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Owner·Operator LMIA, 사업 이민을 위한 첫걸음

경영오 기자 kyo@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7-11-03 16:46

신규·기존 사업체 보유 지분 50% 이상일 때 가능

2014년 6월 캐나다이민부(IRCC)는 순수투자이민과 기업이민 프로그램을 폐지했다. 투자이민이나 기업이민이 캐나다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고 상당수의 이민자가 캐나다에 거주하지 않는 등 이민사회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였다. 

사업이민이 중단된 후 한인들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사업가나 투자자, 고위관리자들의 이민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런 여건속에서도 사업경험과 투자금, 기술을 갖춘 외국의 사업가나 투자자들이 캐나다에서 사업을 하기 위한 기회를 모색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투자이민이나 기업이민은 중단되었어도 캐나다 현지에서 사업체 설립이나 운영을 위한 취업비자 취득은 여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서비스캐나다로부터 Owner/Operator LMIA를 받아 국경이나 공항에서 취업비자를 발급받는 것이다. 먼저 취업비자를 받아 사업체를 소유 및 운영하면서 영주권을 취득하는 방법이다.

이민컨설팅업체 웨스트캔의 최주찬 대표는 “Owner/Operator LMIA는 캐나다에 사업체를 설립했거나, 사업체를 인수해 직접 운영 또는 운영할 계획인 사업가가 신청할 수 있다. 신규 사업체는 물론  기존 사업체에 투자를 하는 경우도 인정되며 이 경우 보유 지분은 반드시 50%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즉, 사업체의 소유주 또는 지분 50%를 가진 동업자만이 Owner/Operator LMIA의 자격 조건이 된다는 뜻이다.

또한 최 대표는 “단순한 투자나 지분 참여만으로는 LMIA를 받을 수 없으며 사업체의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 캐나다 현지인을 위한 고용창출이나 고용유지가 되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Owner/Operator LMIA는 대부분의 LMIA 신청시에 요구되는 것과는 조금 다른 조건이 있다. 일단 구인광고가 필요 없으나, 자세한 사업계획서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투자규모나 고용창출에 대한 확실한 기준은 없지만 신청인의 캐나다 입국과 비자 취득이 캐나다 경제에 공헌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Owner/Operator로 취업비자를 받으면 배우자는 오픈 취업비자를 받을 수 있으며 자녀들에게는 무상교육의 혜택이 주어진다. 취업비자의 연장도 가능하며 대부분 익스프레스엔트리를 통해 영주권을 취득하게 된다. 취업비자를 받을 때, 영어능력을 증명할 필요는 없으나 영주권 신청시에는 영어능력이 요구된다.

웨스트캔의 최주찬 대표는 “최근들어 한인들도 Owner/Operator LMIA를 통해 취업비자를 발급받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에서 운영하던 비즈니스와 유사한 사업체를 설립하거나, 지인의 사업체 인수 또는 기존의 사업체에 동업자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업체 설립이나 인수 등은 반드시 현지 변호사나 회계사 등의 전문가들과 충분히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LMIA에 대한 오해와 진실

한편, LMIA는 고용주(Employer)가 외국인 노동자(Foreign worker)를 고용하기 위해 신청하는 것으로, 캐나다 취업비자를 받기 위한 전단계이다. 그러나 일반 신청자들 중에는 ‘LMIA가 곧 취업비자(Work permit)’라고 믿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굿모닝이주공사의 남이송 대표는 “LMIA는 고용주에 대한 심사 절차로, LMIA가 발행된 후에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자격 심사 후 취업비자가 주어진다. 그런데 많은 신청자들이 이 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본인(외국인 노동자)이 직접 LMIA 신청서 진행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서비스캐나다에 연락하는 우(愚)를 범하곤 한다”고 말했다.

또한 남 대표는 최근 LMIA 신청에 대한 광고 기준이 변경됐음을 설명했다. 변경 사항에 따르면 National Job Bank에 광고를 4주 이상 등록하고 Job Bank 내의 Jab matching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Job matching 내의 신청자들은 star로 등급 표시가 되는데, 2 stars 이상의 신청자에게는 모두 Invitation을 발행하여 인터뷰를 진행해야 한다. Job matching에 올라오는 신청자들은 모두 구인을 위하여 Job Bank에 등록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초대해 인터뷰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인터뷰를 진행한 후에도 여전히 적합한 고용인을 찾지 못했을 때 고용주는 LMIA 신청서를 접수할 수 있다.

