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감상평>사실적 시와 감각적 시 분석 2

이명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1-15 08:45

이명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바다/윤동주(사실적)
 
실어다 뿌리는
바람조차 시원타.
 
솔나무 가지마다 새촘히
고개를 돌리어 삐들어지고
 
밀치고
밀치운다
 
이랑을 넘는 물결은
폭포처럼 피어오른다
 
해변에 아이들이 모인다.
찰찰 손을 씻고 구보로.
 
바다는 자꾸 설워진다.
갈매기의 노래에...
 
돌아다보고 돌아다보고
돌아가는 오늘의 바다여!
 
 
바다9/정지용(감각적)
 
바다는 뿔뿔이
달어날랴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렀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었다.
 
흰 발톱에 찟긴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루 몰아다 부치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시쳤다.
이 앨 쓴 해도(海圖)에
손을 싯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
돌돌 굴르도록
 
회동그란히 바쳐 들었다!
지구(地球)는 연(蓮)닢인 양 옴으라들고……펴고……
 
 서론- ‘바다’를 공통 소재로 쓴 두 편의 서정시를 감상해 보자. 근대시에는 고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고어란 ‘옛날에 쓰던 말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과거에 사용되었던 언어로 현대와 상당히 다른 경우가 많다.’ 고어는 낯설 수 있으나 지방 사투리처럼 정겹게 읽히며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다. 시의 소재 외에도 공통점으로 윤동주 시인과 정지영 시인은 일본 유학을 한 부농의 자식이고, 독립운동가지만 직접 활동하지 못한 죄책감을 시를 통해 드러냈다.
 
 본론- 어디선가 실어 나르는 바람이 윤동주의 마음을 시원하게 한다. 사방으로 뻗어있는 소나무 줄기가 ‘새촘히 고개를 돌려 삐들어지고’- 바람이 부는 대로 뻗은 줄기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하늘을 향해 뻗어 있는 침엽수가 사열한 군인의 모습이라면 바람과 햇볕에 의해 선이 자연스러운 한국의 소나무는 풍류를 즐기는 선비의 모습이다. ‘해변에 아이들이 모인다. 찰찰 손을 씻고 구보로’- 해변을 뛰어다니는 아이들과 시인의 순수함이 닮았다. ‘이랑을 넘는 물결은’- 폭포수로 직유 했고, ‘바다는 자꾸 서러워진다. 갈매기의 노래에’- 시인의 심정을 은유했다. ‘돌아다보고 돌아다보고 돌아가는 오늘의 바다여!’- 시인은 바다, 강한 의지를 가슴에 담아간다.
 
 정지용은 언어의 연금술사다. 그의 시 ‘향수’는 오래전부터 국민시가 되었다. 1연과 2연 ‘바다는 뿔뿔이 달어날랴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렀다.’- 넘실대며 밀려오는 파도를 뱀에 비유한 것은 뛰어난 감각적 묘사다. ‘달어날랴고, 재잘발렀다, 꼬리가 잡히지 않았다’- 생생한 움직임의 묘사며 ‘발톱에 찟긴 산호보다 붉은 생채기’- 시각적 묘사다. 5연에서 8연까지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 애쓰는 모습이 보이고, 주제도 담겨 있다. 시인의 도량은 바다만큼 크지만 의지가 연잎처럼 오그라들었다 활짝 폈다를 반복한다. 밀물과 썰물처럼 흔들리는 심리를 엿볼 수 있다. ‘바다’라는 큰 그림으로 시인의 이상을 ‘해도’ 곧, ‘바다’로 비유했다고 본다.
 
 결론- 주관적 견해인데 윤동주가 과묵한 샌님이라면 정지용은 멋을 아는 신사다. 시어의 묘사는 성격에 비례한다. 고지식할수록 사실적 시가 되고, 낙천적일수록 감각적 시가 된다. 시어는 시인이 품고 있는 감성의 표출이다. 시의 장르에서 낭만시, 서정시, 서사시는 각각의 특징이 있는데 서정시가 감성을 품고 있다면 서사시는 의지를 드러낸다. 서정시나 서사시의 애국 충정에 편견은 없다. 단지, 정서가 다를 뿐이다. 추모시의 경우, 서정시가 ‘개인적인 감정과 정서를 주관적으로 표현’하여 독자들을 슬픔에 젖게 한다면, 서사시는 ‘국가나 민족의 역사적 사건’을 이성적 장시로 읊어 독자들을 결집하기도 한다.
 
