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정규 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면 얼마나 신날까

김해영 시인 haeyoung55@hot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7-13 09:21

남의 나라에서 사는 어려움 중 가장 큰 게 말 못하는 서러움일 것이다. 들어도 못 듣고 알아듣고도 선뜻 맞춤한 대답을 못해 속상하기 짝이 없다.

남의 나라이지만 내 나라처럼 활개치고 사는 방법이 있을까? 있다.

내가 영어를 배워 완벽하게 구사하는 것이다. 이 나이에? 아무리 잘 해도 폼나게 영어로 말하다가 꼭 어느 대목에선 “What?” 소리 듣는데? 저나 나나 똑같이 발음하는 것 같은데 악센트 하나 틀려 못 알아들으면 분통 터진다.그러니 영어 정복은 죽을 때까지 숙제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캐나다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다. 언어는 사회생활의 필수도구이기 떄문에 필요하면 배운다. 한국과 무역을 하기 위해, 한국 회사에 취업을 하기 위해, 한국 드라마나 팝송을 즐기 위해, 하다못해 한국인 이성친구를 사귀려고 한국어를 배우기도 한다.

우리는 지금껏 소극적인 이민생활을 해 왔다. 아이들이 이 나라 말과 풍습을 배워 어엿한 캐나다인이 되도록 뒷바라지하는 데에만 열중해 왔다. 오로지 나와 내 가족, 그리고 눈앞에 닥친 현실적 문제들을 해결하느라 자녀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얼을 심어주는 일에는 조금 등한한 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민자 한 사람 한 사람이 캐나다에 한국을 알리는 민간 외교관임에도 불구하고 그 임무를 잊고 살아왔다는 후회도 된다.

아이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심어주고,이 땅에 우리 아이들이 어깨를 펴고 살아갈 미래의 터전을 닦아주는 일, 더불어 민간 사절단의 임무도 수행하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한국어 교육이다.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의 제 2 외국어 대열에 한국어가 당당하게 자리하는 어려운 작업을 하고서도 또 하나의 국어인 프랑스어나 다른 외국어 하나를 더 배우는 게 낫다는 생각에서 외면을 하는 바람에 학급 정족수 부족으로 결국 폐지되는 사태에 이르렀다.

언어의 세력은 민족의 세력이며 국가의 위상이다. 우리는 캐나다에 한국어의 꽃을 피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한 번 놓쳤다. 우리의 편협하고 단기적인 이기심 때문에 우리 아이들이 한국인의 이름표를 달고 캐나다에서 당당하게 살 수 있는 시기를 늦추고 말았다. 한국어는 아직도 사적인 언어이다.

공적인 자리에서 눈치 보며 소곤거려야 하는 언어,음지 식물처럼 그늘에서 새들거리고 있는 한국어를 양지로 끌어내려면 공교육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 정규 학교에서 우리 아이들이 캐나다 아이들과 나란히 한국어를 배우는 것, 얼마나 신나는 일인가?

