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어 집중 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한가

김해영 시인 haeyoung55@hot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7-23 16:18

출퇴근길에 늘 눈길을 끄는 곳이 있다. 삭막한 네모 건물 사이에 팔각정 같은 학교 건물, 훌쩍 넓은 운동장 가 정글짐에 풍선처럼 매달린 어린아이들, 그리고 그들이 뿜어내는 초록 웃음… .성 프란시스 재이비어 학교(St. Francis Xavier, 밴쿠버 이스트 1번가에 자리한 Mandarin Immersion School)를 지나칠 때마다 부럽다 못해 심통이 났다.

왜 중국어 이머전 스쿨은 있는데 한국어 이머전 스쿨은 없지? 중국 아이들은 잘 닦인 신작로를 달리고 있는데 우리 아이들만 거친 가시밭길을 헤쳐가야 하는가 싶어 서글퍼진다.

그러던 중 영사관에서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을 코퀴틀람 교육구청 내에 신설한다는 희소식이 들려온다. 이제야 우리 아이들도 햇살 눈부신 대로를 달리겠구나 안심하는 찰라 연이어 학보모들의 무관심으로 무산될 수도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 어쩌면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Korean Immersion Program)이란 말이 낯설어서일지도 모른다 싶어 붓을 든다.

한국어 집중 학습 프로그램이란 제2 언어(Second Language)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정규학교에서  수학, 과학, 역사,사회 및 예술 과목 등을 제 2 언어로 가르치는 이중 언어 학습 시스템이다.

1960년대부터 퀘백 주에서 시작된 프랑스어 이머전 스쿨이 전국에 퍼져 현재 B.C주에는 전체의 7%에 이른다.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이 필요한가? 그렇다. 한국어 보급을 위해서는 한국어와 영어, 이중 언어로 학습활동을 하는 이머전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이다. 한인 2세뿐만이 아니라 캐나다 어린이들도 정규 학교에서 한국어와 역사 및 문화를 배울 수 있다. 여러 소수민족 중 한국인의 위상이 우뚝 높아질 뿐만 아니라 캐나다에서 살아갈 우리 자녀들에게 탄탄한 미래를 닦아주는 초석을 놓아주는 길이기도 하다.

비록 코퀴틀람 교육구청 내 학교에서 킹더가든과 1학년에서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을 시작하지만 밴쿠버 전역으로, 전 교육과정으로 확대될 날이 오리라 믿는다.

더불어 추진하는 한국어 제2 외국어 추진 작업은 먼 미래뿐이 아니라 당장 눈앞에 실질적인 이득을 보는 경우도 있다. 제2 외국어(Language 11&12)는 B.C 주 고등학교 졸업 필수과목이다. 지인의 자녀가 한국어를 선택해 높은 점수를 얻은 덕분에 유수한 대학에 입학하는 행운을 거머잡기도 했다.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킹더가든과 1학년, 9학년~11학년의 자녀를 둔 코퀴틀람 학부모들이 5분만 시간을 들이면 된다. 밴쿠버 영사관 홈페이지(can-vancouver.mofat.go.kr)에 들어가 신청서를 다운로드 받아 설문에 답하여 메일로 답하거나 온라인 설문지에 답하면 된다.

점차 영어에 익숙해지는 자녀에게 “우리말 해라. 한글책 읽어라.” 강요하기보다는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자녀와 함께 설문지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다.

교민들이 조금만 관심과 호응을 보여주면, 널찍한 캐나다 학교 운동장에서 낭창낭창한 우리말을 들을 수 있다. 더이상 한국어가 음지의 언어가 아니라 당당한 양지녘의 언어가 될 수 있다.

