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성적표 기재 사항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9-11 00:00

성적표에는 학생들의 과목별 성적 외에도 학습 태도, 습관 및 통상 기대되는 학습 결과 대비 자녀의 학습 능력 등에 대해서도 서술한다. 아래의 표는 성적표에 표기되는 성적의 의미와 기타 기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   86~100%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 결과와 관련해 탁월한 혹은 뛰어난 성과를 나타냈음
B   73~85% 매우 좋은 성과
C+   67~72% 좋은 성과
C   60~66% 허용 가능한 적절한 성과
C-   50~59 % 최저로 허용 가능한 성과
I   In progress or Incomplete  진행 중으로 성적을 매길 수 없는 상태나 준 낙제 상태  허용 가능한 성과를 내지 못했음을 의미하여 공식적인 성적표에 ‘I’로 기재됨. 학생이 ‘I’를 받은 경우 학생은 현재 과목이 요구하는 기준·결과를 맞추지 못했음을 말하는데 경우에 따라 출석 미비, 과제 미비 등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교사는 학기 중 이라도 학생에게 ‘I’를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학생과 부모에게 통지하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면담의 기회가 주어 진다. 이 면담을 통해 교사는 학생에게 ‘I’를 준 이유와 문제 해결을 위한 학업 계획을 논의하게 된다.
F   Failed or Failing 낙제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거나 최저로 허용 가능한 성과도 내지 못 했음을 의미. ‘F (낙제)’ 는 해당 과목에 대해 전에 ‘I’를 받았고 계속해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에만  ‘F’로 기재 된다. 교사가 바로 F (낙제)를 주지 않는 이유는  ‘I’를 받은 학생 및 부모에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기회를 한 번 더 주기 위함이다. 단, 11~12학년의 학생이 주 시험에서 아주 낮은 점수를 받았을 경우에 한해 예외적으로 바로 ‘F’를 주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성적표에는 다음과 같은 기호가 나올 수도 있다.

W   Withdrawal 과목 면제 교육 위원회 정책에 의거하여 학교의 행정관은 부모의 요청이 있을 시 학생이 수업 받아야 하는 과목 혹은 코스의 면제를 승인해 줄 수 있다.

SG   Standing Granted 이수 인정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학습을 마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이 해당 과목에 대한 적절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승인하는 것으로 이는 학생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해 내리는 결과이다. 통상 학생이 중병, 입원, 질병으로 인한 조퇴, 지각으로 인해 부득이 수업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경우로 학교 행정관이 적절한 절차에 의해 과목의 이수를 승인한다.

TS   Transfer Standing 이전 이수 TS는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치른 시험을 근거로 학교의 행정관이 과목의 이수를 승인하는 것이며 시험 성적을 기준으로 과목의 성적을 표기한다.

학습 기대치를 못 맞추는 경우

만약 학생이 학년에서 요구되는 학습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Intervention Strategy(조정 정책)’이 시도된다. 이 과정의 첫 단계는 교사가 교수 방법 조정, 다른 교육 자료 이용 및 평가 이용, 시간 조정 등의 학습 환경을 변경 혹은 조정하게 된다. 첫 단계를 통해서도 학습 결과가 나아지지 않을 경우, 부모, 담당 교사 및 카운셀러가 모여 향후 대책을 논의하게 되는데 추가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담당 교사, 학습 보조 교사 혹은 보조 인력을 통해 개별 수업 강화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에게 보다 많은 시간을 쏟음 ▲컴퓨터를 통한 보조 학습 ▲여름 학교 프로그램 ▲방과 전, 후 프로그램 ▲성인, 학생, 혹은 교사 후원자 제도
상기 프로그램들의 목적은 학생들이 빠른 시일 안에 정규 과정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프로그램의 기간은 학생이나 진행 결과에 따라 수일, 수주 혹은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

만약 학생이 ‘Intervention Strategy(조정 정책)’ 후에도 학습 요구치를 맞추지 못할 경우 부모, 교사 및 교장은 학생의 교육적, 정서적, 사회적 영향을 잘 고려하여 학생이 같은 학년을 다시 학습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Retention’이라고도 부르는데 학부모와 교사는 학생이 같은 학년에서 다시 학습하더라도 교재나 학습 방법을 달리하여 보다 나은 학습 결과를 얻도록 상호 협력한다.

위의 과정은 단순히 동 학년에서 요구하는 학습 요구치를 따라가지 못하는 학습 부진의 경우이며 신체 장애로 인한 특수 학습 방법이 요구되는 학생에게는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개별화된 교육 계획) 으로 불리는 Modified /Adapted Program이 제공된다. IEP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특수 교육(IEP)’ 파일을 참조하기 바란다.

자녀 교육에 문제가 있을 경우

자녀 교육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담당 교사와 논의하는 것인데 전화, 서신, 면담을 통해 문제 언급 및 상담을 하면 된다. 자녀들에 관한 문제라면 무엇이든지 상의해도 좋으며 대부분의 문제는 이 단계에서 해결된다. 영어에 자신이 없더라도 가능한 교사와의 상담을 겁내지 말고 사전에 하고 싶은 내용을 영어로 잘 정리해 대화에 임하거나 자녀를 통해 서신으로 내용을 전달해도 된다.

만약 교사와의 단계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교사와 상의할 문제가 아닐 경우에는 학교의 교감 혹은 교장 선생님과 논의를 할 수 있으며 학교에서는 부모가 제기하는 문제를 학교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학교 수준에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부모는 교육청의 Superintendent (교육감) 이나 관련 직원에게 문제를 언급하고 도움을 청할 수 있다. 자녀가 속한 교육청은 ‘BC주 교육청’ 파일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 외에도 학부모나 학생들의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단체인 BC Confederation of Parent Advisory Councils (BCCPAG: BC주 학부모 연합회, ☎1-888-351-9834)를 통해서도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 단체는 학부모들이 자신들의 자녀들을 옹호하고 문제 해결에 공평하고 공정하며 효과적인 해결책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IGE 유학 제공 www.iglobaledu.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