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캐나다 가족 이민 수속 빨라진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5-26 14:41

배우자·부모 등 가족 초청 12개월 내 승인
“임시 체류 비자도 30일 내 신속 발급” 약속
올해 오픈 워크퍼밋 만료자 ‘체류기간 연장’



신규 이민자들의 배우자, 자녀, 부모 등 직계 가족을 캐나다로 더 신속히 초청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민 제도가 마련된다. 

26일 연방 이민부(IRCC)는 캐나다 이민자들이 가족 구성원과 더 빨리 재회하고 오랜 시간을 함께할 수 있도록, 가족 초청 이민(family class) 신청 시 임시 체류 비자(Temporary Resident Visas; TRV)를 신속히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기존에 가족 초청 이민을 신청한 가족들은 영주권 승인을 기다리는 동안 별도로 임시 비자를 받을 수 있었지만, 승인 전에 비자가 만료되면 캐나다를 떠날 가능성이 낮다는 우려 때문에 비자 신청을 거절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정부는 새로운 시스템에 고급 데이터 분석 기능을 도입하여 영주권 신청을 한 사람들을 식별하고, 그들의 임시 비자가 더 빨리 승인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연방 이민부의 숀 프레이저 장관은 “앞으로 새로운 제도 하에서 임시 체류 비자 신청을 처리하는 시간이 30일 정도로 짧아질 것이고, 신청에 대한 승인률도 98% 이상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시스템 현대화를 통해 12개월 서비스 표준 내에서 영주권 신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규 이민자들이 캐나다에 도착 후, 가능한 한 빨리 스스로와 그들의 가족을 부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이민부는 임시 비자를 가진 배우자와 부양 가족이 인사이드(캐나다 내)로 초청 이민을 진행하든 아웃사이드(캐나다 밖) 진행을 하든 상관없이, 공개근로허가증(오픈 워크퍼밋)을 발급하는 새로운 제도도 추진한다. 

오픈 워크퍼밋 발급은 앞서 이전에 인사이드로 배우자를 초청한 경우에만 허용이 됐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캐나다 밖에서 아웃사이드로 가족 초청을 진행하는 사람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이민부는 오는 6월 7일부터 현재 체류 허가 기간이 2023년 말로 만료되는 오픈 워크퍼밋 소지자를 대상으로 체류 기간을 18개월 추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허가할 계획이다. 

이 제도에 따라 현재 캐나다 내 약 2만5000명이 국내에서 더 오래 일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여기에는 국내 임시 근로자 대부분의 배우자와 부양 가족, 유학생과 영주권 신청자의 배우자, 영주권이 승인되기를 기다리는 배우자 및 부양가족 등이 포함된다. 

한편, 가족 이민은 캐나다 이민 카테고리에서 경제 이민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카테고리로 알려져 있다. 캐나다는 올해 역시 배우자, 파트너, 자녀 범주에 7만8000명, 부모 및 조부모 범주에 2만8500명으로 총 10만6500명의 이민자들을 맞이할 계획이다. 

