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2주 남았습니다!

박정은 sean@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10-28 08:54

박정은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얼마 전 지인이 병원일로 물어볼 게 있다며 전화를 걸어왔다. 간호사로 일을 하다 보니 이런 문의를 자주 받곤 한다. 질문의 요지는 이거였다. “우리 직원 남편이 어제 911 타고 응급실로 실려 갔대. 옆집 사람이 알려줘서 그걸 나중에야 안 거야. 그래서 급히 병원으로 가봤는데 간호사가 환자가 어디 있는지 상태는 어떤지 전혀 알려주질 않더래. 어떻게 그럴 수 있어? 이거 분명 병원에서 의료사고 같은 거 내놓고 뭔가 숨기려고 그러는 거지?” 캐나다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면 몰라도 한국에서 살다가 중간에 이민을 온 사람이라면 충분히 이런 오해를 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캐나다 병원에서 간호사가 입을 다물 땐 이유는 딱 한 가지다. 환자가 누구한테도 자기 상태를 말하지 말라고한 거다. 의사나 간호사는 환자의 비밀을 절대 누설하지 않겠다는 선서를 하고 이 일을 시작을 한다. 그런데 그 비밀 누설의 범위가 나라마다 다르다는 데 문제가 있다. 한국에선 환자 가족에게 상태를 말하는 건 비밀 누설에 해당되질 않는다.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아프면 가족 전체가 함께 그 상황을 헤쳐 나가려고 하는 게 한국의 문화이다. 그런데 캐나다에선 직계가족 중 누구에게만 알리라고 할 때도 있고, 환자 본인만 알겠다고 할 때도 있다. 캐나다가 상당히 개인중심이라면 한국은 가족중심의 사회라는 생각이 든다. 


     한번은 이런 안타까운 이야기를 전해들은 적도 있다. 한국에서 이민 온 20대 청년이 코피가 자주 나 병원에 갔다고 한다. 그런데 검사결과가 얄궂게도 ‘급성백혈병’으로 나온 것이다. 바로 여기서부터 캐나다와 한국이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이런 경우면 한국에선 미혼인청년에게 부모님을 모시고 오라고 한다. 그리고 닥터는 부모님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린다. 그럼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아들에겐 우리가 천천히 말 할 테니 당장은 알리지 말라고 한다. 그리곤 온 가족이 동원돼 사방팔방으로 치료방법을 찾으며 대처를 시작한다. 그런데 캐나다에선 18세 이상 환자에겐 단도직입적으로, “당신 급성백혈병입니다. 이런 저런 치료 방법이 있고, 이걸 안하면 2주밖에 못삽니다.” 이렇게 대놓고 말을 해버린다. 처음 이 말을 듣고 그 한국청년이 얼마나 충격을 받았겠는가! 한국 의사들이 환자를 배려하느라 가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결과를 알리는 반면, 이쪽 의사들은 인정머리라곤 손톱만큼도 없이 대놓고 강펀치를 먹여버린다. 결국 이 청년은 그 냉정한 의사에게 처음부터 깊은 불신을 갖게 되었다. 한국에 있던 부모님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수혈을 안 받는 분들이라서 아들에게 일단 수혈을거부하며 기다리라고 했다고 한다. 급한데도 환자가 수혈을 거부하자 의사가 방으로 다시 찾아왔다고 한다. 그리고는 아주 구체적으로 얼마나 상태가 나쁜지, 계속 치료를 거부하면 일주일도 안 남았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고 나갔다고 한다. 이에 이 청년은 주위 사람들에게, “의사가 자기가 하라는 대로 안 하니까 이젠 뻥을 쳐가며 협박까지 한다.”고 했다고 한다. 그렇게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 가운데 우왕좌왕 치료시기를 놓쳐버린 청년은 의사 말대로 진짜 2주 만에 세상을 떠났다. 이 이야기를 내게 전하던 지인도 환자가 얼마나 무서운데의사가 어떻게 그런 협박을 할 수 있냐고 물었다. 캐나다에선 그건 협박이 아니라 환자가 자기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설명을 해준다는 차원이다. 