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BC주가 선정한 ‘성공한’ 고등학생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6-08-26 15:56

자기 동기부여 통해 오랜시간 들여 성취
BC주 교육부는 지난 24일까지 올해 BC주 고등학교 졸업생의 ‘성공담’을 모아 발표했다. 교육부가 선정한 학생들 공통점을 보면 특정 분야 또는 사회에 깊은 흥미를 갖고 자기 동기부여를 통해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일정한 성취를 했다는 점이다. 다음 달 BC주 개학시즌을 앞두고 주정부가 공개한 학생들의 성취를 요약해봤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 좌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제니스 팽양, 셀리나 시브지양, 사만사 퓰러양, 잭 토마스군. 사진=BC주정부>


◆ 꾸준한 클럽활동으로 인정받은 제니스 팽양… 코퀴틀람 파인트리 세컨더리 졸업생 제니스 팽(Pang)양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돕는 과학프로젝트에 다년간 참여했다. 참여 자체는 고등학교 이전 서밋중학교를 다닐 때 과학대회클럽(Science Fair Club)에 속해 면역체계를 처음 공부하면서 시작됐다.

첫 과제가 박테리아에 백혈구를 노출해 면역령을 강화하는 프로젝트였다. 이후 진학하면서 감염과 면역에 대한 관심은 커졌고, 그 주제로 제2형 당뇨병에 깊은 관심을 두게 됐다. 그 과정에서 8학년에는 캐나다전국 과학대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했고, 11학년에는 세계과학·엔지니어링대회에 나가 대상을 받았다. 12학년에는 캐나다전국 대회에 다니 나가 은메달을 받았다. 팽양은 올해 UBC 이과학부에 진학해 향후 면역학 및 미생물학을 공부할 예정이다.


◆ 수의사의 꿈 적극 소개해 1200명 중 1명에 선발된 사만사 퓰러양…
새먼암세컨더리에 재학중인 사만사 퓰러(Fuller)양은 11학년 때 과학현장탐사 프로그램에 지원해 11학년 때 12일간 18명의 다른 소녀들과 함께 알래스카의 초대형 빙원에서 탐사활동을 했다.

1200명이 지원한 ‘걸스온아이스 알래스카(Girls on Ice Alaska)’프로그램에 선발돼 야생동물학·화학해양학 같은 학문부터 모험가이자 사진가 교육을 받았다. 퓰러양이 기회를 잡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동물에 대한 열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향후 야생동물 수의사가 되겠다는 희망도 선택을 받는 데 한몫했다.


◆ 불행을 음악에 대한 의지로 단기간에 극복한 잭 토마스군…
최근 포트코퀴틀람의 테리팍스 세컨더리를 졸업한 잭 토마스(Thomas)군은 음악에 대한 열정을 꾸준히 키웠다. 피아노를 3살 때부터 배우기 시작했고, 9년 전에는 베이스기타를, 5년 전에는 드럼을 시작했다. 테리팍스 진학 후에는 학교의 오랜 프로그램 중 하나인 “락 스쿨(Rock School)”에 참여했다. 스스로 최고의 선택이라고 하는 이 참여를 통해 밴드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법을 배웠다.

학생밴드는 스스로 여러 차례 공연을 했다. 12학년 때는 일터에서 오른팔이 절단되는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 당연히 연주 불능 상태에 빠졌지만, 가족·친구들의 성원과 스스로의 열의로 부상 11일 만에 이를 극복하고 학교에서 연주에 나서 트라이시티 지역에서 역경을 이긴 이들에게 주어지는 상을 받기도 했다. 졸업 후에는 음악에 대한 꿈을 쫓아 밴쿠버 시내 님버스 녹음·미디어 학교에서 공부하며 오디오 엔지니어링과 음반 제작을 배우고 있다.


◆ 오랜 자원봉사로 사회의 인정을 받은 셀리나 시브지양… 써리 세미아무 세컨더리에 재학 중인 셀리나 시브지(Shivji)양은 17살에 이미 오랜 자원봉사 활동 경력을 쌓았다. 수업시간은 시브지양 하루의 일부이고, 또 다른 일부는 자원봉사다. 이미 4년 전에 병원에서 봉사를 시작했고, 지역 호스피스에 빵을 구워 나누는 일을 하고 있다.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세계로 눈을 넓혀서 아프리카 가뭄 발생 지역에 식량과 물을 공급하는 단체 C.A.R.E(Creating Aid Response Everywhere)의 창단 멤버다. 프리더칠드런(Free the Children) 단체에 자원해 케냐에 자원봉사도 다녀왔다.

추가로 시브지양은 세미아무학생회 학생위원이며, 아가칸재단의 차세대 회의 리더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녀가 다년간 속하거나 활동한 단체는 더있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는 기대하지 않은 결과를 일으켰다. 2015년 캐나다시민봉사자상(Caring Canadian Citizen Award)을 받았다.


