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장애 딛고 美 대학 교수 된 유명 여성 그룹 '이시스터즈' 출신 김희선씨의 딸, 알고 보니

윤동빈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10-25 17:20

정유선 조지메이슨大 교수 장애아 둔 부모들 앞에서 강연
나를 구한 엄마의 사랑 - 죽고만 싶었던 사춘기 시절 부모는 항상 "넌 최고야" 격려
장애인 부모들 눈물 - "교수로 성공한 것보다 가족의 헌신에 더 감동받아 내 아이 더 사랑해야겠다"

"제가 100미터 달리기 마지막 지점에 들어오는 모습입니다. 제 표정 보이시죠? 제가 왜 저렇게 악을 쓰고 달렸을까요? 저보다 늦게 들어온 아이들을 보면, '졌다'고 생각해서 걷다시피 들어오고 있는데 말이죠."

미국 조지메이슨대학 특수교육과 정유선(42) 교수가 25일 서울 중구 을지로 페럼타워 3층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초등학교 4학년 가을운동회 때 찍은 빛바랜 사진 한장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한국인 뇌성마비 장애인으로는 최초로 박사 학위를 따고 미국 대학의 교수까지 오른 그는 두 아이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저는 이날 4등을 했지만, 끝까지 달렸습니다. 비록 뇌성마비 장애가 있지만, 저는 제 앞에 달려나간 친구들처럼 뭐든 똑같이 하고 싶었습니다. 기적이란 이처럼 간절히 바라는 사람에게 인생이 주는 '선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정 교수의 강연은 이렇게 이어졌다. 강연 객석엔 장애인을 키우는 부모들과 그 가족, 또 장애인을 돌보는 단체의 관계자 등 80여명이 때로는 눈물을, 때로는 웃음을 터뜨리며 열중했다. 이날 강연의 제목은 자신의 자서전 제목이기도 한 '기적은 기적처럼 오지 않는다'였다.

뇌성마비 때문에 아직도 그는 한마디 한마디 꺼낼 때마다 얼굴이 찡그러지고 있었다. 그런 그의 옆엔 수화 통역자 말고도 한 사람이 더 앉아 있었다. 김희선(71)씨. 그의 어머니다. 1960년대 인기곡인 '울릉도 트위스트'를 부른 '이시스터즈'의 멤버이기도 하다. 정 교수의 말을 듣던 어머니 김씨는 "운동회 날 100미터 달리기하는 딸을 보며 펑펑 울었다"며 "안쓰러워서가 아니라 4등으로 달리는데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뛰어오는 딸을 보면서 한없이 자랑스러운 마음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25일 오전 서울 을지로에서 열린 강연회가 끝나고 환하게 웃고 있는 정유선 교수(왼쪽 사진의 오른쪽)와 어머니 김희선씨. 정 교수는 사진을 찍으며 “내가 세상에서 제일 힘들어하는 일이 사진 찍는 일이다. 찡그린 얼굴이 나올까 봐”라고 말했다.(왼쪽 사진) 정 교수가 초등학교 4학년이던 1980년 가을운동회에서 100m 달리기에 4등으로 들어오는 모습.(오른쪽 사진 흰 점선) /파라다이스 복지재단·정유선 교수 제공
정 교수는 "제가 세상에서 가장 힘들어하는 일이 사진 찍는 것과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어머니와 제 이야기를 통해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가족이 희망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강연을 결심했다"고 이야기를 시작했다.

