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전화사기 ‘딱 걸렸어’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8-29 00:00

렌트 광고 허위도 많아 주의


신종 전화사기(보이스 피싱) 사건이 자주 발생해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밴쿠버 총영사관에 따르면 지난 8월 4일 부산에 있는 K씨의 집에 ‘딸을 납치하고 있다’는 전화가 걸려 왔으나 사기전화로 밝혀졌다.

K씨는 “캐나다에서 일하고 있는 딸(30세)을 납치하고 있으니 30분내 600만원을 은행 계좌로 입금하라고 계좌번호를 불러 주고는 딸의 목소리를 희미하게 들려준 후 전화를 끊었다”고 말했다.

또, 지난 27일에는 강남 사는 S씨 집에 아들(23세)을 데리고 있으니 시키는 데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협박조의 음성과 함께 희미한 비명소리가 들리는 전화가 걸려왔으나 이 또한 전화사기였다.

밴쿠버 총영사관은 협박전화 발신지 전화번호를 발췌해 캐나다 경찰에 신고하고 피해자의 주변 인물과 항공권 등 인터넷 구매시 개인정보 해킹가능성 등을 다각도로 수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

밴쿠버 총영사관 장권영 영사는 “전화사기범은 녹음된 소리인 듯 비명소리를 희미하게 들려주고 연락을 하려 해도 연결이 잘 안 되는 시점을 교묘하게 골라서 협박전화를 걸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영사는 “자녀가 해외에 있는 경우 핸드폰번호만을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면서 “제2 제3의 비상연락번호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에는 허위로 렌트 광고를 낸 뒤 렌트비를 선불로 받아 가로 채는 사기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난 25일, 코퀴틀람에 사는 교민 L씨는 UBC지역 내에 아파트 방 하나를 임대하겠다는 인터넷 광고를 보고 연락했으나 사기였음이 드러났다.

L씨에 따르면 “렌트비(월 620달러)가 시세에 비해 너무 쌌고 아파트 호수도 알려주지 않은 채 3개월 선납하면 1개월은 무료로 해주겠다는 제의가 수상스러웠다”고 말했다. 결국, L씨는 주인은 나타나지 않고 렌트비만 먼저 송금하라는 계좌은행이 나이지리아에 있는 것을 알고 사기라고 판단했다.

유학생 K씨의 피해 경우도 전형적인 렌트 사기 수법이다. K씨는 렌트 광고를 보고 전화 연락한 뒤 임대주와 직접 만났으나 가계약 금액을 요구했다. 상대적으로 아주 싼 가격에 나온 터라 선금을 주고 계약서와 열쇠를 받기로 약속한 다음 날 연락했으나 전화는 도난 전화로 밝혀졌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보이스 피싱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은 범행 대상자에게 음성 전화를 걸어 개인 정보를 빼내거나 송금을 요구하는 일종의 전화사기. 피싱(phishing)은 원래 인터넷상에서 해킹을 통해 개인 정보(private data)를 낚시질(fishing)하듯 빼돌린다는 의미의 합성 신조어다. 밴쿠버 총영사관 홈페이지 전화사기 피해예방 및 대처요령 참조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