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혹시 여러분은 음료수병의 마개를 보신적이 있나요?

배한길 info.elc09@gmail.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13-10-07 09:30

우리가 자주 마시는 음료수병의 병마개를 혹시 유의해서보신적 있으시지요?

 

        만약 지금 집에 열지 않은 음료수 병이나 또는 그냥 병마개가 있다면 한 번 유심히 관찰해 보시면 어떠실 런지요?

 

        자세히 병마개를 보시면 톱니가 여러개 있는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게 되실겁니다. 그런데 혹시 그거 아십니까? 이 병뚜껑은 항상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톱니의 개수도 병마개의 크기에 관계없이 21개 인것을 말이죠..

 

그렇습니다. 오늘은 이 병뚜껑에도 숨어 살아 숨쉬는 과학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 합니다.

 

        18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음료수를 봉인하는 방법이 발달하지 못하여서 내용물이 상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습니다. 이 것을 불편하게 생각한 미국의 한 농부 부부가 새로운 뚜껑 개발에 매진하게 됩니다. 많은 실험과 실패를 거듭하게 되지요. 그런 가운데 첫번째 병마개의 임무인 안전하게 내용물을 보관하는 방법을 찾아 내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원형의 형태의 마개를 사용 하는 것이 지요. 하지만 이 원형 형태의 구조는 내용물은 잘 보관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지만 막상 뚜껑을 열려고 할때 마다 여간 힘든것이 아니었습니다. 심지어는 병이 깨지기 까지 했습니다. 이러게 많은 실패를 거듭하던 끝에 농부의 부인이 톱니 구조를 생각해 낸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내용물도 잘 보관되어지고 열기도 편한 톱니를 가진 원형 구조가 개발된 것입니다. 이때 이 농부의 부인이 사용한 톱니의 개수도 지금의 개수와 같은 21개 였습니다. 아마도 제 생각에는 톱니 개수를 여러가지로 바꾸어 가면서 실험을 했을 것이고 많은 실험을 통해 21개의 톱니가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고 실험적 결과를 얻었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 이후 시간이 많이 지난후 수학자들이 이 21개의 톱니를 가진 원형 모양이 가장 안전하고 이상적인 조합이라는 것을 증명 하였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가는 것들에도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과학이 숨어 있습니다. 오늘 여러분들도 생활에서의 작은 불편을 찾아 이것을 개선해 보면 어떠실런지요?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