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연준, 15개월만에 첫 금리 동결··· 하반기 인상 재개 예고

뉴욕=정시행 특파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6-14 13:26

5월 소비물가 상승률 4%, 생산자물가도 1.1%로 둔화
연준, 연말 최종금리 5.6%로 올려 제시
파월 의장 “연내 추가 금리인상이 적절.. 금리 인하는 없다”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이 14일(현지시각) 워싱턴 DC 청사에서 회견을 열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 "이번엔 금리를 동결했지만 아직 인플레 압력이 높아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을 적절하다고 보는 FOMC 위원이 대부분이었다"면서 "연내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위원은 없다"고 말했다. /Federal Reserve Flickr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4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5.00~5.25%에서 동결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40년만의 미 최악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총 10회의 FOMC를 통해 제로금리를 5%대까지 끌어올리는 고강도 금리 인상을 지속했다.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것은 15개월만에 처음이다.

앞서 지난 13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4.0% 상승, 2021년 3월 이래 2년2개월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어 14일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지난해 같은달 대비 1.1% 상승해 인플레 둔화세를 나타냈다.

이는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 2%를 훨씬 넘는 것이지만, 1년 넘게 이어진 고강도 긴축으로 인해 가계 빚 부담이 늘고 기업 활동이 둔화하는 등 부작용을 고려하기 위해 긴축을 잠시 쉬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연준 내에 높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올초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등 미 지역 중소은행들이 긴축 여파로 잇따라 파산하는 등 은행 건전성 위기가 불거지면서 대출 규제 등이 강화되자, 사실상 추가적 금리인상 효과가 시중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그러나 이번 금리 인상 중단은 일시적인 것일 뿐, 긴축 종료는 아니라고 연준은 밝혔다. 향후 물가와 고용 지표 등을 고려해 바로 내달 이후부터 다시 금리 인상 카드를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FOMC 성명에 포함된 점도표에 따르면, 연준은 올 연말 최종금리 예상치를 5.6%(5.5~5.75%)로 제시, 지난 3월 기준 제시한 5.4% 수준에서 더 올렸다. 이는 하반기에 약 두 차례의 추가 금리인상이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시카고(CME) 페드워치는 7월 FOMC에서 연준이 0.25%p의 ‘베이비 스텝’을 다시 밟을 확률을 60%로 반영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이날 FOMC 발표 직후 워싱턴 DC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에 거의 모든 위원들이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전했다. “인플레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이며, 우리의 최우선 순위는 물가 안정”이라고 말해, 이번 금리 동결을 ‘긴축 종료’의 메시지로 시장이 잘못 받아들일 가능성에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파월 의장은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선 “연내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위원은 없었다. (현 인플레 추세와 뜨거운 고용시장으로 볼 때)그런 언급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로써 미 금리는 최소 올해까지는 5%대의 고금리로 유지될 전망이다.

앞서 호주와 캐나다도 지난 5월 금리 인상을 일시 중단했다가, 한달만인 이달 각각 베이비스텝 금리 인상을 재개했다.

