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16-10-22 11:35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기고/수필
     처음 밴쿠버에서 살다가 앨버타 북쪽으로 이사를 오게 되었을 때 가장 걱정스러웠던 건 이곳의 추위였습니다. 마른 체형에 항상 손발이 차서 마이너스 40도까지 내려가는 겨울나기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지요. 아직 10월 중순밖에 안됐는데 오늘도 하늘에선 부지런한 선녀님들이 하얀 눈꽃송이를 펑펑 뿌려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젠 뒷마당에 차곡차곡 쌓이는 눈을 보면서도 여유 있는 미소를 지을 수 있답니다. 내겐 아무리 혹독한 겨울왕국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수영장 회원권이 있기 때문이지요. 수영을 잘 하냐고요? 아니요. 물에서 뜨지도 못하는데 무슨 수영을 하겠습니까? 수영장 회원권을 산 건 단지 그 안에 있는 작은 스팀룸에서 사우나를 하기 위해서였지요. 몸이 아파서 작년 겨울에 처음 가봤다가 이젠 우리 삶의 큰 즐거움이 된 곳입니다. 남편과 같이 스팀룸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도 나누며 추위로 움츠러든 몸을 데우다 보면 혈액순환이 잘 되어서 그런지 몸이 얼마나 가볍고 따뜻해지는지, 이젠 겨울이 와도 전혀 무섭지가 않답니다.

     몸에 열이 많아선지 여기 캐나다인들은 스팀룸을 별로 애용하지 않더라고요. 들어와도 잠깐 있다 나가는 게 전부라서 아주 한가롭게 누웠다 앉았다 하며 내 전용인양 이용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가끔씩 남자들이 떼로 몰려올 때가 있습니다. 아마 밖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언젠간 그 떼로 몰려온 남자들과 스팀룸에 함께 앉아 사우나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뜨거운 스팀에 쪄지는 새우처럼 몸이 점점 벌게지는데도 모두 입을 꾹 다문 채 누구 하나 먼저 일어나 나가려 하질 않았습니다. 저러다 죽겠는데~ 걱정스런 마음을 뒤로 하고 일어나 나오는데 남편이 뒤 따라 나오며, “그래~. 내가 졌다.” 우리만 알아들을 수 있는 한국말로 중얼거렸습니다. 뭔 말이야 하는 표정으로 돌아보자 남편은, “지금 쟤네들 누가 오래 버티나 경쟁하는 중이거든.” 남편 말에 웃음이 터진 난, “당신이 그걸 어떻게 알아?”하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원래 수컷들은 한방에다가 모아 놓으면 서열정리를 하게 돼 있거든. 그냥 본능이야. 내가 포기했으니까 이제 곧 따라 나올 거야.” 그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빨갛게 익은 남자들이 줄줄이 따라 나오는 걸 보면서 왜 저런 쓸데없는 것에 경쟁심을 불태우나 한참을 웃었습니다. 그때 웃을 때만 해도 내게도 그런 바보스런 경쟁심이 있다는 걸 몰랐습니다.

        얼마 전에 자고 일어났더니 갑자기 목이 돌아가질 않았습니다. 목과 어깨 근육이 나쁜 줄은 알았는데 결국은 빨강신호등이 들어왔지요. 이대로 두면 근육이 점점 위축돼 돌처럼 굳어지겠다 싶어 저번 주엔 처음으로 요가 강습이란 걸 받으러 갔습니다. 목이 아프다, 무릎이 안 좋다는 등 소소한 불편함을 지닌 다섯 명의 여자들이 둥그렇게 앉았습니다. 요가를 시작하기 전에 강사가 그러더군요. 이건 경쟁이 아니니 절대 안 되는 자세를 억지로 따라하지 말고 네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해라. 그런데 하다보니까 나도 모르게 억지로 따라하고 있었습니다. 곁눈질로 흘끗흘끗 옆 여자들을 체크해가며 저들이 하면 나도 한다는 불굴의 의지로 절대 밀리지 않는 한국 아줌마의 근성을 유감없이 발휘하기 시작했지요. 그렇게 안 좋은 목을 열심히 돌려가며 한참을 따라했으니 결국 목에 무리가 가고. 그러다 문득 깨달았습니다. 내게도 이런 바보스런 경쟁심이 있다는 걸. 남보다 잘해야 하고 최소한 남보다 못하지는 말아야지 하는 경쟁의식이 그냥 본능처럼 내 속에 프로그램 되어 있었습니다. 누가 삶을 경쟁이라고 가르쳤을까? 난 왜 그 말을 한 번도 의심하지 않고 내 속에 새기고 살았지? 근육 좀 풀어보자고 시작한 요가인데 이러다간 이 미련한 경쟁심에 끝내는 경추디스크에 걸리고 말겠다 싶었습니다.

