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美 집값 16% 급등” 골드만삭스가 폭등론에 빠진 이유

차학봉 부동산전문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11-27 11:26

올해 20% 폭등한 미국 집값 또 폭등한다는 전망의 근거는 공급부족

올해 20% 폭등한 미국의 내년 집값은 어떻게 될까. 세계적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내년 말까지 미국의 집값이 16%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3년에도 6.2%의 상승을 예측했다.

집값 상승의 전망 근거는 공급부족이다. 2006년 부동산 호황기에는 주택이 연간 227만 가구가 공급됐지만, 2009년~2019년 공급은 연간 50만~120만 가구로 절대 공급 규모 자체가 줄었다. 리먼쇼크로 인해 집값이 폭락하는 것을 경험한 탓에 건설사들이 주택건설에 소극적이었다.

올해 20% 집값이 급등한 미국. 골드만삭스는 내년 미국집값이 16%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20% 집값이 급등한 미국. 골드만삭스는 내년 미국집값이 16%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간 최소 400만채 공급 부족, 집값 폭등의 원인

건설업체들이 수요가 많고 이윤이 높은 고가 주택 공급을 늘리는 대신 시장 불확성이 큰 저가 주택의 공급을 줄인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작년과 올해 집값 폭등기에도 인력부족, 자재난, 토지부족 등으로 충분한 주택 공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10년간 400만~600만가구 정도 덜 공급됐다는 분석이다.

공급은 줄었지만,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해 평균 나이가 32세가 된 밀레니얼 세대가 본격적으로 내 집 마련에 나서고 있다. 1980년 초부터 2000년 초반에 출생한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7210만 명에 달한다. 한 설문조사에서 이들의 60%가 주택구매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에서 밀레니얼 세대가 신규 주택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펜데믹으로 재택근무를 경험하면서 넓은 주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것도 한 요인이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제가 급격히 회복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만 미국 집값의 급등을 전망한 것은 아니다. 미국 모기지업체 페니매(Fannie Mae)는 올 4분기에서 내년 4분기까지 중위가격이 7.9%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온라인 부동산 중개 업체 질로우는 시장은 10월 기준으로 향후 12개월 동안 미국의 주택 가격이 13.6%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모두 공급부족을 원인으로 꼽았다. 골드만삭스, 패니매, 질로우처럼 내년 집값이 큰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근거 중 하나가 금리의 제한적 상승이다. 내년에 경기가 회복되지 않아 금리의 큰 폭 상승이 어렵다는 것을 전제로 전망했다.

◇코어로직 2.2%, 모기지은행연합회 -2.5% 전망

반면 소폭 상승이나 하락을 전망한 곳도 있다. 부동산 데이터 회사인 코어로직은 같은 기간 미국 주택가격이 2.2% 상승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모기지 은행 연합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내년말에는 2.5% 하락으로 마감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오름세를 지속하다가 하반기로 갈수록 하락한다는 전망이다. 근거는 금리이다. 모기지은행연합회는 30년 평균 고정 모기지 금리가 2022년 3분기까지 3.7%, 2022년 말에는 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현재 3.09%보다 1%포인트 높은 것으로 패니매의 2022년 말 예측 금리(3.4%)보다 훨씬 높다. 금리인상에도 소폭 하락으로 전망한 이유도 공급부족이다. 집값이 30% 내린 리먼쇼크때처럼 집값이 폭락하려면 급격한 금리인상과 함께 공급과잉이 겹쳐야 한다.

◇전문연구기관들, 한국은 소폭 상승

한국의 연구기관들도 내년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전국 2.0%, 수도권 3% 상승을 전망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전국 3.7% 상승을,.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내년 수도권 집값은 5.1%, 지방은 3.5% 각각 상승할 것을 가정하고 2022년 세입 예산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이는 국책 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의 전망치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근거는 공급부족이다. 내년 수도권 입주물량이 올해에 비해 오히려 감소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올해 20% 폭등한 미국 집값 또 폭등한다는 전망의 근거는 공급부족
올해 20% 폭등한 미국의 내년 집값은 어떻게 될까. 세계적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내년 말까지 미국의 집값이 16%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3년에도 6.2%의 상승을 예측했다.집값 상승의 전망 근거는 공급부족이다. 2006년 부동산 호황기에는 주택이 연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