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코로나로 엑소더스··· 미국 미친 집값, 교외-지방이 불붙였다

밴조선에디터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02-06 12:20

끝 없이 치솟는 미국 집값

미국은 코로나 대유행에도 집값이 폭등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 일리노이주(州) 프린스턴의 한 집 앞에‘주택 판매’광고판이 세워져 있는 모습.
미국은 코로나 대유행에도 집값이 폭등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 일리노이주(州) 프린스턴의 한 집 앞에‘주택 판매’광고판이 세워져 있는 모습.

“주택시장이 미쳤다”, “올해도 집값 더 오른다”

2600만 명이 코로나에 감염됐고 대공황 이후 가장 높은 실업률(작년 4월 14.7 %)을 기록했던 미국도 버블 논쟁이 벌어질 정도로 주택시장이 화끈하게 불 붙었다.

작년 미국의 기존 주택 거래량이 564만 건으로 전년보다 5.6% 늘어났다. 버블의 절정기였던 2006년(648만 건) 이후 최대 규모이다. 작년 12월 기존 주택의 중간가격은 30만9800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12.9% 올랐다고 전미 중개업협회가 밝혔다. 정부 공식 통계로 한국의 전년도 전국 평균 상승률이 5.36%였다. 코로나로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미국의 주택시장이 불 붙은 이유는 뭘까. 미국에서도 집값 급등은 ‘코로나 미스터리’로 불리면서 ‘버블 논쟁’을 촉발시켰다. 미국의 집값은 왜 올랐고, 올해는 어떻게 될까.

◇ 코로나로 도심 엑소더스, 대도시 임대료 급락 ···교외주택과 중소도시가 집값 급등 주도

첫째, 사상 유례없는 저금리와 유동성 덕분이다.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미국 정부는 무제한 양적 완화, 4차례에 걸쳐 총 2.7조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시행했다. 30년 고정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67%로, 2년 전(5%대)의 절반 정도로 떨어졌다. 금리가 역대 최저치로 급락하면서 주택구매 붐을 촉발시켰다.

둘째, 코로나로 인한 주택 가치의 재발견이 새로운 수요를 폭발시켰다. 재택근무, 재택 교육이 일반화되면서 쾌적한 환경에 더 넓은 집으로 이사하는 수요가 만들어졌다. 이른바 ‘코로나 도심 엑소더스(대탈출)’가 발생하면서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대도시 도심 주택은 가격이 하락하는 대신 지방 중소도시와 교외 지역이 집값 상승을 주도했다. 한국은 아파트 수요가 폭증하면서 주택 가격 상승을 이끈 것과는 정반대이다. 포브스지는 “코로나가 터지면서 대도시의 비싸고 좁은 아파트 대신 더 넓고 쾌적한 교외주택으로 이전하는 수요가 급증했다”면서 “코로나가 끝난다고 해도 재택근무가 가져온 변화는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젊은층이 좀더 저렴한 주택을 찾아 이주한 수요 탓에 중소 도시들의 집값도 강세이다. 피츠버그(30만명), 신시네티(30만명). 캔사스시티(50만명), 보이시(24만명), 인디애나폴리스(87만명), 멤피스(65만명) 등 중소형 도시들도 가격이 10% 이상 급등했다. USA투데이는 “샌프란시스코, 보스톤, 뉴욕 등의 임대료가 20% 전후로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언론들은 “팬데믹이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 혹은 철학을 바꿔 놓았기 때문에 주택 선호의 변화는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한다.

◇실업률 빠르게 회복···· 밀레니얼 세대 본격적으로 내집마련 나서

셋째, 코로나 양극화와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다. 코로나가 터지면서 미국 실업률이 작년 4월 4.4%에서 작년 5월 14.7%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8.4%(작년 9월), 6.7%(1월)로 빠른 속도로 정상화되고 있다. 코로나로 직격탄을 받은 계층은 저소득 서비스업종이다. 음식, 호텔 등 대면 근로를 하는 저소득층에서 광범위하게 실업이 발생했지만, 중산층은 오히려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주가와 집값이 급등하면서 중상류층은 자산이 늘어나고 있다.

넷째, 지난해 평균 나이가 32세가 된 밀레니얼 세대가 본격적으로 내 집 마련에 나서고 있다.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7210만 명에 달한다. 한 설문조사에서 이들의 60%가 주택구매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에서 밀레니얼 세대가 신규주택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택공급 부족으로 상승세 지속 가능성···주택재고 사상 최저치

