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저희 가족을 소개해 드릴 게요

박광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2-13 08:38

박광일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책장을 정리하다 우연히 둘째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 때 쓴 글을 발견하였다. 이런 흔적 물들을 통해 과거를 되새김질해 본다. 실체가 없어도 있었던 현실인데도, 실체가 있어야 지난 현실이 또렷해진다.통통한 몸매와 얼굴에 늘 웃음이 가득하고 좀처럼 화를 내지 않는 둘째는 입력한 것에 비해 출력을 재미있게 잘한다. 좀 엉뚱한 구석이 있는 놈이다. 그의 글을 그대로 옮겨 본다.
 
 
“저의 형 박형진입니다.
나이는 이제 9살이 되고요, 수학도 아주 잘 합니다.
면북 초등학교 2학년이에요.
저를 잘 놀리고 싸우기도 잘하지만
매일 같이 재미있게 놀아요.
 
우리 아빠와 엄마입니다.
우리 아빠는 영어도 잘하시고, 독일어도 잘하세요.
저한테 장난도 잘하시고 눈썰매도 잘 타십니다. <저보다 조금은 못타시지만요>
우리 엄마는 잔소리도 많이 하시지만
내가 안마 해드리면 아주 시원하다고 하십니다.
 
우리 할머니에요.
우리 할머니는 내가 해달라고 하는 것은 뭐든지 다 해주십니다.
매일 밤 나하고 형은 할머니 옆에서 서로 자려고 싸우지만
거의 형이 이깁니다. 내가 져주는 거지요.
 
저는 박형빈입니다.
8살이고 얼마 전에 앞니가 빠졌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더욱 열심히 이를 닦습니다.
레고 블록 맞추기를 좋아하고, 커서 화가가 되고 싶습니다.
내 생각에는 나는 살을 좀 빼야 할 것 같은데
우리 엄마는 내가 제일 멋지다고 하십니다.
진짜일까요?” 
 
상대방의 생각을 파악하는 듯 자신의 ‘거만한’ 여유를 보여주며, 가족을 자신의 손바닥 위에 놓고 소개한다.  
아이 엄마는 첫째와 달리 둘째가 문자에 고정된 생각을 갖지 않도록 초등학교 입학 때까지 한글을 가르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1학년 담임 선생님이 ‘아이가 한글을 모르네요’라며 핀잔 섞인 지적을 하기도 하였다. 아이 성격의 영향인지 엄마의 교육 영향인지는 모르지만, 둘째는 첫째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측면이 있다.
둘째는 자라면서 엉뚱한 행동으로 웃음을 주기도 했다. 보통 세네 살 아이들은 주사 맞는 것을 두려워하는데, 둘째 아이는 주사를 맞고 웃고 나온다. 그래서 왜 그러냐고 물어보니 주사가 간지럽다고 말한다. 참으로 특이하다. 또 초등학교 때에는 네 살 먹은 동네 꼬마가 장난치고 귀찮게 하는데 아이 엄마가 옆에 있더란다. 그래서 물총에 오줌을 담아 쏴 주었다고 한다. 이건 나중에 중학교 때인가 말해주어서 크게 웃은 적이 있다. 첫째 아이가 놀리고 괴롭히고 때려도 좀처럼 짜증도 화도 내지 않는다. 늘 웃고 다니다 보니 가족 내에서도 유치원과 학교에서도 또 동네에서도 인기가 많았다.
 
그런데 고등학교까지 요일도 제대로 모르고, 하는 짓도 멍청해 보이고, 유난히 빈 구석이 많아 보였다. 항상 웃고 화를 여간해서는 내지도 않고 부드럽기만 한 놈인데, 하겠다고 마음먹은 일은 주변의 만류도 아랑곳하지 않고 한다. 외유내강이랄까, 참으로 강인한 면도 있다. 12학년(고3)부터는 게임을 안 하겠다고 하더니, 11학년 2학기에 게임기를 팔아버린다. 변변한 자기 방도 없었기에, 운영하던 가게를 닫고 가져온 물건들로 어수선한 거실에서 밤 늦게까지 공부를 한다. 방 두 칸인 집에 한 방은 형이 차지하고 게임을 하니 달리 방도가 없었다. 불편한 가정형편에도 불만 없이 묵묵히 자기 할 일을 충실히 한다. 또 조깅한다고 하면 비가 아무리 많이 내려도 나가서 달리고 온다. 대학교 입학 전에도 기숙사에 며칠 전에 들어가서 쉬었다가 학기를 시작하라고 해도, 입학 전날까지 맥도널드에서 자정 넘어까지 일을 했다. 1학년 마치고도 여름방학 학기를 수강하고 쉬었다가 가도 될 텐데, 개강 전 날까지 놀이동산(PNE)에 가서 일을 하다가 2학년을 맞이하기도 했다. 덤벙덤벙해서 자기 물건들을 종종 잃어버리기도 하고, 혼나도 금방 싱글벙글 웃던 녀석이 어느덧 박사과정을 준비하는 나이가 되었다. 부드러우면서도 강하고, 멍청하고 우둔한 것 같으면서도 자기 계획과 생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 멋지고, 때로는 배우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다.
 