지금 밴쿠버 총영사관에서 ‘한국어 집중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비록 코퀴틀람 교육청 으로 제한적이지만 한국어가 따스한 양지녘으로 나서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한국어 제 2 외국어 클라스 폐지, UBC  한국학 폐지 위험 등 연거픈 한국어 사업 도산 소식 끝에 봄바람처러 불어온 새소식에 새로운 희망을 걸어본다. 비탈에 선 한국어가 밴쿠버에 뿌리를 내리고 푸르른 녹음을 드리워 내 아이들, 내 아이들의 아이들을 품어주는 그 날을 꿈꾼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John Muir Wilderness Section, 2012년 8월 14일~17일.John Muir Wilderness의 길이는 아주 길다. 동쪽과 서쪽으로는 100마일, 그리고 시에라 네바다 (Sierra Nevada)의 중앙과 남부를 포함하고. 서쪽은 캘리포니아의 센트럴 밸리에서 접근할 수 있고, 많은 작은 마을과 캠프 시설을 갖추고 있다. 동쪽은 매우 가파르고 오웬 밸리에서 접근할 수 있다. 호수, 초원, 계곡, 산봉우리, 숲 등. 시에라 네바다...
오정례
-스톤 크립에서 딥 호수까지패스를 넘고 나서 처음엔 미끄러운 눈밭을 미끄러지듯 달려 내려간다. 하지만 녹슨 톱날과 ‘나무 태우지 마시오.(No Wood Burning)’라는 팻말이 있는 바위 언덕부터선 걸음이 느긋해진다. 안개 목도리를 두른 병풍산과 그 아래 끝없이 펼쳐진 설원이 마치 한 폭의 동양화 같아 풍정에 한껏 젖게 된다. 그러나 풍경화에 한 발 디디면서 풍정은 야구공...
김해영 시인
 John Muir Trail은 Sierra Nevada를 이어지는 긴 산맥을 따라 인간의 상상을 초월하는 초자연 절경이 끊어질 듯 이어진 단 하나의 길로 358km (220마일)을 빚어낸다 .캘리포니아의 요세미티 계곡 (Yosemite Valley)에서 미국 본토 최고봉 휘트니 산(4,418m)까지 358km (220마일)인 John Muir Trail은 스페인의 ‘카미노 데 산티아고’, 캐나다의 ‘웨스트 코스트 트레일’과 함께 세계 3대 트레일로 그...
오정례
-골든 스테어를 넘어 칠쿳 패스로 하이킹 3일째. 한여름에도 바람과 안개, 심지어는 눈보라까지 뿌려댄다는 패스에 도전하는 날, 너무 늦게 잠든 탓인지 새벽 3시에 출발하자는 약속이 무색하게 4 시 기상. 늦어도 끼니는 거를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는 팀원 때문에 누룽지를 끓여먹고 4시  45분에 출발(이후 팀명을 ‘노스 익스플로러’ 에서 ‘누룽지’로 바꿈.)...
김해영 시인
-    캐년 시티에서 쉽 캠프까지 잘 자고 일어났다. 평정심 덕분일 줄 알았더니 모기 램프 덕분인 듯. 둘러 메지도 못할 만큼 짐을 많이 꾸려 걱정스럽던 팀원의 배낭에서 나온 램프가 텐트 앞에 놓여있다.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 조금 불편해도 묵묵히 따라주는 팀원들과의 남은 일정이 훈훈할 듯.  7월 23일, 트레일 이틀째 아침은 흐릿하다. 기상예보는 하루...
김해영 시인
록키산행기                                           “진실을 말해주세요.” 이른바 근자의 인터넷상에서 횡횡하는 타인에 대한 진실요구 행위다. “타진요,’ ‘티진요’ 등등 왜들 이리도 타인의 진실이 궁금한 것인지… 그러나 그 요구가 잉태하는 결과에...
김유식
-트레일 헤드에서 캐년 시티 캠프장까지여름산에서 모기와 블랙플라이, 덩치 큰 호스플라이까지 가세를 한 모기 군단을 만나면 당해낼 장사가 없다. 오죽하면 화이트 패스를 넘던 말들이 모기에게 물려 수 천 마리 떼죽음을 당한 후 칠쿳 트레일로 경로를 바꾸었을까? 오늘 아침 클론다이크 하이웨이를 올 때 들여다 본 데드호스 밸리(Dead Horse Valley)가 떠오른다. 그러나 칠쿳...
김해영 시인
-    화이트호스에서 다이아 트레일 헤드까지 7월 22일, 5시부터 일어나 아침을 먹고 간식까지 챙긴 후 짐을 꾸린다. 떠나기 전 매직펜으로 계단 턱에 “유콘 강과 더불어 흐른다, 오늘도... ."라는 문구와 넷의 이니셜을 남기고 사진 한 컷. 먼저 다녀간 한국 투숙객들이 부엌 대들보에 남긴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메모도 찰칵. 그리고 아듀스! 걸어서 십 분...
김해영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