를 돌아보기로 했다.

    어제 다녀온 모뉴먼트 밸리에서 차로 2시간 정도 떨어진 곳에 페이지라는 도시가 있다. 인구 7,000명 정도의 작은 마을이지만, 미 서부를 여행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르는 관광도시다. 나바호 땅의 또 다른 보물인 앤틸로프 캐니언(Antelope Canyon)으로 가는 길목이자, 호슈 벤드(Horseshoe Bend), 글렌 캐니언(Glen Canyon), 내추럴 브리지(Natural Bridge)와 같은 멋진 자연유산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애리조나주, 유타주, 뉴멕시코주에 걸쳐 있는 나바호의 땅을 여행한다는 것은 이 거대하고도 황량한 땅의 오랜 역사를 들여다보는 일이다. 나바호족의 가장 성스러운 땅, 모뉴먼트 밸리(Monument Valley)에 도착하면 붉은 사막 위 요새처럼 솟은 바위들, 오랜 세월 속에서 메마른 땅을 정교하게 조각한 거대한 강줄기, 지구의 결이 고스란히 새겨진 협곡을 지르며 미국 속에 감춰져 있던 순수한 땅, 그리고 그 땅과 꼭 닮은 사람들을 만나볼 기회인 것이다. 특히 오늘 일정에 잡힌 호슈 벤드(Horseshoe Bend)는 콜로라도강이 사암 고원을 침식해서 만들어낸 빼어난 절경이다. 

    날씨가 더워지기 전 부지런히 홀스슈 벤드로 향해 걷기 시작했다. 숨이 차오른다 싶을 때쯤 저 멀리 절벽의 시작점이 보인다.  절벽 끝에 다다르자 엄청난 풍경이 시선을 압도한다. 깊이만 300m에 달하는 수직 절벽 아래 펼쳐진 편자 모양의 협곡을 신비로운 빛깔의 강물이 부드럽게 감싸 흐른다. 홀스슈 벤드는 그랜드 캐니언을 조각한 콜로라도강이 만들어낸 또 다른 작품이다. 이 거대한 강줄기는 수많은 세월을 굽이치며 말발굽 모양의 협곡을 완벽하게 조각했다.

 홀스슈 벤드의 가장 아름다운 때는 일출과 일몰이다. 적당한 곳에 자리를 잡고 제대로 일출을 감상하기로 한다.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어 절벽 주위를 걸을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해가 한 뼘씩 차오를 때마다 마법이 펼쳐진다. 협곡 중앙의 붉고 짙었던 바위는 오렌지색과 핑크빛을 띠고 강물은 에메랄드빛으로 반짝인다. 거대한 원형극장에 홀로 앉아 세상 모든 호사를 누리는 기분이다.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모뉴먼트 밸리의 풍경은 그다지 낯설지 않다. 스크린 속에서 수없이 봐온 풍경이니 실제로도 그러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전망대에서 마주한 모뉴먼트 밸리를 보자 그간 상상했던 모든 이미지는 사라져버렸다. 눈앞에 펼쳐진 끝없는 붉은 대지  위로 장엄하게 서 있는 바위들은 태어나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풍경이었다.

모뉴먼트 밸리를 떠나기 전 우연히 나바호족 할아버지와 대화를 나누게 됐다. 어디서 왔느냐, 어디로 가느냐 등의 시시콜콜한 인사였다. 그의 얼굴을 가만히 살펴보니 피부는 구릿빛이 돌고, 눈가에는 오래된 나무의 결과 같은 주름이 깊게 패었다. 손은 투박하지만, 바위처럼 두툼하고 단단하다. 그러고 보니 나바호족 사람은 그들의 터전인 이 붉고 아름다운 땅과 많이 닮았다는 생각하게 되었다.