모처럼 튼 한국어의 싹이 교민들의 사랑 속에 꾳을 피우고 캐나다 들녘에 화사한 한국어 화단을 꾸밀 수 있기를 소망하며, ‘한글 만세’를 외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John Muir Wilderness Section, 2012년 8월 14일~17일.John Muir Wilderness의 길이는 아주 길다. 동쪽과 서쪽으로는 100마일, 그리고 시에라 네바다 (Sierra Nevada)의 중앙과 남부를 포함하고. 서쪽은 캘리포니아의 센트럴 밸리에서 접근할 수 있고, 많은 작은 마을과 캠프 시설을 갖추고 있다. 동쪽은 매우 가파르고 오웬 밸리에서 접근할 수 있다. 호수, 초원, 계곡, 산봉우리, 숲 등. 시에라 네바다...
오정례
-스톤 크립에서 딥 호수까지패스를 넘고 나서 처음엔 미끄러운 눈밭을 미끄러지듯 달려 내려간다. 하지만 녹슨 톱날과 ‘나무 태우지 마시오.(No Wood Burning)’라는 팻말이 있는 바위 언덕부터선 걸음이 느긋해진다. 안개 목도리를 두른 병풍산과 그 아래 끝없이 펼쳐진 설원이 마치 한 폭의 동양화 같아 풍정에 한껏 젖게 된다. 그러나 풍경화에 한 발 디디면서 풍정은 야구공...
김해영 시인
 John Muir Trail은 Sierra Nevada를 이어지는 긴 산맥을 따라 인간의 상상을 초월하는 초자연 절경이 끊어질 듯 이어진 단 하나의 길로 358km (220마일)을 빚어낸다 .캘리포니아의 요세미티 계곡 (Yosemite Valley)에서 미국 본토 최고봉 휘트니 산(4,418m)까지 358km (220마일)인 John Muir Trail은 스페인의 ‘카미노 데 산티아고’, 캐나다의 ‘웨스트 코스트 트레일’과 함께 세계 3대 트레일로 그...
오정례
-골든 스테어를 넘어 칠쿳 패스로 하이킹 3일째. 한여름에도 바람과 안개, 심지어는 눈보라까지 뿌려댄다는 패스에 도전하는 날, 너무 늦게 잠든 탓인지 새벽 3시에 출발하자는 약속이 무색하게 4 시 기상. 늦어도 끼니는 거를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는 팀원 때문에 누룽지를 끓여먹고 4시  45분에 출발(이후 팀명을 ‘노스 익스플로러’ 에서 ‘누룽지’로 바꿈.)...
김해영 시인
-    캐년 시티에서 쉽 캠프까지 잘 자고 일어났다. 평정심 덕분일 줄 알았더니 모기 램프 덕분인 듯. 둘러 메지도 못할 만큼 짐을 많이 꾸려 걱정스럽던 팀원의 배낭에서 나온 램프가 텐트 앞에 놓여있다.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 조금 불편해도 묵묵히 따라주는 팀원들과의 남은 일정이 훈훈할 듯.  7월 23일, 트레일 이틀째 아침은 흐릿하다. 기상예보는 하루...
김해영 시인
록키산행기                                           “진실을 말해주세요.” 이른바 근자의 인터넷상에서 횡횡하는 타인에 대한 진실요구 행위다. “타진요,’ ‘티진요’ 등등 왜들 이리도 타인의 진실이 궁금한 것인지… 그러나 그 요구가 잉태하는 결과에...
김유식
-트레일 헤드에서 캐년 시티 캠프장까지여름산에서 모기와 블랙플라이, 덩치 큰 호스플라이까지 가세를 한 모기 군단을 만나면 당해낼 장사가 없다. 오죽하면 화이트 패스를 넘던 말들이 모기에게 물려 수 천 마리 떼죽음을 당한 후 칠쿳 트레일로 경로를 바꾸었을까? 오늘 아침 클론다이크 하이웨이를 올 때 들여다 본 데드호스 밸리(Dead Horse Valley)가 떠오른다. 그러나 칠쿳...
김해영 시인
-    화이트호스에서 다이아 트레일 헤드까지 7월 22일, 5시부터 일어나 아침을 먹고 간식까지 챙긴 후 짐을 꾸린다. 떠나기 전 매직펜으로 계단 턱에 “유콘 강과 더불어 흐른다, 오늘도... ."라는 문구와 넷의 이니셜을 남기고 사진 한 컷. 먼저 다녀간 한국 투숙객들이 부엌 대들보에 남긴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메모도 찰칵. 그리고 아듀스! 걸어서 십 분...
김해영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