굿모닝이주공사의 남이송 대표는 “지금은 초기 시행이지만 이러한 기능은 점차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외국인 노동자 고용에 대해 캐나다 역시 미국처럼 정부가 적극적으로 간섭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외국인 노동자 고용의 기회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강화된 조건하에서도 캐나다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부족한 분야에서는 여전히 LMIA를 받을 수 있기에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리=경영오 기자 kyo@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스폰서십 요건 확인위한 새로운 질문 추가돼
내년 1월 2일부터 부모, 조부모 초청 이민이 재가동된다. 캐나다 이민부(IRCC)는 지난 22일 보도자료를 발표해 오는 1월 2일부터 2월 1일까지 부모, 조부모 초청 이민 프로그램을 재가동한다고 밝혔다. 캐나다 이민부는 2017년 부모, 조부모 초청 이민에 대해 공정하고...
2019년 1월까지 연장, 신청 후 3~4개월 소요
캐나다 정부는 영주권을 신청하는 배우자 및 사실혼 관계의 동거인을 위해 오픈 취업비자(open work permit)를 허가하는 임시 제도를 다시 한번 연장했다. 지난 15일 캐나다 이민부(IRCC)는 캐나다 내의 배우자 또는 사실혼 관계의 동거인을 위한 오픈 취업비자 임시...
1차 건설 지역 밀양, 김해, 창원 등 물망에 올라
740만 재외동포 가운데 역이민을 계획하고 있는 이들을 위한 ‘국제복합도시’ 조성이 추진 중이다. 세계부동산연맹(FIABCI) 아시아·태평양지역본부(회장 지태용)는 지난 10월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국제복합도시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내달 15일까지 사업 및 행사 지원서 제출
재외동포재단은 내년도 재외동포단체 추진사업 지원을 위한 ‘재외동포사회 지원 사업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수요조사 대상 사업은 2018년 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개최되는 사업 및 행사이며 오는 12월 15일(한국시간)까지 추진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신규·기존 사업체 보유 지분 50% 이상일 때 가능
2014년 6월 캐나다이민부(IRCC)는 순수투자이민과 기업이민 프로그램을 폐지했다. 투자이민이나 기업이민이 캐나다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고 상당수의 이민자가 캐나다에 거주하지 않는 등 이민사회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였다. 사업이민이 중단된 후...
한인 관심 갖는 직업군 포함, 이민 늘어날까 기대
캐나다이민부(IRCC)는 지난 1일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ee 이하 EE) 선발을 발표했다. 이번 선발은 기술직이민(Federal Skilled Trade)과 주정부이민(PNP) 부문에서만 이뤄졌다. 이에 따르면 총 795명의 후보자 중 기술직이민(Federal Skilled Trade) 부문에서 505명이 선발됐으며...
시험 면제 대상 확대, 의무 거주 조건 완화…
오는 11일부터 새롭게 개정된 시민권법이 발효된다. 이번에 개정된 시민권법의 핵심 내용은 크게 다섯가지다. 첫째, 예전의 시민권 신청 자격 요건인 최근 6년 중 4년 이상의 거주 조건이,...
기프트 카드, 계좌이체에 이어 비트코인 방식 늘어
써리에 사는 한 여성은 남편의 휴대전화 번호가 찍힌 전화 한통을 받았다. 그러나 전화를 건 사람은 남편이 아니었다. 그는 자신을 경찰이라고 밝히며 “현재 남편은 체포된 상태로 남편이 풀려나기 위해서는 보석금이 필요하다. 지금 알려주는 계좌로 돈을 보내면...
이민 전문가 “자격 조건 완화 아니라 속도 빨라진 것”
앞으로 일부 기술직 및 전문직 종사자들의 BC 주정부 이민이 보다 빨라질 전망이다. BC PNP는 최근 기존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을 보완할 파일럿을 발표했다. ‘Tech Pilot’ 이라는 이름의 이번 프로그램에는 총 32개 직업군이 포함되며 해당 직업군에서 자격을 갖춘...
