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토론토대 연구팀 "성인 ADHD 환자, ‘이것’ 중독 위험 높아"

전종보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08-26 15:39




성인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자에게 ‘물질사용장애(SUD)’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물질사용장애는 물질관련장애의 일종으로,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 등과 같이 특정 물질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여러 인지·행동·신체적 문제를 겪고 있음에도 이를 멈추거나 조절하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토론토대학 연구팀은 캐나다 지역 정신 건강 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20~39세 성인 ADHD 환자 270명과 ADHD 증상이 없는 성인 6602명의 물질사용장애 여부를 조사했다.

연구결과, ADHD 증상이 없는 성인은 약 23.6%만이 물질사용장애를 겪었던 반면, ADHD 환자는 물질사용장애 환자 비중이 절반에 달했다. 유형별로는 알코올 중독이 36%로 가장 많았고, 대마초 중독(23%)이 뒤를 이었다. 

대마초를 제외한 불법 약물 중독 경험도 18%로, ADHD 증상이 없는 사람(5%)에 비해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인 ADHD 환자 중 27%는 우울증 병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3분의 1 이상(35%)이 청소년기 신체적 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는 ADHD와 물질사용장애를 동시에 겪는 사람을 치료할 때 우울증과 불안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며 “우울증과 불안이 치료되지 않고 남아있을 경우, 정신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더 많은 물질(알코올, 약물 등)을 사용하게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DHD 환자의 물질사용장애 치료와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Alcohol and Alcoholism’에 최근 게재됐다.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의 배우자는 질환을 함께 앓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은...
▲사진= 미셸 페어번 틱톡 캡처매일 물 4리터 마시기 도전에 나선 캐나다 여성이 나트륨 결핍 증상으로 인해 병원 치료를 받았다. 여성은 75일 동안 매일 두 가지 운동과 엄격한 식단 관리,...
▲제네비브 베일란코트(39)/ 사진 = 뉴욕포스트 유튜브 캡쳐 화면남성처럼 덥수룩한 턱수염을 가진 캐나다 여성의 사연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여성은 10대 시절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앓게...
▲샐러리를 먹은 뒤 입 주변에 발생한 발진 ​/ 사진= 레나 벤자크 SNS샐러리를 먹은 뒤 양 볼에 화상을 입은 캐나다 아기의 사연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아기의 부모는 피부에 묻은 샐러리...
▲디브즈 만갓은 지난 달 도미니카공화국 행 비행기에 탑승한 후 두드러기(왼쪽 사진)와 호흡곤란 증상으로 인해 에피펜(오른쪽 사진)을 주사했다. / 디브즈 만갓 틱톡 캡처20대 캐나다...
걷기의 이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주기적으로 일정 걸음 이상 걸으면 심폐 기능은 물론, 하체 근력 등을 기르는 데도 도움이 된다. 하루 또는 일주일 걸음 수는 평소 활동량을 파악하는...
과도한 나트륨 섭취를 피하기 위해 저염식을 실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음식을 할 때 소금이나 간장, 된장을 사용하지 않는가 하면,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 자체를 기피하는 이들도...
잘못된 자세 때문에 혈류 막혀··· 3년째 치료 중
▲사진=뉴욕포스트 홈페이지 캡처술에 취해 잘못된 자세로 잠든 뒤 ‘구획증후군’을 앓게 된 캐나다 여성의 사연이 공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구획증후군은 근육과 신경이 괴사하면서...
약지(네 번째 손가락)가 검지(두 번째 손가락)보다 길수록 남성형 탈모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성형 탈모란 모발 주위 세포 안으로 들어간 남성호르몬이 5알파-환원 효소와...
성인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자에게 ‘물질사용장애(SUD)’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물질사용장애는 물질관련장애의 일종으로,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 등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