다섯째. 주택 공급 감소와 재고 부족이다. 2006년 부동산 호황기에는 연간 227만 가구가 공급됐지만 2009년~2019년은 연간 50만~120만 가구로, 절대 공급규모가 줄었다. 리먼쇼크로 인해 집값이 폭락하는 것을 경험한 탓에 주택수요가 장기간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 모기지회사 페니매는 250만 가구의 주택이 부족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라모코 산타렐리 노라다 부동산 인베스트먼트 CEO는 USA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연간 162만 가구의 주택 공급이 필요하지만, 매년 37만 가구가 덜 공급됐다”고 주장했다. 건설업체들이 수요가 많고 이윤이 높은 고가 주택 공급을 늘리는 대신 시장 불확실성이 큰 저가 주택의 공급을 줄인 것이 원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기존 주택 (판매) 재고의 역사적 평균이 240만 가구(1980~2018년)에서 2018년에는 155만 가구 수준으로 떨어졌다. 집값이 급등하고 있지만, 코로나와 건설 숙련공 부족, 자재난 등이 신속한 주택공급을 가로막고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입력 2020.07.19 14:26 수정 2020.07.19 14:39'미스 켄터키' 출신 29세 여교사미국에서 10대 제자에게 노출 사진을 보낸 30대 여교사가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평생 성범죄자로 등록됐다.램지...
흑인추모 시위 이후 경찰 위축… 적극 진압 사라져 총기사고 급증미국 최대 도시 뉴욕에서 최근 총격 살인 사건이 통제 불능으로 터지고 있다. 지난 5월 말 백인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숨진...
하루 평균 3100명의 코로나바이러스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미국 조지아 주에서, 공화당 주지사와 주도(州都)인 애틀란타의 민주당 시장이 ‘마스크 착용’을 놓고 소송을 벌이고 있다. 애틀란타 시는 주내(州內) 최대 도시(인구 50만 명)로, 조지아 주의 경제...
YG 뮤직비디오 수정 "의도하지 않은 실수"K팝 걸그룹 새 역사를 쓰고 있는 블랙핑크가 신곡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 힌두교 신상(神像)을 사용했다가 인도 네티즌의...
입력 2020.07.13 03:25[오늘의 세상]여름마다 한·중·일 3국에 비를 뿌리는 장마전선이 올해는 중국 남부와 일본 규슈(九州) 지방에 기록적인 폭우를 내렸다. 반면, 한반도에는 상대적으로 비가...
입력 2020.07.13 00:02 수정 2020.07.13 00:05무라카미 하루키/연합뉴스일본 대표작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ㆍ71)가 1920년대 간토(關東) 대지진 이후 자행된 조선인 학살 사건을 언급하며...
메릴랜드주 군 병원 방문하며 마스크 착용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각) 메릴랜드주 월터 리드 군 의료센터를 방문하며 마스크를 쓴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코로나...
현직 신장위구르 당서기 등 4명 자산 동결, 미국인과 거래 금지미국이 9일 중국 내 소수민족인 위구르족을 탄압한다는 이유로 신장위구르 자치구 전·현직 고위 관리 4명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이 중에는 25명뿐인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도 포함됐다. 홍콩 내...
입력 2020.07.11 11:49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HO 본부 표지판./EPA 연합뉴스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기원 조사를 위해 전문가 두 명으로 이뤄진 선발대를 중국으로 파견했다....
입력 2020.07.05 18:09 수정 2020.07.05 18:12미국 최대 국경일인 독립기념일이었던 4일(현지 시각) 인종차별반대 시위대가 미국 백악관 인근 BLM 광장에서 성조기를 불태우고 있다./트위터미국...
재산피해만 7조원한 달째 내린 비로 중국 창장 유역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CCTV 화면중국 창장(長江) 일대에 한 달 넘게 폭우가 쏟아져 2000만명 가까운 이재민을 냈다. 5일 관영 신화통신에...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개발과 관련해 "18개 후보 물질에 대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며 연내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했다.AFP·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마이크...
입력 2020.07.04 16:39 수정 2020.07.04 18:212020년 7월 3일 미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의 러시모어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참석한 독립기념일 행사가 열린 가운데 불꽃놀이가 펼쳐지고...
창궐하는 코로나바이러스와 흑인차별 반대 시위가 미국 전역을 수개월째 휩싸면서, ‘카렌(Karen)’이란 이름의 백인 여성이 트위터와 리딧과 같은 소셜미디어와 미 언론 매체에서 수시로...
[홍콩 보안법 시행 첫날] 백악관 "中·홍콩, 한 체제로 취급"미 백악관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강행에 대해 "앞으로 홍콩을 중국과 한 체제로 취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과 일본 등 27국도 유엔에서 성명을 내고 "홍콩의 자유를 보장하라"며 비판했다.미...
中 ‘헬멧 대란’ 영향으로 ABS 스팟 스프레드 상승ABS 생산하는 LG화학·롯데케미칼 가동률 100% 육박중국 정부가 이달부터 오토바이 운전자에 헬멧·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는 이른바...
입력 2020.06.28 16:49 수정 2020.06.28 17:079명의 아이를 낳은 광시성 두안현의 멍씨. 그녀는 열번째 아이를 임신 중이다./난궈진바오중국에서 ‘낳을수록 가난해진다(越生越穷)’는 말이...
흑인이 무릎에 짓눌려 사망한 美 미니애폴리스공권력 공백에 총격사건 47% 늘어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공원에 텐트를 설치한 노숙자들/트위터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미국 명문 사학 프린스턴대가 교내 공공정책대학과 기숙사에서 우드로 윌슨 전 대통령의 이름을 지우기로 결정했다.미국 프린스턴대가 윌슨 전 대통령의 이름을 삭제하기로 한...
전 세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누적 사망자는 50만명에 이르렀다./월드오미터 홈페이지 캡처국제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28일 오전 7시 18분(그리니치 표준시 27일 오후 10시 18분) 현재 세계 코로나 누적 확진자 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