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운행을 중단하고 멈춰 서서

권은경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6-05 14:14

권은경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작년 9월에 주문했던 차가 일주일 내로 나온다는 연락을 받았다. 팬데믹으로 반도체 공급 난이 심해지면서, 신차 출고가 일 년씩 미뤄진 상태였는데 생각보다 빨리 새 차를 받게 되었다. 자동차 딜러는 운이 좋아 주문한 차가 빨리 나왔다며 좋아했지만, 나는 가슴이 덜컥 내려앉았다. 십 년을 함께한 노후한 차와 이별해야 하는 순간이 왔기 때문이다. 살아있지 않은 대상에게서 생명체에서만 기대할 수 있는 어떤 감정이 스멀스멀 피어올랐다.

  15살이 된 낡은 차는 나의 십 년 이민 역사의 발자취이기도 하다. 2012년 7월에 캐나다로 오면서 2008년 식 중고차를 샀다. 한여름 뙤약볕 아래에 서 있던 회색 세단은 은빛으로 반짝였다. 아이들을 위해 카 시트 두 개를 장착하고, 낯선 땅을 달리며 사람 사는 거 어디나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고, 이식이 잘 된 나무처럼 뿌리만 깊이 내리면 언젠가는 나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을 수 있을 거라고 스스로를 위로했다. 뚜벅 뚜벅 걸어 다닐 때는 멀고, 스산하기만 했던 길이 차를 타고 달리니 그럴듯한 외국 풍경처럼 느껴졌다. 이민자로서의 삶이 시작되었을 때 나는 최고의 전투력을 발휘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해야 할 임무를 띤 군인과도 같았다. 그러나 익숙지 않은 투박하고 무거운 군복 때문인지 기동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웠다. 그럴 때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다는 캐나다의 이곳저곳을 운전하고 다니며 호흡을 가다듬고, 생존의 의지를 불태우느라 좁아졌던 생각의 시야를 넓히려 했다.

  십 년이란 시간 동안 참 많은 일이 있었고, 그 사이 기저귀를 차고 있던 아이들이 숙녀로 자랐다. 가까운 길을 두고 시행착오를 반복하며 돌고 돌아오느라 울기도 많이 울고, 불안에 떨던 날도 많았다. 나를 지켜 줄 수 있을 거로 생각했던 모든 것은 허상이었고, 나는 가장 작고 낮은 자리에 서서 하늘을 올려다보며 한숨 짓고는 했다. 위태롭게 서 있던 나는 세지 않은 바람에도 쉽게 넘어질 것만 같았는데 어찌어찌 여기까지 왔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전에 아련하게 꿈꾸던 그 자리 비슷한 곳에 나는 서 있다. 사는 게 바쁘고 치열했기에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도 몰랐다. 잊고 있던 시간의 흐름과 냉혹하고 맹렬했던 삶의 흔적들이 십 년을 함께한 차의 곳곳에 짙게 배어 있음을 보았다. 흐릿하게 색이 바랬고, 벽에 부딪혀 찍히고 긁힌 자리에는 붉은 녹이 슬어 있다. 자동으로 내려가고 올라가야 하는 창문도 어느 날부터 운동력을 잃었고, 핸드폰에 연결해 듣던 음악도 제 소리를 내지 못했다. 그렇게 우리 차는 계속해서 이상 신호를 보내왔다. 생명의 끝을 향해 달려가는 차는 아파서 비명을 질렀지만, 한 번도 멈춰 선 적은 없다. 그런 차를 볼 때마다 안쓰러웠다. 닦고 닦아도 뿌옇기만 한 흐려진 헤드라이트를 수건으로 문지르며 조금만 더 힘을 내자고 말했다. 노후한 차는 빛을 잃어갔지만, 나는 그 안에 있을 때 가장 편안했다. 달리는 차 안에서 찬란한 계절을 맞이하고 보낼 때면 살아있고, 존재하는 것 만으로도 삶을 긍정할 힘이 생겼다.

  벚꽃이 질 무렵, 봄 날의 따뜻한 햇살을 받으며 출근해서, 머리 위로 조금씩 조금씩 기우는 해를 보며 퇴근하는 길, 나는 십 년 지기 친구에게 작별 인사를 했다. 비바람을 막아내고, 추위를 견디며 달려준 네가 있어서 경직되어 굳어 있던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이곳에 이를 수 있었다고…. 갈 길을 잃고 멈춰 서야만 했던 삶의 아픈 순간에도 운행을 멈추지 않았던 그의 우직하고 성실함에 감사했다. 삶이 지속되는 한 나 또한 누군가의 무거운 짐을 나눠 질 수 있기를, 그가 절망의 끝에서 평안에 이를 때까지 쉬지 않고 움직이게 하는 동력이 될 수 있기를 온기를 머금고 있는 차 위에 손을 얹고 기도했다.