혹시 환자가 잘 몰라서 그런 선택을 했다면 그 책임은 모두 의료진에게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래서 추가설명을 했을 텐데, 그런 게 익숙지 않았던 청년은 그걸 협박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그런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불신과 오해가 없었다면 적어도그렇게 아무런 준비도 못한 채 가진 않았을 텐데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한국, 캐나다 어느 쪽 접근법이 더 나은지 쉽게 말할 수는 없다. 한국은 가족을 완충재 삼아 환자에게 충격이 덜 가게 하는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 병원에서 일할 때, 쇼오피(show operation)라는 것을 보곤 했었다. 회생 불가능한 말기암인데도 가족들이 환자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며 꼭 수술을 해달라고 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수술이다. 실제 암 덩어리를 제거하는 게 아니라 그냥 머리만 열었다가, 배만 열었다가 닫는 가짜로 하는 수술을 일컫는다. 환자 상태를 가족만 알지 본인이 정확히 몰라서 가능한 일이다. 이런 수술을 받고 나온 환자를 간호할 때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절대 환자에게 진실을 말하지 말라는 주의가내려지니 혹시라도 말실수를 할까 싶어 가능하면 사무적인 태도로 가면을 쓴 채 환자를 대해야만 했었다. 그렇게 진실을 가려 유지하는평화가 너무 아슬아슬해 보여 가능하면 그 사이에 끼지 말자는 심리도 있었을 것이다. 과연 이런 불필요한 수술과 고통으로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낭비하게 하는 게 맞을까? 이게 진짜 환자를 위한 것일까? 물론 가족들 입장에선 뭐라도 해봐야지 손 놓고 지켜본다는 게 쉬운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죽어가는 사람에게 쓸데없는 고통을 안겨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럴 때면 환자에게 진실을 직접 알리는 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막연한 믿음이 한없이 흔들리곤 했었다. 나라면 진실을 정확히 알고 싶을 것 같았다. 그렇게 눈앞에 닥친 끝을 감지하지 못한 채 주변정리도 못하고 황망하게 죽음을 맞고 싶지는 않았다. 캐나다에선 말기암 사망선고를 받은 사람이 버킷리스트를 만들어 하고 싶은 걸 다 하다 죽었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된다. 자기 상태를 정확히 알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환자에게 정신적인 충격을 주느냐 마느냐를 떠나, 결국 그 사람의 삶이니 모든 결정과 선택을 본인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람이 아프면 외로울 수밖에 없다. 수술장에도 혼자 들어가야 하고, 치료도 고통도 죽음도 홀로 감당할 수밖에 없다. 이 진실을 직시시키는 게 캐나다 방식이 아닌가싶다. 이런 다른 병원 문화로 인해 괜한 오해와 불신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중국 우한에서 전염병이 돌고 있다는 소식을 처음 접한 게 1월 말이었다. 간호사라는 직업 때문에 난 그 병의 실체를 알고 싶었다. 그래서 그때부터 모든 뉴스를 닥치는 대로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난 패닉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중국에서 솟아오른 검은 먹구름이 온 세상을 까맣게 뒤덮어가는 이미지가 떠올랐고, 그게 뇌리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급자기 늘어난 환자로 의료붕괴가 일어난 중국은...
박정은
                                                                                           얼마 전 테헤란 공항에서 비행기가 추락해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연휴를 끝내고 학교로 돌아가는 대학생이 다수였다고 하니 아직 너무 이른 죽음이었다. 평소엔 죽음이 그야말로 아주 먼 일처럼...
