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이민자의 꿈에서 시작했던 퓨처샵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3-31 15:03

비즈니스프로파일
관련 기사 : 비즈니스프로파일
이란계 이민 사업가의 성공, 퓨처샵

이번에 베스트바이로 통·폐합 발표로 상표가 사라지게 된 퓨처샵은 이란계 사업가 하산 호스로샤히(Khosrowshahi·75·사진)씨가 1981년 밴쿠버로 이민 후, 1년 만인 1982년 버나비에 첫 매장을 내면서 시작됐다.

1979년 이란혁명(호메이니 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호스로샤히씨는 대기업 총수로 이란에서 그대로 승승장구했을지도 모른다. 호스로샤히씨는 1951년 처음 20명 직원으로 미누산업(Minoo Industrial)을 시작해, 1978년 이란을 떠날 무렵에 식품·의약·화장품 전국 판매망을 가진 그룹으로 직원이 6000명이었다라고 한 인터뷰에서 회고했다. 

중동의 자본주의 첨단에서 이슬람 원리주의로 회귀하는 혁명 직전, 사실상 무정부상태로 치달은 이란에서는 기업인에 대한 공격이 비일비재했다. 종교원리주의에 경도된 노조는 기업주보고 기업을, 그들이 꿈꾸는 신정일치 국가에 바칠 것을 요구하는 일이 있었다. 이 가운데 미누산업 근로자 일부가 업주를 감금한 상태에서 기업을 나라에 바칠 것을 요구했다는 기록이 ‘이란내 노동조합과 독재(Labour unions and Autocracy in Iran)’라는 책에 일화로 있다. 이란에서는 이슬람원리주의가 득세하며 친서방 기업 활동·거래는 공공연한 제한대상이 됐다. 결국 호스로샤히씨가 이란을 떠나게 되면서 미누산업은 국유화됐다.

타국을 떠돌다 1981년 캐나다 이민이 결정돼 밴쿠버에 살게된 40대 초반 호스로샤히씨의 ‘엔진’은 모국 이란에서 멈추지 않았다. 그는 지인에게 “여기 이 나라, 이 도시에 살 수 있는 것만으로도 큰 은혜”라며 이란에서 이뤘던 압축성장의 신화를 다시 1982년 부터 퓨처샵으로 쓰기 시작했다. 


이민자가 만나는 세 가지 질문에서 익숙한 것 선택

호스로샤히씨는 2013년 BC주 사업가상(償) 중 하나인 비즈니스로리어트상(Business Laureates)을 받았는 데, 이 자리에서 그의 이민 초기의 사업 접근 방식을 소개한 바 있다.

캐나다에서 새 삶을 시작하는 이민자는 세 가지 기초적이지만 매우 중대한 질문을 접한다. “언제·어디서·어떻게 일을 시작할 것인가?"라는 자문에, 호스로샤히씨는 “바로 지금·은혜를 입은 여기서·내가 익숙한 분야로” 자답했다. 그는 그룹을 이끌며 접했던 여러 분야 중에 전자제품과 부동산 개발업을 택했다. 

둘 중에서도 초기에 노력을 기울인 분야는 전자제품 판매업, 즉 퓨처샵이었다. 퓨처샵 창업 이유에 대해 호스로샤히씨는 “전자제품 판매업은 성장 중인 분야였고, 주변을 돌아보니 전자제품 판매업의 서비스가 매우 형편없더라”라고 말했다. 소비자로서 불만을 그저 불만 대상이 아니라 서비스로 풀어야할 과제로 본 것이다. 

그는 아이디어를 주변에 나눴다. “모두가 웃어넘기더군요. 괜찮은 도움 없이는 안될 거라 얘기했습니다. 온타리오에 갔을 때는 제 사업 모델이 ‘위험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퓨처샵 성공의 신화 

퓨처샵의 사업 형태는 독창적인 것은 아니다. 1980년대 미국에서는 다양한 상표의 컴퓨터·소프트웨어·오디오·비디오를 대형 점포에 진열하고 판매하는 방식이 인기있었고 이를 고스란히 캐나다로 들여 온 것이다. 다만 캐나다는 미국에 비해 인구·시장 규모가 작아 일명 ‘빅박스(Big Box)’ 형태의 대형 매장의 성공유무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였다.