이민 전문가 “한인업계 LMIA 신청 위축될까 우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LMIA 신청 규정이 까다로워졌다. 최근 캐나다 정부는 ‘Job Match’라는 이름의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으며 이는 지난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새롭게 바뀐 규정에 따르면 앞으로 LMIA를 신청하는 모든 고용주는 캐나다...
존 호건 “수업료 부담없이 교육, 기술 개발 습득에 노력하길”
다음 달부터 BC주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기초 교육 및 영어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다. 존 호건(Horgan) BC주수상은 지난 8일 빅토리아의 캐모선 칼리지(Camosun College)에서 BC주...
한국에 30일 이상 체류하면 월 29만원 무상 지원 혜택
올 9월부터는 한국에 30일 이상 체류하는 재외국민의 3~5세 아이는 월 29만원의 누리과정 지원금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게 됐다. 지난 달 27일 대한민국 교육부는 ‘2017학년도 유아학비 지원계획’을 전국의 시·도 교육청에 전달했다. 이에 따르면 올 9월부터...
안정적인 경제, 언어 교육 및 취업 등에서 좋은 평가
1위 스웨덴, 2위 캐나다, 3위 스위스, 4위 호주, 5위 독일, 6위 노르웨이, 7위 미국, 8위 네덜란드, 9위 핀란드, 10위 덴마크. 위의 순위는 이민자들이 살기 좋은 나라 베스트 10이다. 미국의 디지털 뉴스 및 정보 회사인 U.S. News & World Report는 2017 이민자가 살기 좋은...
413점으로 최저점 기록 “추이 지켜봐야 할 듯”
지난 5월 31일 익스프레스엔트리(EE) 선발이 발표됐다. 이번 발표는 지난 26일 기능직 기술이민(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 이하 FSTP)과 주정부이민(PNP) 선발 후 5일 만에 발표한 것으로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점수 또한 413점으로 전문직 기술이민(Federal Skilled Worker...
“요리사, 제빵사 등 포함” 한인사회 희소식이라 반겨
익스프레스엔트리(EE) 합격 점수가 199점으로 최저점을 기록했다. 지난 26일 캐나다이민부(IRCC)의 발표에 따르면 기능직 기술이민(FSTP)의 경우 커트라인 199점에 총 400명이 선발됐다. 지난 17일 발표된 415점과 비교할 때 절반 이하의 점수로 EE신청자들에게는...
IRCC 발표 “신규 이민자들 EE 선호도 높아”
최근 발표된 익스프레스엔트리(이하 EE) 신청자의 종합순위시스템(Comprehensive Ranking System 이하 CRS) 점수가 415점으로 최저점을 기록했다. 올 초 468점으로 시작한 CRS 점수는 지난 3월 1일 434점까지 떨어졌다가 3월 24일 441점을 기록했다. 그후 다시 점수 하락을 보였으며...
커트라인 450점 미만으로 낮고 평균 가족 수는 1.9명
최근 발표된 캐나다이민연방부(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이하 IRCC)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익스프레스엔트리(이하 EE) 신청자의 종합순위시스템(Comprehensive Ranking System 이하 CRS) 점수가 대부분 450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정부 이민(Provincial...
총 786명으로 2015년에 비해 180명 늘어나
캐나다이민연방부(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이하 IRCC)는 최근 2016년 익스프레스엔트리(이하 EE) 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EE를 통해 캐나다로 이민 온 한인 신규 이민자의 숫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 Top10 국가들의 순위에서는...
캐나다에서 중산층으로 성장하는데 원동력 되길
캐나다고용인력개발부(Employment and Social Development Canada·이하 ESDC)는 신규 이민자의 구직 활동을 돕기 위해 예산을 편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2017년부터 5년 동안 총 2750만 달러를 지원하며 5년 후부터는 연간 550만 달러의 예산을 편성할 예정이다. 정부가...
BC주 이민 사기 사건 중 최대 규모
1600여 명으로부터 1000만 달러 이익 챙겨캐나다국경관리청(CBSA)과 캐나다국세청(CRA)은 “3명의 개인이 포함된 무면허 이민 사업체에 실형과 벌금이 부과됐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이번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