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타리오수의학칼리지를 졸업한 27세 캐나다 청년 프랭크 스코필드(Schofield)는 1916년 조선에 도착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의 반석을 의미하는 ‘석(石)’을 성으로, 이름은 한민족의 상징인 호랑이를 돕는다는 의미로 ‘호필(虎弼)’이라고 했다. 그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서 교수로 일하다가 1년 만에 한국 이름을 짓고, 선교사 활동을 병행했다.
<사진: 스코필드 박사와 그의 한국말 선생 목호영씨>
일본은 1차대전 당시 영국의 편을 들어
연합군이었고, 영국태생 캐나다인인 석호필의 활동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미국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알려줬고, 이는 3·1운동의 사상적 바탕이 됐다. 1919년 3·1운동일 한반도 전역을 휩쓸듯 일어나자
석호필은 산 증인을 자처했다.
특히 일본군이 수원에서 기독교인을 교회에 가두고 불태워죽인 제암리 학살이 발생하자, 통제를
뚫고 학살현장을 사진에 담아 기사와 함께 일제의 잔혹성을 세계에 알렸다.
여기에 스코필드는 이상재·유관순 등
3·1운동으로 옥고를 치르는 독립운동가들을 감옥으로 찾아가 만났다. 결국 조선총독부는 그를 눈엣가시처럼 여겨 캐나다로
1920년 추방했다.
그의 한국 인연은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온타리오수의칼리지에서 은퇴 후 1955년 한국으로가 서울대 수의과
교수로 활동했다. 그리고 1970년 외국인 최초로 한국 국립 현충원에 안장됐다. 그 해 4월 12일 세상을 떠날 때 석호필의
유언은 “내가 죽거든 한국 땅에 묻어주시오. 내가 도와주던 소년·소녀들과 불쌍한 사람들을 맡아주세요”였다. 그는 한 기고에서
한국인을 향해 이런 당부를 남겼다 “1919년 젊은 이와 노인에게 진 커다란 빚을 잊지 마시오”

제중원의 원장으로 부임한 그는 1904년 제중원을 신축하면서 기부금을 낸 미국인 사업가 이름 따 세브란스 기념병원이라고 이름을 명명했다. 1908년에는 조선인 양의사 7명을 배출했다. 1915년에 연세대의 전신인 조선기독학교부터 시작해 1935년까지 계속 교편을 잡았다. 1935년 은퇴 후 조선에서 생을 마감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친지 인사차 출국했다가 아내 제니 여사가 세상을 뜨고, 일본이 일본제국헌법 개정으로 ‘대동아공영권’ 표방하면서 적대관계로 전환해 식민지 조선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그는 1956년에 서거했다.
어비신의 증손자 크리스 에이비슨씨는 방한해서 2010년에 연세대에서 이런 연설을 했다. “우리 할아버지는 남자는 의사로 여자는 간호사로 교육시켰습니다. 그리고 그 교육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눈 앞에서 모두 같은 인간이란 점을 알리고자 하셨습니다. 할아버지가 남긴 레거시(legacy)를 한국인들은 훌륭하게 일궈놓았습니다. 여러분 스스로를 한 번 보십시오. 이번에 한국에 온 에이비슨 일가는 여러분을 가르치러 온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믿음·소망·사랑으로 일궈놓은 영광을 보고 배우고 갑니다"

그는 캐나다에 보내온 간도·용정발 보고서에서 이렇게 적었다. “갑작스럽게 입원한 40명의 중상환자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부분이 뇌를 비롯한 중요기관에 관통상을 입고 병원에 왔습니다. 입원 당시 이미 치명상을 입어 손을 쓸 수 없는 상태도 있었습니다” 그의 이러한 보고는 경신참변을 증언하고 있다. 청산리대첩 이후 일제가 일으킨 한민족 학살 사건이다. 독립군과 관련없는 민간인을 마구잡이로 일제가 보복으로 학살한 사건이다. 후일 세브란스병원에서 결핵퇴치 운동에 활약했던 민산해는 1941년 한국에서 서거했다.

<▲프레드릭 맥켄지작, 대한의병 >
프레드릭 맥켄지(McKenzie)는 언론인이다. 캐나다 태생으로 1904년 영국 데일리메일의 러·일 전쟁특파원으로 대한제국을 처음 방문했다. 1906년에는 대한제국 군대 해산과 의병활동을 취재했다. 그는 “일본의 통치에 반대한다”하는 한국인의 목소리를 분명히 알렸다.
