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당뇨병 새 치료법 개발한 윤지원 박사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2-00-00 00:00

당뇨병 새 치료법 개발한 윤지원 박사

"인류 보건 복지에 이바지하는 것이 보람"


30년간 당뇨병 연구한 세계적 권위자, 노벨 의학상 물망에도







캘거리 대학 석좌교수 윤지원 박사가 최근 유전자 요법을 개발해 쥐 실험에 성공, 당뇨병 치료의 새 가능성을 제시했다. 30년 가까운 연구 생활을 당뇨병 연구에만 바쳐온 윤 박사는 노벨 의학상 물망에도 올라 있는 세계적인 당뇨병 권위자. 69년 도미(渡美), 커네티컷 대학에서 유전 및 세포학 석사, 병동학( ) 면역학 박사 과정을 마친 윤 박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수석연구원, 예일대 초빙교수 등을 거쳐 84년 캘거리 대학에 부임했으며 현재 캘거리 대학 당뇨병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당뇨병 연구 업적으로 윤 박사는 98년도에 한국을 빛낸 해외 동포상을 수상했으며 지난 6월에는 본국 중앙일보 주관 호암 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바쁜 연구 생활 가운데에서도 신학을 공부한 윤 박사는 호암의학상 상금으로 받은 1억원을 한국해외선교원에 기부하기도 했다. 윤 박사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이번에 개발된 당뇨병 유전자 요법과 앞으로의 연구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실험에 성공한 당뇨병 유전자 요법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대단합니다. 이번 연구는 어떻게 진행됐는지요?

"쥐 실험에 성공한 당뇨병 유전자 요법은 7,8년 전부터 관심을 갖고 집중적으로 시작했습니다. 본국 연세대 의대 이현철 교수팀과 캘거리 대학 연구팀이 공동 연구했습니다. 학계에서도 대단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



-이번에 개발하신 당뇨병 유전자 요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유전자 요법은 제1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 개발됐습니다. 제1형 당뇨병은 성인성 당뇨병과 달리 인슐린 생산 세포(베타세포)가 파괴되면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는 것 외에 별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 치료 방법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엔 인슐린 생산 세포나 췌장 전체를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시도해봤지만 면역 체계의 거부반응과 이식받을 췌장 공급의 한계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한번 주사로 영구 치료되는 방법은 없을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인슐린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바이러스에 집어넣어 이것을 쥐에 주입한 결과 이 바이러스가 간의 염색체 DNA에 통합되면서 새로운 DNA 구조가 만들어지며 이 새로운 DNA 구조에서 혈당 수치의 변화에 따라 인슐린 대체 물질을 생산하면서 혈당을 조절하기 시작합니다. 실험 쥐에 주입할 결과 별다른 부작용없이 한번 주입으로 8개월간 정상에 가까운 혈당치가 유지됐습니다."



-인체에 대한 적용은 언제 가능해질 것으로 보십니까?

"1차적으로 생쥐 실험 결과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인 원숭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3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원숭이 실험에서도 성공을 거두면 마지막 단계로 인체에 대한 실험이 진행됩니다. "



-당뇨병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어느 정도 심각한 질병입니까?

"세계적으로 현재 1억1천만 명 정도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앞으로 10년 후에는 2배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미국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전체 환자 중 10-20%, 성인성 당뇨병인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전체 80-9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당뇨병 치료를 위해 10억 달러에 가까운 예산을 쓰고 있습니다. "



-당뇨병 치료에 특별히 관심을 갖게 된 동기가 있습니까?

"미 커네티컷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 맡은 프로젝트가 소아 당뇨병이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어린이들을 보면서 마음이 너무 아팠습니다. 그 이후로 당뇨병 연구에만 전념했습니다.



-연구 생활 동안 어려웠던 점은?

"연구를 하다 보면 10번 중 7,8번은 실패합니다. 어떤 때는 10번 중 9번을 실패하기도 합니다. 일이 뜻대로 안 풀리고 중간에 막히면 마음에 상심이 큽니다. 이번 유전자 요법도 중간에 굉장히 많은 실패에 부딪혀 포기할 생각까지 했었는데 마지막에 어떻게 우연히 맞아떨어지게 됐습니다. "



-그 동안 당뇨병 연구 업적으로 큰 상도 많이 받고 또 노벨 의학상 물망에도 오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상에는 욕심이 없습니다. 연구가 보람입니다. 인간의 보건복지에 기여하고 싶은 것이 제 유일한 관심사일 뿐입니다."



-앞으로 연구 계획은?

"평생을 당뇨병의 원인분석, 예방, 치료에만 매달려 왔습니다. 당뇨병 원인에 대해서는 이제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예방과 치료에 중심을 두고 연구 활동을 계속해나갈 계획입니다. 앞으로 10년 이내에 당뇨병을 정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조은상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