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이민, 신세계를 만나다

김유훈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1-09 12:55

김유훈 / (사)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현실이다.  다만 극히 일부의 전문직이거나 아주 부자들에게는 예외일 지 몰라도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마치 군대 훈련소에 입소하여 철조망 통과를 하듯이 생존을 위해 삶의 현장 그 바닥에서 몸부림치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야한다.

 

 나 역시 카나다 생활 30년이 넘는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살아왔다. 한국에서의 신학과 목회경력, Regent의 유학까지 10년의 신학과는 무관하게 이민지의 삶을 살아야했다. 사실 이민자의 현실을 아무것도 모른 채 목회를 한다는 것은 메아리 없는  공허한 설교로 되는 것을 느끼면서 고민이 시작되었다. 그러던 중 유학시절 에 만난 Paul Stevenson교수님의 영향으로 목회자도 자유로워지며 직업을 갖고 시장이라는 생활의 현장에서 목회자가 되라는 강의는 나에게 새로운 충격이였다. 그 후 나는 선임자가 나에게  미자립 교회를 맡기듯이 후임자에게 교회를 부탁하고 진짜 이민자가 되어 가족을 돌보기로 하였다. 그 후 이민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살아야 하는지를 몸으로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한국에서의 대형교회 목사로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내 자신이 지금은 대형트럭을 몰고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여행하듯이 다니며 수 많은 만남, 그 속에서의 사연들, 그리고 아름다운 경치들을 보며 글감이 되기도 하며, 내 마음속에 파노라마 영상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 다른 나의 변화는 현역 축구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교인들 심방을 다닐 때 대접을 많이 받아서 집에 돌아오면 소화를 못시켜 고생을 했을 뿐만 아니라 아랫배까지 나와 힘들었다. 그러나 카나다에서는 내가 OB축구부에 가입하여 시간이 될 때마다 운동장에 뛰어나가 열심히 축구를 하는 덕분에 트럭을 운전하는 데 지장이 없고 건강도 지킬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이렇게 축구를 한지 벌써 29년 째,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축구공을 차며 땀을 흘리는 것이 이렇게 좋은 것인 지  한국에 있을 때는 전혀 몰랐다. 지금 내 나이 73이지만 젊은이들에게 뒤지지 않으려 열심히 운동하는 현역 축구 선수이다.                

 

 나의 청소년 시절, 많은 책을 읽을 때 감동이 되어 문학소년의 꿈을 갖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삶이 녹녹치가 않아 내 속에서 깊이 잠자던 문학의 꿈이 나의 트럭운전 중에 다시 살아나 글을 쓰게 되었다. 운명처럼 반병섭 목사님을 만나 2년 넘게 사사를 받아 새롭게 글을 쓰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었다. 2013년 한국의 순수문학에서 수필집을 출간하였으며, 같은 해 “순수문학 우수상”을 받게 되었다. 지금도 고인이 되신 반병섭 목사님의 은혜와 사랑을 잊을 수 없다.

 

 오랫만에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을 들으며 지나온 내 삶을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었다. 카나다 이민 생활 30년, 교향곡 도입부에 나오는 음악처럼 불안과 공포의 선율처럼 시작된 나의 이민초기 힘든일도 많았지만 가족을 위해 밤낮 없이 열심히 일하며 살아오는 동안 가정이 안정되어 두 자녀를 잘 키울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과거 한국에서의 목사로서 상상조차 할 수없는 변화는 이민을 통해서 신세계를 만난 내 모습이다. 나의 동문 목사들이 대부분 은퇴한 이 즈음에 나는 지금까지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다니는 대형 트럭커로, 푸른 야외 운동장에서 젊을 동료들과 함께 땀흘려 운동하는 축구선수로, 그리고 수필가로서 글을 쓰고 발표 할 수 있는 신문이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며 새해를 맞이한다.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현실이다.  다만 극히 일부의 전문직이거나 아주 부자들에게는 예외일 지 몰라도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마치 군대 훈련소에 입소하여 철조망 통과를 하듯이 생존을 위해 삶의 현장 그 바닥에서 몸부림치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야한다.

 

 나 역시 카나다 생활 30년이 넘는 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살아왔다. 한국에서의 신학과 목회경력, Regent의 유학까지 10년의 신학과는 무관하게 이민지의 삶을 살아야했다. 사실 이민자의 현실을 아무것도 모른 채 목회를 한다는 것은 메아리 없는  공허한 설교로 되는 것을 느끼면서 고민이 시작되었다. 그러던 중 유학시절 에 만난 Paul Stevenson교수님의 영향으로 목회자도 자유로워지며 직업을 갖고 시장이라는 생활의 현장에서 목회자가 되라는 강의는 나에게 새로운 충격이였다. 그 후 나는 선임자가 나에게  미자립 교회를 맡기듯이 후임자에게 교회를 부탁하고 진짜 이민자가 되어 가족을 돌보기로 하였다. 그 후 이민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살아야 하는지를 몸으로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한국에서의 대형교회 목사로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내 자신이 지금은 대형트럭을 몰고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여행하듯이 다니며 수 많은 만남, 그 속에서의 사연들, 그리고 아름다운 경치들을 보며 글감이 되기도 하며, 내 마음속에 파노라마 영상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 다른 나의 변화는 현역 축구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교인들 심방을 다닐 때 대접을 많이 받아서 집에 돌아오면 소화를 못시켜 고생을 했을 뿐만 아니라 아랫배까지 나와 힘들었다. 그러나 카나다에서는 내가 OB축구부에 가입하여 시간이 될 때마다 운동장에 뛰어나가 열심히 축구를 하는 덕분에 트럭을 운전하는 데 지장이 없고 건강도 지킬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이렇게 축구를 한지 벌써 29년 째,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축구공을 차며 땀을 흘리는 것이 이렇게 좋은 것인 지  한국에 있을 때는 전혀 몰랐다. 지금 내 나이 73이지만 젊은이들에게 뒤지지 않으려 열심히 운동하는 현역 축구 선수이다.                

 

 나의 청소년 시절, 많은 책을 읽을 때 감동이 되어 문학소년의 꿈을 갖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삶이 녹녹치가 않아 내 속에서 깊이 잠자던 문학의 꿈이 나의 트럭운전 중에 다시 살아나 글을 쓰게 되었다. 운명처럼 반병섭 목사님을 만나 2년 넘게 사사를 받아 새롭게 글을 쓰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었다. 2013년 한국의 순수문학에서 수필집을 출간하였으며, 같은 해 “순수문학 우수상”을 받게 되었다. 지금도 고인이 되신 반병섭 목사님의 은혜와 사랑을 잊을 수 없다.

 

 오랫만에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을 들으며 지나온 내 삶을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었다. 카나다 이민 생활 30년, 교향곡 도입부에 나오는 음악처럼 불안과 공포의 선율처럼 시작된 나의 이민초기 힘든일도 많았지만 가족을 위해 밤낮 없이 열심히 일하며 살아오는 동안 가정이 안정되어 두 자녀를 잘 키울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과거 한국에서의 목사로서 상상조차 할 수없는 변화는 이민을 통해서 신세계를 만난 내 모습이다. 나의 동문 목사들이 대부분 은퇴한 이 즈음에 나는 지금까지 미국과 카나다 곳곳을 다니는 대형 트럭커로, 푸른 야외 운동장에서 젊을 동료들과 함께 땀흘려 운동하는 축구선수로, 그리고 수필가로서 글을 쓰고 발표 할 수 있는 신문이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며 새해를 맞이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