1908년 “조선의 비극(The Tragedy of Korea)”라는 책을 썼다. 책 서문의 첫 줄이 “한 나라의 각성과 멸망을 전하고자 합니다”이다. 이 책은 서방의 입장에서 명성왕후-대원군의 갈등부터 시작해 일본의 만행까지 기술한 역사서다. 1919년 3·1운동, 특히 제암리 학살과 석호필의 증언을 보도하면서 그는 ‘조선의 독립운동’이라는 책을 집필해, 조선인의 독립 의지를 서방에 알렸다. 1920년에는 런던에 한국친우회를 창립, 독립투사를 지원하며, 한국의 독립을 호소했다. 그러나 1931년 캐나다에서 별세하면서, 그가 지지했던 독립을 보지는 못했다. 조선의 멸망을 보고, 독립의 투쟁을 본 그는 한 나라의 부활을 염원했다. 2014년 대한민국 건국훈장이 추서됐다.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무료 예식' 1만5000쌍···아버지 원망하던 아들은 이제 행복을 찍는다
2025.05.02 (금)
58년간 '완전 무료' 신신예식장
아버지 꿈을 잇는 백남문 대표
경남 창원 신신예식장에서 백남문(왼쪽) 대표와 어머니 최필순씨가 웨딩 촬영을 준비하고 있다. 1967년부터 지금까지 1만5000여 쌍이 이곳에서 무료 결혼식을 올렸다. “나처럼 돈이 없어...
|
BC 산불시즌 벌써 시작? 북부 마을서 활활
2025.05.02 (금)
포트 세인트 존에 대피령 내려지기도
포트 세인트 존에서 진행 중인 산불 모습 / BC Wildfire Service 5월 초부터 북부를 비롯한 BC주 전역에서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본격적인 산불철을 앞두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
|
충격패 딛고··· 폴리에브, 의회 재입성 파란불
2025.05.02 (금)
앨버타 보수당 의원, 폴리에브 의석 위해 사임
카니 “보선 조속히”··· ‘보수당 텃밭’ 승리 확정적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 이번 총선에서 충격 낙선으로 리더십에 경고등이 켜진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가 보궐선거를 통해 의석을 되찾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
시애틀 외식·관광 업계, “캐나다 방문객은 30% 할인”
2025.05.02 (금)
사과와 감사의 의미로··· 5월 9일부터 3일간
▲시애틀에 위치한 아이바르 식당 전경. 시애틀의 여러 식당과 관광 업체들이 캐나다 여행객들에게 할인과 함께 사과의 뜻을 전하고 있다. 시애틀의 유명 해산물 레스토랑 체인...
|
카니 시대 개막··· 외교·내정 본격 행보
2025.05.02 (금)
다음주 트럼프와 회담··· 리더십 시험대 올라
7월부터 소득세 인하·州간 무역장벽 제거 찰스 3세 개원 연설··· 주권 강화 의지 보여
연방 총선에서 승리한 마크 카니 총리가 다음 주 도널드 트럼프와의 회담을 시작으로 총리로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이 회담에서 어떤 성과를 얻어내느냐에 따라, 정치 신인인 카니...
|
[AD]한인업체 로얄캐네디언 추모 동참 ‘하루 수익 전액 기부’
2025.05.02 (금)
5월 3일 한남 스토어 매출 전액 유가족에 전달 약속
지난 26일 밴쿠버 라푸라푸데이 축제 현장에서 발생한 차량돌진 사고와 관련해, 로얄캐네디언(Royal Canadian)이 희생자들과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 지원에 동참한다. ...
|
美 “캐나다·멕시코 車 부품은 25% 관세 예외”
2025.05.02 (금)
미국 정부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적용받는 자동차부품에는 오는 3일(현지시각)부터 발효되는 25% 부품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밝혔다.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일...
|
엄마 마음 사로잡는 ‘마더스데이’ 효도 아이템
2025.05.02 (금)
밴쿠버만의 감성 담긴 ‘맞춤 선물’ 6종
어머니에게 감사를 표하는 마더스 데이(5월 11일)가 성큼 다가왔다. 올해 마더스 데이에는 뻔하고 진부한 선물보다는 ‘밴쿠버의 감성’를 담은 특별한 선물을 준비해 보는 것은 어떨까?...
|
차량 참사로 가족 잃은 소년, 슬픔 속 나눔 실천
2025.05.01 (목)
부모·동생 잃은 16세 소년 앤디 레 군
“모금액 52만불 중 절반 다른 유가족에 전달”
라푸라푸데이 참사로 부모와 동생을 잃은 16세 앤디 레(왼쪽에서 두 번째)군이 본인에게 전달된 모금액 중 절반을 다른 유가족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 GoFundMe 라푸라푸데이 참사로...
|
캐나다 우편 파업, 5월 재점화 위기
2025.05.01 (목)
캐나다포스트 노조, 5개월 만에 파업 가능성
22일 이후 우편 또 멈추나··· 은행들 ‘비상’
캐나다포스트 노동조합이 다시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지난해 벌어졌던 전국 규모의 파업이 종료된 지 5개월 만이다. 캐나다포스트 노사 간 기존 단체 협약이 오는 5월 22일...
|
캐나다의 ‘최다 불만’ 통신사는 어디?
