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요즘 사람 구하기 힘들어요”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8-25 00:00

생산성 향상이 앞으로 BC주 경제의 관건

BC주 통계청은 “BC주는 알버타주, 사스캐처원주, 마니토바주와 함께 현재 팽팽한 근로시장 상황을 경험하고 있다”며 “실업률이 30년간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몇몇 고용주들은 일할 인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에너지와 자원분야 수출증대에 힘입은 캐나다 서부 호경기는 인력부족 원인 중 하나다. 그러나 통계청은 “가까운 장래에 만약 BC주가 낮은 성장기에 들어선다고 해도 인구구조 때문에 인력 수급 어려움은 계속될 전망이다”라고 밝혔다.

2007년 기준으로 BC주 근로 인력 15%는 55세 이상 근로자인 가운데 1946년부터 66년생 사이 캐나다 ‘베이비 부머(Baby boomer)’세대에 속하는 이들이 은퇴연령에 접근하면서 BC주 인력부족은 더 심화할 전망이다. 베이비 부머를 대체할 젊은 세대 숫자는 부족하기 때문에 이민을 통한 충원이 이뤄질 전망이지만 현재 연방정부나 BC주정부는 기존 인력 활용에 더 집중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일반적으로 65세로 정해진 은퇴 기준 규정을 해제해 더 장기적인 근로를 유도하고 있다. 통계청은 “그러나 60세 이상 근로자를 업무에 투입한다고 해도 장기적인 인력부족을 해결하기는 어렵다”며 “은퇴연령 해제는 일시적 조치”라고 못 박았다.

인력수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회사들의 대거 이전이 예상되고 있다. 통계청은 이미 일부 기업들이 늙은 북미와 유럽을 떠나 젊은 아시아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은 “이전보다 적은 인력으로 생산성은 더 높은 경제구조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라며 생산성과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에 인력 집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BC주는 서비스업에 중점을 둔 가운데 생산성이 캐나다 다른 지역에 비해 떨어지고 있어 문제다.

BC주가 의존하고 있는 서비스업이 시간당 생산성이 낮기 때문으로 지적됐다. 통계청은 ▲도소매 ▲전문과학기술 서비스 ▲정보문화 서비스업 ▲행정관리 ▲예술 및 유흥산업 등 시간당 GDP가 높은 업종에 집중할 필요성을 지적했다. ▲운송 및 창고업 ▲재무, 보험 및 부동산 ▲숙박 및 요식업 등을 인력규모보다 시간당 GDP가 상대적으로 낮은 업종으로 분류했다. 단 BC주내 어느 업종이든 생산성은 1997년부터 캐나다 평균보다 떨어지기 시작해 현재 전국 평균 미만으로 평가됐다.

통계청은 BC주 생산성을 캐나다 전국 평균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장비와 설비 재투자와 신기술 적용, 기존 인력과 자본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