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우엉을 먹으며

정성화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10-04 09:41

정성화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남편이 선장으로 근무하고 있었을 때다. 배에서 가족 생각이 날 때 나를 어떤 모습으로 떠올리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는 망설임 없이 ‘노릇노릇하게 익은 삼겹살을 가위로 숭덩숭덩 자르던 모습’이라고 했다. 실망스러우면서 민망했다. 그만큼 내가 삼겹살을 자주 구워 먹었다는 얘기다.

입맛도 연어처럼 제가 태어난 곳으로 회귀하는 걸까. 근래 들어 어릴 때 먹었던 음식들이 아련히 떠오른다. 저녁별이 하나 둘 돋아나는 초저녁에 평상에 둘러앉아 먹었던 양푼이 비빔밥, 겨울이면 자주 상에 올라오던 갱시기죽. 아버지가 낚시로 잡아온 민물고기로 바특하게 조려낸 생선조림 등. 그때는 분명 먹기 싫었던 음식들인데 문득문득 생각이 난다. 어쩌면 음식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래, 더 깊이 우리 속에 남아 있는 게 아닐까.

유난히 뿌리채소를 많이 먹었다. 밥상에 무김치가 빠진 적이 없었고, 우엉조림, 연근조림, 도라지무침도 자주 올라왔다. 삶은 고구마와 감자는 반가운 간식이었다. 그 중에서도 우엉이 좋았다. 우엉을 씹을 때의 아삭거리는 식감과 향이 좋았다. 그래서 지금도 김밥을 만들 때 우엉을 넣는다. 말아 놓은 김밥 안에서 단무지는 단무지대로, 어묵은 어묵대로, 햄은 햄대로 제 맛을 주장하는데, 이때 수더분한 맛을 지닌 우엉이 나서며 모두의 맛을 끌어안는다.

껍질이 거무스름하면서 흙이 묻어 있다 보니 우엉은 채소 진열대에서도 가장자리로 밀린다. 씨름선수의 장딴지를 연상시키는 무나, 상큼 발랄한 아가씨 같은 느낌의 당근, 여인의 쪽진 머리를 닮은 마늘, 이에 비해 우엉의 생김새는 딱 ‘경상도 남자’의 이미지다. 말을 걸어도 쳐다보지 않을 듯한 무심함이 느껴진다. 일 미터가 넘도록 자라면서도 중간에 절대 휘지 않는다. 우엉을 즐겨먹으면 강직한 성품으로 자란다는 옛말도 이런 점에서 나왔을 게다.

초등학교 시절, 나는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모든 연필을 깎아 두는 습관이 있었다. 연필을 깎다 보면 은은한 나무 향이 작은 공부방을 채웠다. 코와 마음 언저리는 촘촘히 연결되어 있는 게 분명하다. 이내 마음이 차분해지면서 공부에 집중할 수 있었다. 우엉에서도 그런 향이 난다. 어쩌면 나는 그 나무향이 그리워 우엉에 끌리는지도 모른다.

우엉은 속이 단단한 편이다. 간장 물에다 넣고 끓여도 금세 간이 배지 않는다. 그리고 썰어 놓으면 하얀 속살이 이내 거무스름해진다. 땅속에서 조용히 묵상하며 지내다가 땅 위로 올라와 보니 세상이 너무 번잡하다는 느낌을 받고 당황해하는 걸까. 썰어 놓은 우엉의 단면에 나이테가 하나 보인다. 예사롭지 않다. 어쩌면 우엉은 그 나이테 안에 자신의 다짐을 모아두지 않았을까. ‘땅속이 컴컴하지만 겁낼 것 없다, 흙 속의 미생물들이 분명 나를 도와줄 것이다, 내 속도대로 나아가자.’ 깊은 땅 속에서 우엉은 천천히 숨을 들이쉬고 천천히 내 뱉었을 것이다. 우엉을 먹으며 나는 그런 다짐과 숨결을 느껴보려 한다.