2025.05.01 (목)
텔러스·로져스·벨 순··· 4위 샤는 194% 급증
“통신사 계약시 보장 내용 꼼꼼히 살펴야”
고객들의 불만이 가장 많이 접수된 캐나다 통신사는 텔러스(Telus)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신-텔레비전 서비스 불만사항 위원회(CCTS)가 30일 발표한 2024-2025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
밴쿠버 참사 애도··· 5월 2일 ‘추모의 날’ 지정
2025.05.01 (목)
현행 정신 건강법도 전면 검토 착수
▲지난 26일 발생한 참사 현장 인근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민들의 꽃다발과 메시지, 촛불 등이 놓여져 있다. / 손상호 기자밴쿠버 필리핀 거리 축제에서 발생한 차량 돌진 참사로 11명이...
|
허드슨베이 자산 인수戰··· 캐네디언 타이어도 가세
2025.05.01 (목)
인수 희망자 속속··· 최대 18개 입찰자 경쟁 중
재정난에 처한 캐나다 백화점 체인 허드슨베이(Hudson's Bay)가 자산 매각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캐네디언 타이어(Canadian Tire)가 일부 자산에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다.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
화이트캡스, 메시 넘고 챔피언스컵 결승행
2025.05.01 (목)
마이애미 상대 1·2차전 합계 5대1 대승
캐나다 연고팀 최초 우승까지 1승 남겨
30일 플로리다에서 열린 CONCACAF 챔피언스 4강전 2차전에서 밴쿠버 화이트캡스의 페드로 비테가 역전골 후 기뻐하고 있다 / Vancouver Whitecaps X 밴쿠버 화이트캡스가 리오넬 메시를 또 한 번...
|
BC주, 단기 임대 플랫폼 등록 검증 기한 연장
2025.05.01 (목)
6월 1일까지로··· 호스트는 등록 미리 마쳐야
BC주 정부가 단기 임대 플랫폼에 요구한 호스트 등록 검증 기한을 한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앞서 에어비앤비·VRBO 등 플랫폼은 이번 주 목요일까지 단기 임대 호스트가 정부 등록번호를...
|
“꿈나무들의 한글 사랑 담은 축제 한마당”
2025.04.30 (수)
한글학교 한자리 모인 ‘어울림 한마당’ 개최
캐나다 서부 한글 학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어울림 한마당’이 ‘한글아~놀자!”라는 주제로 지난 26일 써리 소재 퍼시픽 아카데미에서 개최됐다. 캐나다 서부지역 한국학교...
|
메트로 밴쿠버, 재산세 올려 버스 운행 늘린다
2025.04.30 (수)
내년부터 버스 서비스 5% 확대
재원은 재산세 인상으로 충당
메트로 밴쿠버 지역 대중교통이 내년부터 확대된다. 메트로 밴쿠버 시장협의회(Mayors’ Council)는 30일 2025년 투자 계획을 승인하고, 버스 서비스 확대와 신속 대중교통망 구축을 본격...
|
BC주, 최대 4000달러 전기차 보조금 중단
2025.04.30 (수)
5월 15일부터 한시적으로··· 세부사항 추후 공개
BC 주정부가 최대 4000달러를 지원하던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을 오는 5월 15일부터 일시 중단한다.BC 에너지부 아드리안 딕스 장관은 30일 성명을 통해 “지난 1월 연방정부 EV 보조금이...
|
숨 고르던 加경제, 2분기에 요동치나?
2025.04.30 (수)
2월 마이너스 성장··· 1분기 성장률 미미
美 관세발 경제 위기, 2분기 본격 시작
미국과 무역전쟁 여파로 캐나다 경제의 불안 조짐이 조금씩 감지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위기는 2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연방 통계청은 지난 2월 캐나다의...
|
韓대행, 캐나다 자유당 정권 재창출에 축전
2025.04.30 (수)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 Mark Carney Instagram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30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집권 자유당의 총선 승리를 축하하는 전문을 보냈다고 국무총리실이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