  결코 멈춰 서는 법이 없는 시간은 흘러가고, 세상은 끊임없이 변한다. 눈으로 볼 수도 잡을 수도 없는 시간의 흐름을 낡고 빛바랜 차에서 찾는다. 시간이 고통의 긴 터널을 빨리 지나게 해 주기 만을 바랐는데 그 시간이 빚어낸 많은 날이 나를 더 성숙하게 만들어 주었다. 어려운 고비마다 나를 지탱하게 해 주고, 등 뒤에서 소리 없이 밀어주던 바람과 같이 고마운 존재들이 있었다. 삶을 관조하고, 웃을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신이 만들어 낸 우주의 질서와 법칙 속에서 세상 모든 것은 죽는 날까지 변화를 거듭한다. 어릴 때는 신비롭고 기대로 가득했던 변화들이 지금에 와서 보니 이별일 수 있고, 죽음일 수도 있다. 흐르는 시간 속에서 시시 때때로 밀려오는 고난의 파도와 고독의 바람에도 서핑을 즐기며 삶을 향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 운행을 중단한 낡은 차 옆에 나는 찰나의 순간을 영원으로 기억하기 위해 멈춰 서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안개 2023.07.10 (월)
이름 없는 것들은 이름 없는 것들끼리 몰려다니며 이름 있는 것들의 이름 위를 사뿐히 즈려 앉는다이름 없는 랭리의 콘도 발코니에서 바라본이름 꽤 알려진 산이 허옇다즈려밟힌 이름들이 뿌연 아침이름 없는 것들이 될 확률이 대단히 높은 한 사내의 눈에 안개가 자욱하다공평한 안개 속에서 이름들이 튀어 오르려 발버둥 치는 모습이이름 없는 사내 눈에 기억되려 한다아침 햇살들이 몰려오면 안개는 잊혀질 이름들을 싸잡아 데리고 가겠지이름 없는...
유장원
백로(⃰白露) 2023.07.04 (화)
소약(小弱)한 생명줄은 촌각을 다투는데그토록 태연(泰然)하니 부럽기 그지없네너처럼, 번뇌를 내려놓고 청정세계(淸淨世界) 살고파라 ⃰註) 白露: ‘이슬’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김토마스
“여보, 뭐 해?” 차에서 짐을 내리고 대문을 열면서, 남편한테 감정을 실어 내지르는 말이다. 지금 뭐 하는지 물어보는 말이 아니다. 지금 뭘하든지 멈추고, 빨리 내려와서 나를 도우라는 뜻이다. 나 혼자 장 보느라고 힘들었으니 알아 달라는 하소연이다. 사람 많은 장소를 싫어하는 남편을 생각해서 여섯 식구의 장을 늘 나 혼자 다녀온다. 남편이 아내 말의 숨은 뜻을 이해한다면, 지금 뭘하는 지 대답하는 대신에 아내를 도우러 갈 것이다....
김보배아이
  땅 위에 내린 눈이 그대로 쌓여 있다면, 눈 덮인 땅은 긴 세월 동안 내린 눈의 무게를 어떻게 지탱했을까? 햇빛과 바람이 눈을 녹이고, 녹은 눈이 물 되어 땅 위로 새 순을 밀어 올리듯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 시간은 나의 과거가 되어 흐른다. 삶의 시간을 모두 모아 손이 들고 있다면, 그 긴 시간의 무게를 들고 있는 손은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러울까?. 눈에 보이는 것은 손으로 잡을 수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손가락 사이로 흘러가 버린...
허정희
밥상수훈(垂訓) 2023.07.04 (화)
둘러앉아 밥을 먹으며어린 아이들에게 이르는마흔 살 어미의 밥상수훈세상에 나가면 당당하거라불의를 보면 참지 말고 맞서거라겁 없이 용감했던 어미는아이들이 다 자라그 세상으로 나가고 난 후더럭 겁이 많아졌다당당하게 소리치다 깨지고불의에 맞서다가 부러져행여 다칠까 혹여 아플까복잡하고 어지러운 세상에 살다가집에 온 아이들과 둘러앉아 밥을 먹으며예순의 어미는 그 등과 어깨를 살핀다당당하지 않아도 괜찮고불의를 보고 맞서지...
정금자
보 물 2023.06.28 (수)
눈이 절로 문을 여는 환한 아침 햇살,애써 찾지 않아도 상쾌한 공기,걸러내지 않아도 깨끗한 물은금은보석처럼 모으지 않아도 되는생명의 보물이네 값을 치르고 사는데익숙해진 우리는비싸야 보물인지 알지만진정 세상에 귀한 것은값이 없네 아이의 웃음처럼엄마의 사랑처럼아빠의 책임처럼힘없는 생명에 닿은 당신의 손길처럼행복과 보람으로만 알 수 있네 지금 곁에 있어꼭 필요한가 얼마나 소중한가모르는 것들이실은 우리에게...
송무석
보리굴비 한 두름 2023.06.28 (수)
 맛의 기억은 회귀본능을 일깨운다. 텃밭에 올라온 여린 머위와 미나리를 조물조물 무쳐 맛을 보니 아득한 고향 들판이 파노라마 영상으로 펼쳐진다. 나물 바구니를 든 어릴 적 친구 얼굴도 아지랑이 속에서 가물거린다. 기억회로에 깊이 저장돼 있다 불현듯 나타나는 고향 들녘은 나를 설레게 한다. 모든 것이 신비롭게 채색돼 있던 그때 그 시절을 다시 살아보고 싶은 간절함에 목이 메는 봄이다. 이제 밖으로 떠돌던 삶의 여정은 뿌리를 찾아...
조정
날자, 날아오르자 2023.06.23 (금)
온몸을 일으켜 날갯짓을 해보지만날 수 없는 선풍기미풍으로 파닥거리다가강풍으로 날아보지만달달거리며 헛 바람만 일으킬 뿐이다다람쥐 쳇 바퀴 돌듯제자리걸음 하는 건 나도 마찬가지지난 날을 생각하며피아노를 두드려 보는데어깨는 저리고 눈이 침침해자꾸만 삐걱거리는 소리를 낸다언제 다시 피아노를 신나게두드리며 리듬을 탈것인가언제 다시 어린 날로 돌아가그 리듬에 맞춰 훨훨하늘로 다시 날아 볼것인가
유우영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