수수한 모양만큼 우엉은 그 물성(物性)도 무던하다. 부드럽고 물 빠짐이 좋은 흙에서 잘 자라며 추위도 잘 견딘다. 나에게 만약 텃밭이 생긴다면 우엉을 길러보고 싶다. 햇살 좋은 사월의 어느 날 파종을 하고 나면 곧 싹이 날 테고 잎도 무성해지겠지. 유월이면 엉겅퀴를 닮은 보라색 꽃이 수줍게 피어나겠지. 바람이 선선한 어느 가을 날, 나는 우엉을 조심스레 뽑아 올리며 우엉의 오랜 ‘하안거’에 감격하지 않을까.

얼마 전 어느 배우의 근황을 알게 되었다. 그는 ‘난타’ 공연을 전 세계에 알리고 평창 동계올림픽의 총 감독을 맡았던 사람이다. 그랬던 그가 근래에 황반 변성과 망막색소 변성증으로 시력을 거의 잃어, 눈 앞 30센티미터 안에 들어오는 것만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연극무대에서 ‘리어왕’ 역을 맡아 열연하고 있다. 시력을 잃어가면서도 예술가로서의 의지와 열정을 불태우는 그를 보면서, 나는 우엉을 떠올렸다. 어둠 속에서도 끊임없이 정진한다는 의미에서다. 그의 삶에서 나는 묵직한 ‘향’을 느낀다.

사람의 외모야 어떻게 가꿔본다고 하지만, 내면으로부터 풍기는 향을 갖기는 쉽지 않다. 우엉이 품고 있는 향도 그냥 온 게 아니라, 오랜 인내와 기다림, 강직함에서 온 게 아닐까. 번듯한 열매를 맺는 삶도 좋지만 온전한 뿌리 하나를 남기고 가는 삶도 의미 있을 것이다.