창업 자본은 미누산업이 이란 국외에 보유하고 있던 재원을 모아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비지니스 운영은 오랜 지인이자 전문 경영인인 모하메드 자이아박시(Ziabakhsh)씨가 CEO겸 사장으로 퓨처샵을 운영했다. 호스로샤히씨는 이사장 직함을 썼다. 

여기에 최저가 보증제와 적극적인 광고 전략은 시장에서 통했다. 창업 1년만인 1983년 점포는 3개로 늘었고, 수익은 280만 달러에 도달했다. 1990년대는 전자제품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세대교체를 맞이하면서 퓨처샵은 폭발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다. 예컨대 비디오테이프가 은퇴하고 DVD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각종 게임기나 TV·컴퓨터도 세대 교체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1993년에는 38개 매장에 연 매출 3억3400만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이러한 성장을 토대로 1993년 8월에 퓨처샵은 기업공개를 통해 토론토주식시장에 상장됐다. 주식시장 진출을 기점으로 퓨처샵은 더욱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펼치기 시작해 상장 당시 주당 11달러25센트였던 주가는, 수개월 만에 두 배로 뛰었다.


신화 뒤의 그림자도 있는 퓨처샵

1990년대초 전자제품·컴퓨터의 세대교체 주기를 맞아 퓨처샵은 승승장구 했으나 90년대 중반에 결국 시장의 한계에 도달했다. 퓨처샵이 계속 점포 확대를 할 수 있을 만큼 캐나다 시장은 규모가 크지 않았고, 이 가운데 미국 상표가 캐나다 대도시로 진출해 퓨쳐샵과 가격 경쟁을 벌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공성에서 수성으로 시장에서 입지가 바뀐 것이다.

퓨처샵의 벽을 넘는 전략으로는 수성이 아니라 공성이 채택됐다. 캐나다 국경을 넘어 경쟁상대들이 온 미국으로 퓨쳐샵은 점포 확대를 시작했다. 1996년 퓨처샵은 미국 북서부에 8개 점포를 새로 내면서 미국 시장에서 입지 확대를 꽤했다.

1997년 성장을 주도해온 자이아박시CEO·사장에서 물러나고, 호스로샤히씨가 그 자리에 앉아 경영진 교체를 시작했다. 호스로샤히씨는 임직원에게 오랜 시간 기회를 주지는 않았다. 그는 단기간에 경영진을 자주 바꾸면서 벽을 넘게해줄 적임자를 찾았다. 캐나다 국내에서 성장 또는 준 독점시장 완성을 위해 컴퓨USA 산하 컴퓨터시티를 인수·합병해 더욱 규모를 키웠다. 

그러나 일련의 미국 공성은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캐나다에서는 승승장구했던 퓨처샵이지만, 미국에서는 캐나다와 같은 전략이 통하지 않았다. 미국 진출 3년간 8300만달러의 손실 끝에 결국은 미국에서 퓨처샵은 두 손을 들었다. 1999년 “핵심시장 집중 전략”을 발표하면서 미국 매장을 모두 정리하겠다고 호스로샤히 CEO는 발표했다. 사실상 미국 공성은 실패하고 캐나다 수성으로 회귀한 것이다. 거의 독점 상태인 캐나다 시장에서 퓨처샵의 입지는 미국보다는 훨씬 견고했다. 그러나 독점시장의 단맛은 오래가지 않았다. 미국에서 반격이 시작됐다.

베스트바이가 2001년 캐나다 진출을 선언한 것이다. 퓨처샵의 대응은 고소였다. 베스트바이가 퓨처샵의 고위층을 스카웃해 영업 비밀을 가져갔다는 주장을 펼쳤으나, 법의 판단은 퓨처샵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베스트바이와 싸움 대신 합병 선택

2001년 2월 퓨처샵은 컴퓨터시티 점포 폐업을 발표하면서 동시에 퓨처샵 매장을 2005년까지 120개로 늘리겠다는 야심찬 발표를 한다. 또한 비록 실패했지만, 서점 체인점인 챕터스 인수에 나서는 등 공격적인 베스트바이의 캐나다 진출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상당히 공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그해 3월에는 15개월 연속 흑자를 자랑하며 베스트바이의 진출에 대비돼 있다는 홍보를 했다.