Sandy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갈 참 냄새 2023.10.23 (월)
아버지는 우리 지붕이었다항상 지붕아래 튼튼한 울타리로 계셨다아버지 옆에 앉아 있으면갈 참향기로 다가오셨다 겨드랑이 사이사이를 이어주는 수많은 날들로열매 맺는 갈참나무로 사시며내 안에 너, 네 안에 나무 한 그루따순 숨소리 다발 묶어 등짐 지고우리들 마음에 갈참나무로 뿌리내려 사셨다 이제는 동그마니 바람으로 숨소리 내는억새가 하얀 손 사례 치는 언덕에갈 참냄새가 나는 아버지 집이 있다
강애나
한글나무 2023.10.16 (월)
어느 날 오후언어로 표현하는그대 삶의 모든 편린들이 노래로 불려질 때우리의 꿈나무에게 내림굿판을 벌여야 하지 않을까.우리는 밝힐 수 있으리라.글을 가진 세종의 자손이라는 자랑스런 핏줄들을.우리들은 쓰러진 글자를 일으켜 세우고 틀린 글자를 고치면서언어를 잃지 않는 작업이 얼마나 큰 노동이 될 것이라는 것을외면할 수는 없다.완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라도 더불어 살면서지조 없는 슬픈 역사를 만들어 갈 수는 없으며마주보는...
송요상
    주방영양학 교실 독자님들, 평안하시지요? 주방 영양학 교실, 심 박사가 안부 드립니다."당신이 먹는 것이 바로 당신이다(You are what you eat)"라는 속담을 아직 기억하시지요? 1825년, 프랑스의 미식가 브릴라 - 사바랭 씨는 그의 걸작 『미각의 생리학』(Physiology of Taste)라는 저서에, "네가 무엇을 먹는지 말해 주면 네가 누구인지 말해 줄게"라는 말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주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심정석
일하며 생각하며 2023.10.16 (월)
  나는 흙 내음이 좋아서 농촌에 산다. 값도 안 나가는 토종사과를 가꾸며 이웃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자연의 아낙으로 살며 글을 쓴다.어떤 이는 이런 나를 신선이라 부러워하고 어떤 이는 못난이라 비양을 한다.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시멘트 정글속에 갇혀 마음의 고향인 흙을 그리며 사는 도시인들이고 후자는 도시로만 나가면 뼈 빠지게 일 안하고 편히 살 수 있다고 그곳을 동경하는 가난하고 순박한 내 이웃들이다.나는 그 틈에서 머리는...
반숙자
자화상 2023.10.16 (월)
어느 시절은 봄꽃처럼 환하게 웃다가 어느 시절은 슬픔을 바늘귀에 꿰어 하루를 깁고 어느 시절은 무디어진 마음 바람에 벼리며 산 이제 바람에 닳은 얼굴 반쯤 뭉그러져붉은 꽃잎 같던 입술은 어디로 가고칸나 혹은 장미꽃 빛 립스틱이라도 발라야그나마 생기 도는 얼굴 봐 줄만한 입술 위에 꽃 피워 놓고얼굴 가만 들여다보니살고살아내고살아 지기도 한 온갖 시절그래, 노래였구나꽃이었구나사랑이었구나 담담한 눈빛이 나를...
정금자
산(7) 2023.10.11 (수)
가을산은 엄청난 생명력을 지녀옅은 파아란 녹조의 빛깔의 *대추(棗)는끝내 익어 임금님의 용포를 담은 듯붉은 색을 띄워 끊임없는생성과 소멸의 혼백에게다음 세계를 염원한다 가을산은 신비한 생명력을 지녀*사신 처럼 한 톨의 씨 밤이 썩어져내세에 *밤(栗)의 열매를 열듯산아 너는 신비한 마법으로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미래를연결하여 영원한 생명을 띄우는구나 가을산은 유치찬란한 생명력을 지녀*오행의 조화로 황금빛 만추의...
구정동
숨고르기 2023.10.11 (수)
  누렇게 뜬 무청이 눈에 띈다. 괜히 억척을 부렸나 보다. 어제 다용도실에 놓아두고 늦은 저녁을 먹을 때까지는 기억하고 있었다. 깜박하고 반나절이나 지난 지금 생각난 것이다.  성당 후문에는 일요일에만 오는 야채 트럭이 있다. 밭에서 직접 따온 신선한 야채에 늘 마음이 끌렸지만, 오후에 약속이 있거나 사람들이 줄지어 서 있기에 한 번도 사본 적은 없었다. 어제 미사를 끝내고 서둘러 주차장으로 가는 길이었다. 미사 후 부부 동반 모임이...
민정희
아침 안개 2023.10.11 (수)
  그는 거물이야 하늘과 바다를 합방시키고 밤과 낮의 경계를 허물지 사람이 만든 구획을 지우고신의 업적조차 무화시켜 버려 논둑이며 밭고랑을 후루룩 삼키고 강물을 통째로 들이마시는 그는미처 씹지 못한 봉우리 하나 허공에 둥실 뱉어 놓기도 해그는 고단수야 숨소리도 없이 진군해 와서 오랏줄도 없이 포박해 버리거든 품어 안는 척 발을 묶는사랑법이 내가 알던 누구와 기막히게 닮았어 겹겹이 진을 치고 포위해보아도 끝내 네 안으로...
최민자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