뉴욕증시는 이날 연준의 금리 동결에도 불구, 향후 강력한 긴축 재개 예고에 하락세로 돌아섰다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0.68% 하락 마감했고,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0.08%, 0.35% 소폭 상승해 장을 마쳤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자신의 어린 아들 세 명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채드 도어먼(32)./WBNS 10TV 유튜브미국 오하이오주(州)에서 한 30대 아버지가 자신의 어린 세 아들을 총으로 쏴 숨지게 하는 끔찍한 사건이 발생했다.16일(현지시각) AP통신 등에 따르면, 클러몬트카운티 지방검찰은 세...
넷플릭스 대만 드라마 ‘인선지인’
선거 캠프에서 벌어진 ‘성희롱’을 다룬 대만 드라마 ‘인선지인’은 실제 대만 사회 ‘미투 운동’의 도화선이 됐다. /드라마 ‘인선지인’ 페이스북“우리 그냥 넘어가지 마요.”이...
불이 난 M/V 에스페란사 스타호./필리핀 해안경비대(PCG) 페이스북필리핀 중부 해역을 운항하던 여객선에서 화재가 발생했지만, 5시간 만에 불길이 잡혔고 승객과 선원 120명 전원이 구조됐다...
미국 시애틀에서 최근 발생한 30대 한인 임산부 총격 사망 사건의 범인이 살인 혐의로 기소됐다고 16일(현지 시각) 시애틀타임스 등이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미 워싱턴주 킹카운티 검찰은 이날 총격범 코델 구스비(30)를 1급 살인 등 혐의로 기소했다. 구스비는...
바이든 대통령 발언 두고 “아무도 설명 못해”
“이봐, 신이시여 여왕을 지켜주소서.(God save the queen, man.)”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 시각) 외부 일정 중 지난해 서거한 고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을 가리키는 듯한 발언을 해 또 다시 말 실수 논란이 불거졌다. 미 언론들은 바이든...
시애틀 시장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비극” 긴급 성명
▲사진출처= 고펀드미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차안에 있던 한인부부가 총기난사를 당해 아내와 뱃속의 아이가 목숨을 잃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FOX13 시애틀 등 현지 언론과...
5월 소비물가 상승률 4%, 생산자물가도 1.1%로 둔화
연준, 연말 최종금리 5.6%로 올려 제시
파월 의장 “연내 추가 금리인상이 적절.. 금리 인하는 없다”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이 14일(현지시각) 워싱턴 DC 청사에서 회견을 열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 "이번엔 금리를 동결했지만 아직 인플레 압력이 높아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을...
거친 아마존 열대우림 한복판에서 발생한 경비행기 추락 사고 이후 생사를 확인할 수 없었던 아이 4명이 행방불명된 지 40일만에 무사히 발견되었다. 구조에 나선 콜롬비아 군 당국이 9일(현지시간) (아마존 정글인) 구아비아레와 카케타에서 행방불명됐던 아이...
2일(현지 시각) 오후 5시쯤 홍콩 다이아몬드힐에 위치한 플라자 할리우드 쇼핑몰 3층에서 39세 남성 A씨가 22세, 26세 여성을 수십차례 칼로 찔러 피해 여성들이 사망했다. 사진은 온라인에...
자신의 5살 딸을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를 받고 있는 앨릭서스 태니엘 넬슨(27)./폭스31 유튜브미국 콜로라도주(州)의 5세 여아가 집안 벽장에서 시신으로 발견돼 지역사회가 발칵 뒤집혔다.1일(현지시각) 덴버7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콜로라도 오로라 경찰은...
2일(현지시각) 인도 동부 오디샤주(州) 발라소레 지역에서 발생한 열차 충돌 참사가 신호 오류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는 예비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3일 보도했다.인도 일간지 힌두스탄타임스는 시속 약 127㎞로 달리던 코로만델 특급열차가...
2일(현지시각) 인도 동부 오디샤주(州) 발라소레 지역에서 열차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여객 열차 한 대의 객실 일부가 탈선하면서 인접한 선로의 다른 여객 열차와 충돌했고, 정차해있던 다른 화물열차까지 덮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사고로 280여명이 숨지고...
10일 홍콩 방문 이후 실종된 중국 위구르족 압두왈리 아부두레헤만(38)./국제 엠네스티 홈페이지서울 소재 대학에서 공부 중인 중국 신장 위구르 출신 유학생이 홍콩에서 실종됐다.27일(현지 시각) AP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인권단체 국제 앰네스티를 인용해...
베이비붐 세대보다 자녀 위한 경제적 희생 커
미국 플로리다주에 사는 나다 토르비카(23)씨는 Z세대(1997~2012년생)다. 대학을 졸업하고 물류 업종의 직장에 다니고 있는데도 부모의 집에서 함께 살고 있다. 토르비카는 뉴욕포스트 인터뷰에서 “혼자 살고 싶지만, 완전히 자립이 가능할 때까지 돈을 더 모으려고...
정상들의 또다른 무기 ‘외국어’ 소셜미디어
리시 수낙 영국 총리가 일본 히로시마 G7(7국) 정상회의 기간 일본 국민을 염두에 둔 소셜미디어 소통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리시 수낙 영국 총리가 지난 20일 주일 영국 대사관 트위터 계정을 통해 올린 게시글. 앞치마를 매고 일본 가정식 오코노미야키 만들기에...
[G7 정상회의] 권위주의 세력에 경고장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19~21일 열린 7국(G7) 정상회의는 공동성명(코뮈니케)을 통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영역 전체에서 무조건 군대와 무기를 철수하라고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장이 다음 달 금리 인상을 일시 중지할 것이란 ‘신호’를 보냈다.19일(현지시각) 파월 의장은 워싱턴DC에서 열린 토마스 라우바흐 연구 콘퍼런스에서 “긴축 정책이 시차를 두고 어떤 효과를 가질지, 그리고 최근 은행업의...
지난해 4월 실종됐다 1년만에 전사 확인돼
그래디 크루파시(오른쪽) 예비역 대위 가족이 고펀드미 사이트에 올린 사진/고펀드미우크라이나 전쟁에 국제의용군으로 참전했다가 실종된 한국계 전직 미국 해병대 장교가 전사했단 사실이 19일(현지 시각) 뒤늦게 알려졌다.한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미국으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미국산 지대공 방공체계 패트리엇(Patriot)을 파괴하려다 도리어 요격당했다.13일(현지시각) CNN이 미국 정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주 극초음속 미사일 ‘킨잘’(Kinzhal)을 발사해 우크라이나 패트리엇...
하루 6300명 불법입국 적발
코로나 팬데믹을 이유로 미국으로 들어오는 이주자들을 가차 없이 추방할 수 있게 한 이른바 ‘42호 정책(Title 42)’이 지난 11일(현지 시각) 종료되면서 중남미인들의 멕시코 국경을 통한 미 입국 시도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중남미 국가들의 경제 상황이...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