부모와 자식 간의 만남은 참으로 기묘한 인연이다. 부모의 유전자를 전달했지만, 그리고 같은 음식을 먹고, 같은 집에서 살았지만, 부모와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특징들과 동일하지 않은 사고와 판단력을 갖는다. 이것이 갈등만을 촉발하는 것도 아니고, 이상한 일도 아니다. 헤겔의 변증법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것은 세상발전의 당연한 이치이다. 부모는 자식에게, 자식은 부모에게 서로 좋은 만남과 인연으로 고정되길 바란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신호등도 없는 건널목에서힘겹게 끌고 가는할머니의 짐 수레를 보고승용차 하나 서서히 멈추더니말없이 도와주고아무일 없다는 듯이유유히 사라져 가니언젠가 보았던들꽃 한 송이 생각난다바람에 쓰러진 들 풀에잠시 어깨 내주고 함께 일어나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세상 한구석을환하게 비추던 작은 꽃 한 송이이름은 몰라도 좋을한줄기 빛
김희숙
봄이 묻더이다 2023.03.20 (월)
봄이 묻더이다꽃들이 왜 피는지 꽃들은 알까 하고 물었더니꽃들도 왜 피는지      모른다 하더이다       봄이 묻더이다하늘은 왜 또 파란지하늘은 알까 싶어 물었더니하늘도 왜 푸른지         모른다 하더이다       봄볕이 좋아풀 향기가 좋아푸른 들 꽃동산을 뛰며 구르니꽃들이 왜 피는지   하늘은 왜 또  파란지그냥그냥알겠더이다
늘샘 임윤빈
관포지교 2023.03.20 (월)
작년 가을 모국에 갔을 때 속초 여행을 하는 기회가 있었다. 여고 친구를 16년 만에 만나게 되었다. 그 친구 부부는 서울 동서울터미널까지 나를 마중 나와 반기며 환영해주었다. 친구는 서울에 집이 있는데 왜 속초에서 혼자 지낸 지 의아했다. 도착 다음 날 아침, 나의 끈질긴 추궁 끝에 “건강검진을 하던 중 00 암 진단받고 수술하여 지금 이곳에서 요양 중이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접했다. 수술 후 5년 동안 재발이 안 되면 조금은 안심할 수...
심현숙
온 세상이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도 '저 맘이야' 하고 믿어지는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 서로 사양하며 '너만은 제발 살아다오' 할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함석헌50년 절친 L이 카톡을 보내왔다. 모교 졸업 50주년을 기념하는 추억담을 모집하고 있으니 글 한 편 보냈으면 좋겠다는 내용이었다. 해외로 떠난 지 20년이 넘는 친구를 여전히 잊지 않고 배려하는 마음이 고맙다.고교 1학년 때 담임은 영어를 가르쳤던 H...
이현재
서로 내 편, 그녀 2023.03.20 (월)
화려한 꽃 무늬의연인으로 꽃 피웠던 그녀엄마로 낡아진 아줌마 그녀할미로 작아진 할머니 그녀눈부신 꽃 무늬의 추억은 아직그래도지금껏 둘 은 부대껴 가며아침, 저녁 등 긁어 주며쌉쌀한 한 모금 커피 나누며그래서짧게 만 졸아 드는 하루 햇살기우는 꼬리 잡고 놓치지 않기저녁 붉은 노을 속 후회 하지 않기그리고남들 시선인들 무어 어쩌랴양심이 피 흘리는 상처를 입어도서로는 언제나 내 편 들어주기그렇구나쌉쌀하고 구수한 같이 보낸 세상...
조규남
실제적 종말론 (Real Eschatology)문영석, 전 서강대 대학원 환경신학 외래교수/환경부 자문위원 지난 2월 25일 캘리포니아 LA 일대에 불어 닥친 눈 폭풍 뉴스를 보는 순간 나의 귀와 눈이 의심될 지경이었다. LA는 그곳 한인성당의 특강요청 때문에 거의 매년 방문했던 곳이라 매우 낯이 익은 거리들인데 눈 덮인 야자수들의 모습이 극도로 생경스럽게 보였다. 불과 한 달 전 극도의 가뭄에 시달리던 캘리포니아에 3주간이나 집중 폭우가 내려 홍수피해가...
문영석 전 서강대 대학원 환경신학 외래교수
플랜 75 2023.03.13 (월)
중앙일보 이영희 도쿄 특파원이 쓴 "75세인가요, 죽는 게 어때요?" 초고령사회 日 뼈 때린 영화 [도쿄B화]란 기사는 그냥 한 번 읽고 지나가기에는 너무 충격적이다. ‘75세 이상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스스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법(PLAN 75)이 국회를 통과해’ 노인이 죽기를 원한다고 국가에 신청하면 국가가 죽도록 해주는 제도를 설정하고 영화는 전개된다고 한다. 이 기사에 따르면 국가는 10만 엔의 위로금을 주고, 담당 공무원이 직접...
송무석
나이아가라 눈물 2023.03.13 (월)
저 먼데 손짓하는대 자연의 서사시떼를 지어 오르는 새들이물보라를 만나무지개 꽃으로 피어나는 나이아가라 폭포나는 오늘그 폭포 눈물 안을 걷는다끝없이 쏟아내는 하얀 눈물가슴 풀어헤치는 아우성 곡(哭)그것은세상소리 모두 모아온누리 눈물 다 담아아래로 손잡고절규하는 물 천둥소리찬란한 눈물길을 거닐다거대한 물 안개속에서말갛게 씻긴 얼굴로 나오리라폭포 눈물아래바닥을 치고 솟구쳐 오르는수정 물방울 꽃처럼바위 만들레...
김계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