2001년 9월 소식은 그래서 놀라웠다. 베스트바이가 퓨처샵을 3억87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한 것이다. 그간 퓨처샵의 ‘몸 값’을 올린 호로스샤히 CEO는 자리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2002년 베스트바이 매장이 캐나다 국내에 세워지기 시작하면서, 베스트바이 캐나다는 퓨처샵과 베스트바이 두 종류의 브랜드로 영업을 시작했다. 두 브랜드가 합병될 것이란 전망은 2002년부터 있었지만, 당시에는 실현되지 않았다. 베스트바이는 매장 중심으로 영업을 고려할 때 두 상표로 영업하는 것이 좀 더 이익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 쇼핑이 활성화 되면서 상표 차이는 큰 의미가 없어졌다. 가격 비교가 일상이 된 고객은 베스트바이나 퓨처샵 매장을 방문해 제품 실물을 구경한 후, 주문은 인터넷으로 했다. 대형 매장의 중요성은 예전보다 줄었고, 인터넷 쇼핑 시장이 커지면서 베스트바이도 변해야 했다. 올해 1월만 해도 베스트바이캐나다의 전략은 점포 정리 후, 두 브랜드를 유지하는 형태였다. 총 15개 베스트바이와 퓨처샵을 정리하고, 900명을 정리해고하겠다고 지난 1월말 발표했던 베스트바이는 좀 더 여파가 큰 선택을 3월말 감행했다. 갑작스럽게 모든 퓨처샵의 문을 닫고, 정리할 매장과 상표명 변경 후 다시 문 열 매장을 통보한 것이다. 일선 매장의 직원들도 예상못했던 기습작전이었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 이제 미래가 사라진 퓨처샵… 지난 3월 28일 베스트바이 캐나다는 자사 보유의 퓨처샵과 베스트바이 상표의 통·폐합을 결정·발표했다. 사진은 발표 직후 폐점 안내를 붙이고 문 닫은 퓨처샵. 일부 매장은 베스트바이 상표로 바꿔 다시 영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진=Flickr/ Jamie McCaffrey(CC) >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올해로 16번째 한인문화의날을 즐길 수 있다
오는 8월 5일 토요일 오전 9시쯤 일어나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아침 커피 한잔 후 10시쯤 목표로 해서 버나비 센트럴파크에 있는 스완가드 스타디움(Swangard Stadium)으로 향해보자. 여름철 좋은...
현재 공급량 많아... 공실률 상승·임대료도 하락
메트로밴쿠버 지역 역세권 사무실이 대량으로 공급되면서 빈 공간이 늘고, 임대료 역시 하락하고 있다.지난달 9일 발표된 상업용 부동산 전문 존스랭라살(JLL)사의 역세권 사무실 공실률...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43)
Kurdi’s Family지난 2015년 9월 해안가에 밀려온 세살박이 시리아 난민의 시신은 사람들의 마음을 참담하게 했다. 아일란 쿠르디(Kurdi)군의 사진은 캐나다의 대(對)시리아난민 정책을 움직였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40)
Labour Dispute and Mediation in Canada 7월초 금방이라도 일손을 놓을 듯싶었던 우편공사 위기는 8일 노사의 30일간 숙려기간(cooling off) 및 협상 계속 합의로 일단 해소됐다. 노조의 파업(strike)이나...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39)
Burns Bog번스복(Burns Bog)는 BC주 델타에 있는 3500 헥타르 규모 늪지대다. 밴쿠버를 대표하는 스탠리파크보다 약 8배 넓다. 과거에는 최소 30cm 두께로 늪 바닥에 깔린 토탄(peat)에 대한 경제적...
밴쿠버 도로에서 하지 말아야할 세 가지
산만운전· 음주운전· 소음운전… 최근 집중 단속여름철을 맞이해 경찰의 도로 안전 관련 단속이 늘고 있다. 최근 집중 단속 대상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등 산만 운전과 음주운전이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38)