박정은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2주 남았습니다! 2019.10.28 (월)
얼마 전 지인이 병원일로 물어볼 게 있다며 전화를 걸어왔다. 간호사로 일을 하다 보니 이런 문의를 자주 받곤 한다. 질문의 요지는 이거였다. “우리 직원 남편이 어제 911 타고 응급실로 실려 갔대. 옆집 사람이 알려줘서 그걸 나중에야 안 거야. 그래서 급히 병원으로 가봤는데 간호사가 환자가 어디 있는지 상태는 어떤지 전혀 알려주질 않더래. 어떻게 그럴 수 있어? 이거 분명 병원에서 의료사고 같은 거 내놓고 뭔가 숨기려고 그러는 거지?”...
박정은
나의 퀘렌시아 2019.07.22 (월)
     요즘은 밤마다 뒷마당 데크 위에 쳐둔 텐트에서 시간을 보낸다. 텐트 안에 있는 살림이라곤 베개, 이불, 그리고 새우깡 한 봉이 전부다. 물론 텐트 안에 가득한 새소리, 바람소리, 꽃향기는 보이지 않는 인테리어다. 거기에 비까지 내리면 빗소리라는 음악이 더해져 텐트 안은 더 아늑해진다. 오늘밤은 비가 온다고 해서 일찌감치 텐트로 나왔다. 한국에 살 때 남편과 난 산을 참 좋아했었다. 우리가 정식으로 했던 첫 데이트가 아마...
박정은
오래전 나는 딸의 친구와 가깝게 지낸 적이 있었다. 그 아이의 이름은 노미였다. 밴쿠버에서 처음으로 내 집을 마련해 이삿짐을 막 들여놓고 있는데, 노미가 엄마의 손을 잡고 우리 집에 찾아왔다. 사람 맞을 준비가 안 돼 당황하는 내게 그 모녀는 정원에서 꺽은 꽃 한 다발을 내밀며 간단한 환영인사를 남기고 돌아갔다. 그리고 다음날은 쿠키를 만들어 찾아오고 또 다음날도, 그렇게 매일 우리 집에 출근도장을 찍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노미가 그...
박정은
분홍꽃 2018.05.30 (수)
 알버타 북쪽의 겨울은 유난히 춥고 길다. 딱 잘라 일 년의 반이 겨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우리 가족이 이곳으로 이사를 온 건 겨울 중에서도 가장 춥다는 1월이었다. 주위를 사방으로 둘러봐도 보이는 건 하얀 눈뿐이었다. 꽁꽁 언 이 땅에도 과연 봄이 오는 걸까? 그런 불안감이 들 때마다 난 이삿짐을 쌀 때 거듭 확인하며 챙겨 온 분홍꽃 꽃씨를 펴봤다.   우리 가족이 캐나다에 첫발을 내디딘 건 2000년이었다. 땅을 바꾸면...
박정은
배꼽 2018.01.17 (수)
배꼽박정은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한국에서 십여 년을 분만실 간호사로 일했었다. 분만 중에는 많은 응급상황이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위급한 게 탯줄 문제이다. 아기는 엄마 뱃속에서 열 달을 한 몸으로 살지만, 사실 둘은 서로 붙어있는 게 아니라 겨우 가느다란 탯줄 하나로 연결돼 있을 뿐이다. 즉, 아기에겐 이 탯줄이 유일한 생명줄인 셈이다. 그런데 이 탯줄이 꼬이거나 눌려 막히게 되면 몇 분 안에 아기의 심장이 멎는, 그런...
박정은
 두 딸이 대학에 진학해 도시로 가고 나니 방이 두 개가 비었다. 햇볕이 잘 드는 방을 골라 서재를 만들려고 짐을 옮기는데 방 벽에 딸이 붙여 둔 문구가 보였다. ‘Dream, until your dream comes true. (너의 꿈이 이루어질 때까지 꿈을 꿔라!)’ 딸은 매일 이 문구를 보며 꿈을 꾸었나 보다. 글자가 가려지지 않도록 조심스레 책장을 배치했다. 딸에게만 있는 게 아니라 엄마인 내게도 꿈이 있으니까.       어른이 되어 슬픈 것 중에 하나는 그...
박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