또한 2025년까지 가족 이민을 통해 11만8000명의 신규 이민자들 초청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이민부는 전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응답자 14% "코로나19로 일자리 잃어"
CERB 지원 못 받은 신규 이민자도 다수
캐나다의 신규 이민자를 포함한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대다수가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생계에 큰 위협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 이민 신청을 위한 학력 인증 담당기관...
9월 기준 신규 이민자 1만5000여 명 달해
전년비 감소폭은 커··· "20만 명 못미칠 것"
캐나다의 신규 영주권(PR) 취득자 수가 코로나19 2차 확산세에도 불구하고 석 달 만에 다시 상승 기조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IRCC)가 14일 공개한 신규 이민자 추이...
8월 기준 신규 이민자 1만1000여 명 그쳐
코로나 2차 확산 영향··· "이민자 유입 총력"
캐나다의 신규 영주권(PR) 취득자 수가 코로나19 2차 확산 이후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IRCC)가 9일 공개한 신규 이민자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민부, '무작위 추첨제' 재진행 발표
13일부터 약 3주 기간 내 EOI 접수
캐나다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얻은 이민자가 부모와 조부모 등 가족 구성원을 초청할 수 있는 ‘부모 초청 이민 프로그램’이 오는 13일 재개된다. 연방 이민부(IRCC)는 5일 성명을 통해...
"올해 말까지 매달 6000건 처리할 것"
이민부, 서류접수 온라인으로 변경 검토
캐나다 정부가 배우자 초청 이민 신청건에 대한 처리 속도를 대폭 높일 예정이다. 연방 이민부(IRCC)는 24일 영주권 수속 관련 업데이트를 통해 오는 10월부터 12월 사이 매달 6000건의...
7월 기준 신규 이민자 1만3600여 명 달해
한국 국적 영주 취득자 205명, 전체 15위
지난달 캐나다의 신규 영주권(PR) 취득자 수가 전년 대비 크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IRCC)가 14일 공개한 신규 이민자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영주권 승인을...
6월 기준 신규 이민자 1만9000여 명 달해
한국 국적 신규 이민자 355명, 전체 10위
캐나다의 신규 영주권(PR) 취득자 수가 경제 재개 이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IRCC)가 10일 공개한 신규 이민자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이민부, 5월 신규 이민자 1만1000여 명 수용
코로나 여파 완화 따라···점진적 정상화 기대
지난 5월 캐나다의 신규 영주권(PR) 취득자 수가 전월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IRCC)가 10일 공개한 신규 이민자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이...
4월 신규 이민자 4000여 명에 그쳐
코로나19 여파 커··· "80년래 처음"
지난 4월 캐나다의 신규 영주권(PR) 취득자 수가 코로나19에 따른 타격으로 전년대비 크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부(IRCC)가 10일 공개한 신규 이민자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RBC, 올해 이민자 유입 20만 명 예상
“이민자 수요 많은 주택시장·대학 등 타격”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사례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캐나다로 넘어오는 신규 이민자 수가 대폭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로열뱅크오브캐나다(RBC)가 지난 29일...
지난 3월 신규 이민자 26% 감소 '찬바람'
전국 봉쇄조치 영향···경제 이민서 큰 하락
캐나다의 신규 이민자 유입수가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크게 축소됐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정부의 외국인 입국 제한 조치와 더불어 국내 비자 발급 업무가 장기간 중단되면서...
이민부, 코로나19 따른 향후 이민 시스템 전망
"이민 문호 개방 여전"···이민자 포용정책 러시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캐나다 유학·취업·이민 등을 준비하는 외국 국적자들에게 비상등이 켜진 가운데, 연방 이민부가 향후 이민 시스템에 대한 대응 정책과 전망을 내놨다....
이민국, 접수·승인 처리 시작 "신청서 제출 가능"
서류 미완성 시 최대 90일 유예... 입국도 가능해
캐나다 정부가 최근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영주권 수속 문이 막힌 ‘배우자 초청 이민’ 신청자를 대상으로 특례 조치를 시행한다. 7일 연방 이민국(IRCC)은 캐나다 또는 해외에 거주하는...
30일 BC PNP 300여 명 선발... 14개 직업군 제외
‘한인 이민’ 위축 우려 “다른 이민 방법 고려해야”
연방이민부(IRCC)가 최근 BC PNP 이민 신청자에 대한 초청 선발을 진행한 가운데, 일부 직업군이 선발에서 제외되면서 영주권 수속을 앞둔 한인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민부는 지난...
Q. 영주권 허가를 받았으나 서류를 완료하기 위한 캐나다 방문이 불가능하면?    캐나다 방문이 불가능한 사유를 온라인 양식을 통해 정부에 알릴 수 있다. (사이트: https://www.cic.gc....
이민부, 12일 2020-22 3개년 이민쿼터안 발표
경제부문 58% 차지···가족초청은 수용인원 동결
캐나다 정부가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침체하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신규 이민자에 대한 이민 문호를 또 한번 대폭 개방한다. 연방 이민부는 12일 새로운 3개년 이민 계획을...
이민국, PGWP 신청 중 국내 체류 규정 없애
신청자 '합법 근로 자격' 유지...취업 기회 넓혀
캐나다에서 대학 졸업을 앞두고 취업에 성공한 유학생 A씨는 학생비자가 만료되기 전 온라인으로 3년짜리 취업비자(Post-Graduation Work Permit, PGWP)를 신청했지만, 3개월이 다 되도록 비자...
지난해 정부 이민 목표치 1만 명 초과
1911년 이래 최대치…韓 이민자 9위
지난 1년간 캐나다에 정착한 신규 이민자 수가 34만 명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국(CIC)이 총인구 조사 잠정 통계를 분석해 10일 공개한...
외국인 및 영주·시민권자 체류 유지 '발목'
당국, 체류 기간 초과자들 부정행위 가려내
캐나다 정부가 육로 및 항공편을 통해 캐나다에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 및 국내 거주자의 출입국 기록 정보를 공식 조회함으로써 이민·체류 심사를 보다 강화할 전망이다. 5일 연방...
트럼프 "22일부로 탄자니아 등 6개국 비자 제한"
캐나다 망명 신청 급증 예상···난민신청 악용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아프리카·중동 지역 6개국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 정책을 새롭게 시행하면서 캐나다의 이민-난민 문호가 또다시 대폭 개방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