Something For Everyone전 세계 국토면적 2위, 캐나다는 워낙 넓다 보니 캐나다인들도 국내에 못 가본 곳이 많다.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BC주를 방문 또는 살아본...
황금률은 안전... 캐나다 주마다 기준달라 주의해야
아이 혼자 집에 머물 수 있는 나이는, BC주 대법원의 2015년 9월 15일 판결을 기준으로 보면 만 10세 이상이다. 만 9세 이하라면 반드시 성인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해당 판결은 9살 난 아들...
권민수 편집장의 캐나다 브리핑(137)
Think Safe·Act Safe·Be Safe7월 1일 캐나다데이는 축제가 펼쳐지기도 하지만, 캐나다 각지에서 조난 사고로 수색 작업이 가장 활발해지는 시기라고 한다.문뜩 이 얘기를 듣고 밴쿠버...
여름철 그릴을 펼치고 고기를 구워 가족이 나눠 먹는 장면은 아마도 북미의 여름을 대표하는 모습일 것이다. 통념적으로 고기 굽는 아빠, 테이블 세팅하는 엄마, 입맛 다시며 기다리는...
에어콘·선풍기 판매 늘고... 전력 사용량 증가... 노약자 건강 주의 당부
폭염으로 더웠던 6월보다 더 더운 7월이 예고된 가운데, 보건 당국은 더위와 관련해 여러가지 주의 사항을 내놓고 있다. 물을 자주 마시고, 햇볕과 더운 장소는 피하라는 것이 요점이다. 이...
폭염에 대비하는 상식
최근 메트로밴쿠버는 예외적인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고온·건조한 불볕더위에 건강이 상하기도 쉽다. 캐나다 보건부는 여름 캐나다 국내에서 야외 활동시 ▲자외선(UV)...
캐나다 소비자가 알아야할 휴대전화 소유주의 권리
휴대전화 보급률에 있어서 캐나다는 남부럽지 않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5년 1분기 캐나다인구는 총 3570만명인데, 휴대전화 가입자수는 같은 기간 2848만명에 달한다. 즉 전체 국민의...
오는 3일부터 6일 사이 부활절 연휴를 맞이해 메트로밴쿠버 주변 봄맞이 여행객이 예년처럼 늘어날 전망이다. 여행 전 챙겨야할 정보 중에 교통·대기 혼잡 예상 시간을 알아봤다....
비즈니스프로파일
이란계 이민 사업가의 성공, 퓨처샵이번에 베스트바이로 통·폐합 발표로 상표가 사라지게 된 퓨처샵은 이란계 사업가 하산 호스로샤히(Khosrowshahi·75·사진)씨가 1981년 밴쿠버로 이민 후...
여당 소속으로 당선된 2명이 목표
BC주내 시민단체 ‘주민소환을 위한 BC시민들(BC Citizens for Recall·이하 약자 BCCR)’ 이란 단체가 주의원(MLA) 2명에 대한 주민소환(Recall) 운동을 3월말 시작한다고 최근 발표해...
진통제가 마약으로 오용돼 150여명 사망
진통제로 사용되는 펜타닐(Fentanyl)이 마약으로 오용되고 있다며 BC주내 치안·보건 당국이 2일 일반에 주의를 촉구했다.캐나다연방경찰(RCMP), 밴쿠버시경(VPD) 등 치안 당국과...
[캐나다이슈] 매년 2월 25일 BC주의 불링(Bullying)에 반대하는 날
매년 2월 25일은 BC주의 불링에 반대하는 날(Anti-Bullying Day)이다.  불링은 우리말로 남을 괴롭히기라고 할 수 있다. 2008년부터 이 날을 주정부는 공식 지정했다. 불링에 반대하는 날은 또...
캐나다인에게 물어보니
휴일은 아니지만 캐나다에서 발렌타인데이(매년 2월14일)는 남녀노소가 즐기는 명절이다. 한국의 발렌타인데이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남녀가 모두 ‘사랑하는 이’에게 간단한...
[커뮤니티 포커스]
*메트로밴쿠버 거주자가 알아둘 주요 소식과 해설을 전달합니다. 작성: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임대료 부담에 랍슨가 매장 철수”대형서점 인디고 매장 정리 발표대형 서점 체인업체...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