◆ 과외활동이 진학에 좋은 토대가 된 마크 스케패스츠군… 써리 세미아무 세컨더리를 졸업한 마크 스케패스츠(Skepasts)군은 미국 프린스턴대 진학이 확정돼 주위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뉴저지주로 가게된 스케패스츠군은 밴쿠버에서 프린스턴대 입학심사 담당관과 만나 행한 인터뷰가 입학의 결정적인 요소라고 보고 있다. 스케페스츠군은 “나는 스스로가 다방면에서 활동한 학생이란 점을 강조했다”며 “세미아무에서 물리와 화학을 들었을 뿐만 아니라, 과외활동으로 음악 백그라운드가 있었기 때문에 진학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스케패스츠군은 색소폰 연주자이자 재즈드럼 연주자이기도 하다. 또 스케패스츠군은 공부잘하는 학생이다. 대학 과정을 미리 공부하는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과정을 들었다. 또 학생회 임원이면서 세계화클럽(Globalizers Club) 회원이자, 졸업 패션쇼를 준비했다. 이런 다방면의 활동은 쉽지 않지만 그만한 대가가 있다. 프린스턴대는 스케패스츠군의 입학 허가서뿐만 아니라 연간 4만3000달러 장학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스케패스츠군은 “훌륭한 선생님을 고등학교에서 만난 덕분”이라며 “보살펴주면서 사람답게 사는 영감도 주었다”고 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UBC 융합과학이란? 2016.11.21 (월)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졸업생 변호사시험 응시 자격 놓고 협회·학교측 다툼
트리니티대학교(TWU) 법대 졸업생의 변호사시험 응시 자격 인정을 두고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BC주 법조인협회(LSBC)는 8일 TWU 법대 졸업생의 변호사 시험 응시자격 인정과 관련해  캐나다 고등법원에 항소하겠다고 발표했다. 데이비드 크로신(Crossin) LSBC회장은...
신은서
Material Engineering (재료공학)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용지현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약대 3년 윤세안(Sean Yoon)씨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정윤선 Integrated Sciences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미리 받은 20억 학비 송금 않고 그 돈으로 '빚 돌려막기'까지… 유학·연수생들 현지서 발 동동[한국] 국내 최대 유학 알선 업체인 '유학닷컴'이 부도 위기에 처해 학생 수백여명에게 미리 받은 20억원대 학비를 현지 학교에 송금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하루 활동량에 따라 사회성 등 격차 발견돼
캐나다에서는 5세를 기준으로 운동하는 아이가 줄고 있다. 아이 손에 쥐어진 게임기나 패드가 운동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된 가운데, 운동 시간이 적을수록 병약한 아이가 된다는 지적이 캐나다 통계청 보고서에 21일 등장했다.통계청은 “매일 권장활동량에 맞춰...
UBC 세포 생물학 및 유전학 전공 이용휘씨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생명과학·의학·스포츠의료에 새로 총 1억달러 투자
UBC가 캐나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5150만달러 예산을 받아 밴쿠버 캠퍼스를 확장한다고 19일 발표했다. UBC는 정부의 미래 산업 육성과 관련해 이번 예산까지 총 1억달러를 교부받았다. 전체...
신윤지, UBC Combined Major in Sciences (과학 복합전공) / Nursing (간호대)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저는 2012년 UBC Science에 입학하여 3년동안 Combined Major in Sciences (과학 복합전공)을 공부하고 4학년 때 심리학과로 전과해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뒤 이번 9월학기에 UBC 간호대학에 입학하게 된 신윤지라고 합니다.간호대학에...
성지훈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매주 다양한 Science/Engineering 전공자를 만나 해당...
유치원~9학년생 대상 새로 바뀐 교과로 공부10~12학년생 선택적으로 변경… 내년부터 공식 적용오는 6일 2016/17학년도 개학을 맞이해 BC주 내 초·중·고교생은 수리·문리 응용력 배양에...
처방은 9월부터 하루 1시간 의무학습
온타리오주정부는 9월 새 학기부터 주(州)내 6학년을 대상으로 하루 1시간씩 의무적으로 수학 공부를 시킬 계획이다.이런 계획은 앞서 2015년에  6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학습능력평가시험(EQAO)결과 수학에서 무려 2명 중 1명(50%)이 낙제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UBC에는 수많은 한인 학생들이 재학 중이고 그 중에서도 이과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한인 이과생들이 보다 유익한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UBC에는 AKCSE가 있습니다. 저희 AKCSE...
자기 동기부여 통해 오랜시간 들여 성취
BC주 교육부는 지난 24일까지 올해 BC주 고등학교 졸업생의 ‘성공담’을 모아 발표했다. 교육부가 선정한 학생들 공통점을 보면 특정 분야 또는 사회에 깊은 흥미를 갖고 자기 동기부여를...
<신입생들을 위한 정보>
대학교에 처음 입학하고 나면 설레는 마음과는 달리 고민되고 막막한 순간이 많이 찾아옵니다. 수강신청부터 시작해 대학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어디서 얻어야 하나 걱정이 많이 되곤 합니다. 그런 걱정을 한 번에 날려주기 위해 UBC에서 신입생들을 위한 다양한...
UBC 한인 이공계 동아리 AKCSE에서 전해드리는 여름기사 1탄
대학생활이라고 하면 공부뿐만 아니라 동기, 선후배들과 어울리고 다양한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의 즐거운 캠퍼스 라이프를 위하여...
캐나다인 부모의 대학 학비에 대한 방침
자녀 대학진학과 학비에 대한 캐나다인의 생각① “우리 애 대학 학비 위해 저금 중” 10명 중 7명② “그래도 학비는 애들도 스스로 벌기도 해야” 96%③ “우리 애가 조금이라도 학비는 벌어온다” 39%④ “우리 애 만큼은 배워서…” 저소득층 학비지원 의사...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