 시는 쓸수록 어렵다. 얕은 지식으로는 깊이 있는 시를 절대 쓸 수 없다. 견문을 넓혀 다독과 정독의 습관을 들이고 날것의 표현에 주력해야 한다. 모델이 자기의 개성을 패션쇼에서 맘껏 뽐내듯이 …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소중한 그대 2023.12.18 (월)
그대를 보면 마음이 즐겁습니다눈빛만 보아도 편하며그대는 내 삶의 모두입니다멀리 있어도 그립고 생각만으로마음이 따뜻해집니다만나면 헤어지기를 영원으로 미루고항상 함께하기를 소망합니다그대와 함께 앉아대화을 나누면 세상을 다 가진 거 같습니다두 손 꼭 잡고함께 걷고 싶습니다 보면 언제나 즐겁고 그대는 멋지고 진지하고 배려하는애처가입니다내 일생에 있어난 그대가내 곁에 있어 기쁨을 비하할 곳이 없습니다나의 소중한...
로터스 정
  8월말부터 9월 한 달간을 한국 방문을 하고 돌아왔다. 마음먹고 출타하는 김에 마침 올해 환갑을 맞는 여동생을 축하할 겸 베트남 패키지여행과 그리고 몇 차례 일본 방문을 하면서도 유독 큐슈 지방은 기회가 없어서, 부산 일정 뒤로 후쿠오카 자유여행까지 조금 과장하면 연암의 ‘열하일기’에 버금가는 대장정을 펼치고 돌아왔다. 가격대가 저렴한 베트남 다낭 패키지 여행은 사실 아무런 기대없이 가격이 워낙 좋은 이유로, 그리고 하도...
민완기
마스크 인생 2023.12.18 (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COVID-19) 팬데믹이 2020년 1월 30일부터 시작되었다.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는 3년 4개월 만인 지난 2023년 5월 5일에 팬데믹의 종식을 선언하였다. 이제 COVID-19은 독감과 같은 엔데믹(풍토병)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 COVID-19은 변이를 일으키며 감염을 일으키고 있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계속 개발, 접종하고 있다.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하게 되었다. 팬데믹 초기에 약국이나...
김현옥
가을의 그림자 2023.12.18 (월)
가을은 차츰 가을다워저 가고 있다세월을 견디어 나가기 위해자연은 버리며 산다가을 바람이 일면남길 것과 버릴 것으로가을 비가 내리면가질 것과 보낼 것으로가을은 점점 가벼워지고 있다.아름다운 가을의 멋과소중했던 가을의 추억까지도아낌없이 떠나보내며가을의 그림자는 점점 익어 만 가는데난아무것도 갖지 못하는 줄 뻔히 알면서늘 청춘인 줄 착각하고늘 건강한 줄 오해하고늘 당연한 줄 생각하며허전하다며, 부족하다며, 비어 있다며뭔가...
나영표
길을 가는 사람들 2023.12.11 (월)
영원에서 와서 영원으로 가는무한의 시간이어라잠시 다녀가는 생명들이오가던 길모퉁이에서 낙엽처럼 모였어라반갑게 즐겁게웃음을 나누고 꿈을 나누고 그 마음 우울할 때는슬픔과 회포를 나누고어느 날그 인연 다 하는 갈림길에 다다르면조용히 손 흔들며추억 한두 개 가슴에 보듬고 가는 길 친구 주고받은 우정에 감사하며서로의 행복을 빌어주며약속하지 못하는 내일의 어느 길목에또 다른 만남을 기대하며우리에겐 좀 더 가야 할 각자의...
안봉자
아버지의 뒷모습 2023.12.11 (월)
 딸아이를 만나러 시애틀에 갔다. 거의 일 년 만이다. 마중 나온 아이가 환하게 웃으며 내 품 안으로 파고든다. 어색하게 끌어안으며 살가운 냄새를 맡는다. 새로 이사한 집을 둘러본다. 이 많은 짐을 혼자 싸고 풀었을 생각을 하니 가슴이 찡하다. 홀로 살아도 갖추어야 할 것은 한 가족이 사는 것과 다름이 없다. 아직도 어린애 같이 느껴지는 딸아이가 또 다른 나라에서 직장 다니며, 잘 적응하는 것이 대견하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하다.  ...
민정희
벌거숭이 산 2023.12.04 (월)
캐나다 로키에는 세 자매 봉이 다정하게 솟아있습니다. 요정이 살 것 같은 아름다운 산입니다. 세 자매 봉에는 일 년 내내 하얀 눈이 덮여 하늘에 닿을 듯했습니다. 하지만,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세 자매 봉 꼭대기에는 더 이상 눈이 없습니다. 이제 세 자매 봉은 덩그러니 벌거벗은 바위산이 되어버렸습니다.“아이 추워! 언니들!”막내는 포근하던 눈옷이 벗겨지자 추웠습니다. 두꺼운 눈옷을 입고 있을 때는 춥지 않았습니다. 눈 속은 참 따뜻하고...
이정순
솔방울의 추억 2023.12.04 (월)
카톨릭을 국교로 하는 캐나다의 가장 큰 국경일은 당연히 크리스마스이다.다민족 다문화 국가이기 때문에 종교의 자유에 따른 다양한 종교가 공존해 크리스마스보다만민의 신과 같은 어머니를 기리는 마더스데이가 실질적으로는 더 많은 국민들이 기리는날이기는 하다.한 해를 마무리하며 예수님의 탄생을 기리는 국경일이라 크리스마스 트리 등 많은 조명,장식과 선물, 음식, 종교적 문화가 발전되어 온 글로벌 축일이다.솔방울도 크리스마스 트리와...
이은세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