‘우엉’이란 글씨를 보니 ‘ㅇ’이 세 개나 들어있다. 둥글게 썬 우엉조림을 먹으며 모난 내 마음도 둥글둥글해지길 바란다. 그 소박한 향이 나에게 배어들기를 바란다면 지나친 욕심일까.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프랙탈 2024.06.07 (금)
“오늘의 헤드라인 뉴스입니다. 어제 오후, 속칭 <버뮤다 연쇄살인>의 여섯 번째 희생자가, 다섯 번째 희생자 이후 불과 7주만에 발견되면서 사회를 다시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오늘 경찰은…” 고준호 씨는 인상을 찡그렸다. 그는 양손으로 뼈채 들고서 발라 먹던 고기를 잠시 내려놓고, 왼손 약지와 새끼손가락으로 TV 리모컨을 집어올려 홈쇼핑으로 채널을 돌려 버렸다. 고기를 먹으면서 연쇄살인 어쩌구 하는 얘기를 듣기에 고준호 씨의...
곽선영
이민자의 특징 2024.06.07 (금)
  ‘동양의 도학은 약육강식을 부도덕이라고 하지만 서양의 철학은 이기는 자만이 생존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을 인용한 것은 과거엔 이민을 운명, 팔자, 역마라 치부했다면 현재는 용기 있고 강한 자의 결단과 도전이라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민의 방법은 초기엔 간호사나 재봉사 등의 기술이민이 주였다면 지금은 독립이민, 기술이민. 투자이민, 초대 이민 등 다양한 통로가 있다. 초기엔 전문직이 일반적이지 않았는데 이민의...
이명희
나물 캐는 아낙의 시선 피하여길섶 풀숲 속숨어 핀 샛노란 민들레해를 사랑하여환한 꽃 피우고임 온기 느끼며 길가에 서 있다가흰 나비 애무하고 떠나간 뒤날개 단 홀씨 한 다발 들고초원 지나갈 바람 기다린다오! 바람이여저 멀리 하늘 끝에 계신 내 임에게로Please! send seeds beyond the cloudsto the end of the sky
김철훈
강물을 보네깊어지며 흐르는 거역 없는 몸짓을 보네하루를 다 날아온 고단한 태양을 눕히고어느 산기슭 떠나온 나뭇등걸도 함께 눕히고강물은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가?나를 보네팔랑이는 잔물결들 사이로 얼핏 설핏 보네정(精) 때 묻은 부모 형제 다 두고태평양 큰물 건너오던 반세기 전 그날비단결 검은 머리 스물여섯 살 새아씨여!세월을 보네꿈, 좌절, 인내들이 들락거린 한 세월을 보네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째 일어서면서고향 떠나 멀리 또...
안봉자
세 번의 외과수술 2024.06.03 (월)
우리는 지금 100세 시대를 살고 있다. 과학이 발달하여 새롭게 나날이 달라지는 세상을 산다고 했더니 어느 날 주위를 살펴보니 100세 이상 사시는 노인들을 흔하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60세 환갑잔치를 요란하게 치르던 때도 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환갑잔치가 사라졌다. 그렇다고 예전처럼 100세 잔치를 성대하게 치르는 것도 아니다. 수명이 늘어난 것은 의료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한 덕분이다. 이런저런 수술로 죽을 사람이 죽지 않고...
심현섭
감자 꽃 향기 2024.06.03 (월)
“할무니, 왜 이쁜 감자 꽃을 다 따분당께라우?” “꽃을 따내 줘야 밑이 쑥쑥 든다고 안 그러냐?” 초등학교 4학년 때쯤이었을까. 할머니를 따라 밭에 나갔다. 할머니는 밭을 한 바퀴 휘 둘러보시더니 감자 밭으로 가 감자 꽃을 따기 시작했다. 꽃은 꽃이고 밑은 밑일 텐데 어린 나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니 어미가 감자 꽃을 참 이뻐했느니라.” 하시더니 눈물을 훔치셨다. 엄마가? 순간 흐린 기억으로 어머니가 감자 꽃을 바라보고...
최원현
오 월 찬가 2024.06.03 (월)
상큼한 산들바람 손등 스치고 지나가면나무를 건너뛰던 다람쥐 나도 보아 달라하고 작은 무도회를 연캐나다 구스 공연 햇살도 왜 나는 안 봐주냐며무릎에 앉았다 눈으로 보아도 들리는 님의 소리처럼
전재민
엄마의 빨랫줄 2024.05.27 (월)
그 시절 엄마는아침 설거지 마치고이불 홑청 빨래를 하곤 했다커다란 솥단지에 폭폭 삶아돌판 위에 얹어 놓고탕탕 방망이질을 해댔다고된 시집살이에마음의 얼룩 지워지라고부아난 심정 풀어보려고눈물 대신 그렇게 두드렸을까구정물 맑아진 빨래를마당 이편에서 저편으로말뚝 박은 빨랫줄에 널어놓으면철부지는 그 사이로 신나서 나풀댔다부끄러운 옷까지 대롱대롱 매달린울 엄마 늘어진 빨랫줄은 마음의 쉼터옹이 지고 구겨진 마음이훈풍에...
임현숙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집도의는 캐나다에서도 이름 있는 Doctor라 했다. 수술실에 들어가니 남자가 7사람 여자 두 사람이 있다. 수술은 집도의와 보조의가 하겠지만 의대생들이 견학하는 걸 허락했던 것이다.수술은 성공적으로 잘 마무리 된듯하다. 수술을 하고 정신을 차려보니 방광에 호스를 꽂아 소변을 받아내고 양팔 혈관에 주사바늘을 고정시켜 줄이 달려있다코로 호수를 따라 식사대용 영양제가 들어간다. 또 수술한 부위에도 호스를 넣어...
박병준
 ▶지난 주에 이어 계속 암이 자리 잡은 곳, 그 위치가 어디인가. 그게 중요하다.폐라면 힘 든다. 췌장이라면 수술이 어렵다. 급성으로 여러 군데 전이가 되었다면 걷잡을 수 없이 위험하다.내게 온 곳은 목이다. 후두암이라고도 한다. 그 자리는 어떤 곳인가?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부분이다. 거기는 기도(Air way)와 식도가 만나는 곳인데 코와 입을 통해서 공기가 들어오고 또 입에서 식도로 넘어오는 음식이 지난다.또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가...
늘산 박병준
늘산 본인이 암 판정을 받고 수술을 하고 퇴원을 하면서 그간에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고 싶습니다. 이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암에서 예방될 수 있는 일에 다소나마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 이 글을 시작합니다.암의 발견은 우연적일 수도 있고 필연적일 수도 있다.나는 우연적이라 생각하며 그나마 일찍 발견하였다는데 다행이라 생각한다.산에서 사람을...
늘산 박병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