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스포츠는 과학이다 아니 수학이다.

배한길 info.elc09@gmail.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13-12-15 22:15

        대부분의 스포츠 경기를 수학적으로 이야기 한다면 지형학적 전략(geometric strategy) 게임이라고 말할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농구장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농구골대는 원형의 형태를 그리고 공은 구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팀의 각각의 6명의 선수가 농구장 지형을 어떻게 효과 적으로 차지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게 됩니다. 농구 선수들의 신장 또한 매우 중요한 변수있데요. 그것 또한 3차원적으로 생각하면 농구장 전체를 직육면체라고 말씀 드릴수 있고 각각의 선수들은  자신들에게 허용되어지는 가로, 세로, 그리고 높이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경기를 진행하고 승리하도록 하는 경기인 것이지요.

 

         다른 예로는 장기, 체스, 또는 바둑을 이야기 할수 있습니다. 또한 한정된 공간에서 각각의 병사들을 정해져 있는 룰에 따라 얼마나 효과적으로 지형학적으로 움직이냐가 승패를 가름 하는 열쇠하고 말씀 드릴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김연아 선수의 피겨 스케이트는 어떨까요? 우리가 많이 들어 알수 있는 쓰리플 액셀 같은 단어들은 그냥 지나 치기 쉽지만 한정된 아레나(스케이트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간을 이용하는냐 하는 좋은 입니다. 왜냐하면 각각의 선수들의 스핀 횟수, 점프 높이, 그리고 자세 등이 점수화 되는데, 모든 것이 지형을 어떻게 어떠한 식으로 이용할 것이냐에 달려 있다고 봐도 틀리지 않을 것입니다. 텔레비젼 중계를 보면 선수의 경기후 해설자들이 공간을 얼마나 한정된 공간을 이용하였느냐를 그래픽을 통해서 보여주곤 하는데요, 이것 또한 운동경기들이 지형학적 전략 경기임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지형학적 전력 게임의 꽃이라고 하는 당구에 대해서 이야기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그냥 재미로만 생각한 당구에 정말 많은 수학의 개념들이 녹아 들어가있습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