정 교수는 자신의 어두웠던 시절부터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사춘기를 겪던 중학교 시절 그의 일기장에는 '부모님은 왜 나를 낳았을까' '사람들이 힐끗힐끗 쳐다보는 것이 너무 싫다' ' 죽어버리고 싶다'는 글로 가득했다고 했다. 그는 "하지만 부모님은 늘 용기를 줬고, 그래서 체력장 오래 매달리기도 남들만큼 하고 싶어 매일 연습한 결과 1급을 받을 수 있었으며, 교련 시간에 배우는 붕대 감기도 매일 연습해서 남들처럼 1분 안에 감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객석에 있던, 청각장애아동의 어머니라는 황규윤(40)씨는 "미국에서 교수로 성공했다는 것보다도 저렇게 당당하고, 자신을 아끼고,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모습이 더 멋져 보였다"며 "우리 아이도 정 교수님처럼 자신을 사랑하면, 훗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겠단 생각이 들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왔다"고 말했다. 뇌성마비 인 딸을 키운다는 박정모(45)씨는 "정 교수님의 멋진 삶에는 묵묵히 딸을 지켜보고 사랑을 보낸 어머니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번 강연을 통해 '나도 아이를 더 사랑해야겠다. 더 관심을 보여야겠다'는 생각을 절실하게 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1995년 미국에서 유학 중이던 남편 장석화(48)씨를 만나 두 아이를 낳았다. 두 아이에게 장애를 이해시키고 받아들이게 하는 것도 정 교수에겐 커다란 숙제였다. 정 교수는 "처음엔 '왜 엄마는 다른 엄마들이랑 달라?'라고 아이가 물어볼 때 막막했지만, 아이들에게 '엄마 머리에 상처가 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면서 "그랬더니 딸이 내 머리를 통통 두드리며 '엄마, 내 생각에 지금 엄마는 완전히 괜찮아'라고 말하더라"고 했다. 그녀는 작년 딸의 학교에 가서 '여러분 모두는 특별하다'는 주제로 특별 강연을 했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8일 정오를 기해 한국군이 북한의 4차 핵실험 도발에 맞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재개하면서 휴전선 인근 접경 지역엔 긴장이 감돌았다. 평소 관광객으로 붐비던 도라산 전망대 등 안보...
22세이하 킹스컵 한국戰서 날아차기에 주먹질까지…
대한축구협회는 태국 킹스컵축구대회에서 한국 22세 이하(U—22) 축구대표팀을 상대로 경기 중 비상식적인 폭력 행위를 저지른 우즈베키스탄 선수들에 대해 중징계를 요구하는 서한을 2일...
축구 그 이상이다.13일 정오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스타디움에서 펼쳐질 아르헨티나와 독일의 브라질월드컵 결승엔 단순한 스포츠 경기를 뛰어넘는 의미가 담겨 있다. 결승을 사흘 앞둔 11일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만난 아르헨티나와 독일의 축구 기자들은 다들...
서울시교육위원회 김형태 의원이 15일 “한 학부모가 국제중학교에 1억원을 내고 자녀를 입학시켰다는 제보가 있다”고 밝혔다.김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한 부모가 1억을 주고 아이를 (국제중에) 들여보냈다고 해서 그...
존 케리(Kerry)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는 24일 미 의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중국과의 유대 강화를 강조하고, 아시아 주둔 미군을 강화할 필요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케리 후보자는 상원 외교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중국과의 관계 강화는 매우...
중국 소림사 출신 무술고수 30명이 단체로 중국 해군육전대(해병대)에 입대했다고 중국망(中國網)이 20일 보도했다.30여명의 남성들은 허난(河南) 정저우(鄭州)의 쑹산 소림사의 무술직업학원에서 10년 이상 각종 무술훈련을 받아온 ‘고수’들이다. 이중에는 세계...
“옆구리 세 개의 굵은 선, 다른 상품과 구별” 아디다스 '삼선' 추리닝./사진=조선일보DB어깨와 다리 옆 부분의 ‘삼선(三線)’은 유명 스포츠용품 판매업체인 아디다스의 대표적인 로고다. 대법원이 “상의 옆 부분 줄무늬는 위치상표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고려대와 연세대의 전·현직 야구감독이 입시 비리 혐의로 검찰에 체포됐다.인천지검 특수부(부장 황의수)는 전 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이자 올 시즌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팀 감독을 지낸 양승호(52)씨를 긴급 체포해 이틀째 조사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검찰은...
미국 뉴욕시 맨해튼 지하철 49번가역에서 3일(이하 현지시각) 흑인 남성에게 떠밀려 선로로 추락한 한기석(58ㆍ퀸즈 엘머스트 거주)씨가 전동차에 치여 숨지기 직전, 사건 현장 승강장에는 18명의 사람들이 있었으나 아무도 한씨를 돕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
정유선 조지메이슨大 교수 장애아 둔 부모들 앞에서 강연나를 구한 엄마의 사랑 - 죽고만 싶었던 사춘기 시절 부모는 항상 "넌 최고야" 격려장애인 부모들 눈물 - "교수로 성공한 것보다 가족의 헌신에 더 감동받아 내 아이 더 사랑해야겠다" .par:after{display:block;...
"좋은 무기, 좋은 전차 있으면 뭐합니까? 자신의 잘못을 가리기 위해 상관에게 허위 보고하는 군대는 전쟁에서 이길 수 없습니다."4년 전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을 넘어 귀순한 북한군 장교 출신 이철호(32)씨는 당시 우리 군이 이씨의 귀순을 조작했던 상황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