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韓-加 관계 강연회를 듣고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1-24 00:00

지난 18일 저녁 7시 코퀴틀람 이그제큐티브 호텔에서 민주평통 캐나다 서부협의회 주최로 열린 연방정부 복합문화부 제이슨 케니 장관의 강연회에 참석했다. 신두호 평통 회장의 인사말에서처럼 캐나다 정치계의 중심 인물이 한인 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강연회를 가진다는 점 자체로도 의미 있는 행사였다.

그의 강연의 주요 내용은 ‘참여’를 통해 한인 커뮤니티에서도 캐나다 사회에 목소리를 내줄 것을 당부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강연을 듣는 내내 나의 머릿속을 맴돌던 의문점은 바로 ‘우리가 과연 참여를 위한 준비가 되어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Canada first…’ 바로 강연 내내 케니 장관이 한국 교민들에게 당부하던 내용이었다. 캐나다에 살고 있는 소수민족으로서 우리의 목소리를 내세우기 전에 우리가 캐나다에 해줄 수 있는 점은 무엇일까를 먼저 생각해 보자는 말이다.

그는 다민족 사회인 캐나다의 통합을 담당하는 대표로서 캐나다의 입장을 한국에 전달하기 전, 우리에 대해 많은 것을 공부했고, 또한 우리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모습이었다. 그는 한국 사람들이 일제 식민지 시대로 인해 느끼고 있는 감정까지도 이해하는 내용의 설명도 덧붙였다. 이에 반해 우리는 캐나다의 입장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단편적인 예를 살펴보자.

중요한 안내문이나 정부의 정책들이 중국어로는 표기가 되어있지만 한국어는 거의 없다. ‘한국어로도 만들어 달라’는 것은 질의 응답시간에 있었던 교민들의 요구사항 중 하나였다. 물론 위험한 경고문이나 중요한 도로표지판과 같은 경우는 사고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한국어로도 명기할 필요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주장을 하기 전에 캐나다의 입장을 생각해 보았는지 반문해 보게 된다. 캐나다 사회의 당면과제는 다민족으로 인해 분화된 사회를 하나의 조화된 사회로 만드는 것이다. 즉 이러한 요구는 두 가지 공식언어(영어, 불어)만을 주로 사용함을 문화통합의 한 방법으로 내세우고 있는 캐나다 정부의 통합정책에 배치되는 것이다.

두 개의 수레바퀴가 잘 굴러가기 위해선 서로가 단단하게 연결되어있어야 한다. 이 연결고리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절대 고장날 일 없이 전진할 것이다. 즉,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기 전 두 바퀴가 모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철저하게 확인해야 한다는 말이다.

김형태 인턴기자 (고려대학교-UBC 교환학생) kimht1124@gmail.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