       이처럼 경쟁의식은 삶에 득이 되기보다는 도리어 독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반드시 다른 사람을 앞질러 가야한다는 생존경쟁의 강박관념이 삶의 많은 부분에 침투해 우리에게 이런 무의미한 도토리 키 재기를 강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가강습이 끝나갈 즈음에 편안한 숨을 뱉어내며 강사가 다시 말했습니다. “It is not competition. Go your own way. Do your own practice...to make a better world!” 갑자기 이 말이 요가뿐만 아니라 삶에도 똑 같이 적용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의 길을 가면서 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들을 합니다. 그 일들이 세상을 조금이라도 더 낫게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다면 아주 잘 사는 게 아니었을까요? 지금까지 삶을 경쟁이라 믿고 살았다면 이제부터는 내 속에 새겨진 그 경쟁심을 하나하나 찾아내 지워가며 살고 싶습니다. 사람으로 태어나 도토리로 생을 마감할 순 없으니까요.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도토리 키 재기 2016.10.22 (토)
     처음 밴쿠버에서 살다가 앨버타 북쪽으로 이사를 오게 되었을 때 가장 걱정스러웠던 건 이곳의 추위였습니다. 마른 체형에 항상 손발이 차서 마이너스 40도까지 내려가는 겨울나기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지요. 아직 10월 중순밖에 안됐는데 오늘도 하늘에선 부지런한 선녀님들이 하얀 눈꽃송이를 펑펑 뿌려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젠 뒷마당에 차곡차곡 쌓이는 눈을 보면서도 여유 있는 미소를 지을 수 있답니다. 내겐 아무리...
박정은
척추 같은 부모 2016.05.21 (토)
무엇을 어떻게 해야 부모 노릇을 잘하는 걸까? 이 질문 앞에선 누구나 하나같이 어렵다는 말부터 꺼낸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하는 일이면서도 가장 힘들어하는 게 바로 이 부모 노릇이 아닌가 싶다. 특히 낯선 문화권에서 아이들을 키워야만 하는 이민자들은 그 어려움이 더 배가 되는 듯하다. 도시도 아닌 이 북쪽 시골까지 와 아이들을 키우며 좌충우돌하는 내게 캐네디언 친구들이 들려줬던 조언들을 여기에 소개해볼까 한다.레슬리란...
박정은
늙지 않는 여자 2015.12.05 (토)
   잠을 자다 딸의 잠꼬대에 눈을 떴다. 너무 더운지 딸은 몸부림을 치더니 할머니 품으로 기어든 후에야 다시 잠이 든다. 난 모로 누워 잠정신에도 딸을 끌어다 토닥이며 자는 엄마와 그 옆에 누운 두 딸들을 바라본다. 딸과 엄마라는 이름으로 순환되는 여자 삼대가 그렇게 누워있는 상황이 새삼 이상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엄마는 새근거리는 딸들에 비해 숨소리마저 탁하다. 가까이 보니 엄마의 얼굴빛은 불그레한 딸들과 비교해 칙칙한 저녁...
박정은
싱글맘이 된 딸 2015.06.12 (금)
미혼모란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혼자 아이를 낳아 키우게 된 여성을 말하고, 싱글맘이란 자기가 원해서 혼자 아이를 낳아 키우는 여성을 지칭한다고 한다. 한국도 이젠 갈수록 혼자 아이를 키우는 사람이 늘다보니 이런 세분화된 호칭까지 생긴 것 같다. 갑자기 싱글맘 이야기를 꺼낸 건, 고등학생인 딸이 얼마 전에 치렀던 ‘3일 동안 싱글맘 체험하기’, 바로 그 이야기를 끄집어내고 싶어서다.           딸이...
박정은(Kristine Kim)
크리스마스 선물 2014.12.27 (토)
크리스마스이브, 지금쯤 사람들은 즐겁게 캐럴송을 부르거나 크리스마스 선물에 한껏 마음을 빼앗길 시간이다. 하지만 난 그런 것들을 마음에 담을 여유가 없다. 항상 그렇듯 오늘도 난 내 일을 잘 감당할 수 있게 해달라는 기도를 하며 출근을 하고 있다. 앨버타 북쪽에 있는 시골 병원에서 간호사를 시작한지가 벌써 몇 년이 되어간다. 한국의 대학병원에서 쌓은 다년간의 경험이 있었기에 처음엔 이런 시골병원 일은 쉬울 거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박정은
송충이 떼의 습격 2014.08.15 (금)
살아가면서 우리는 많은 것들을 배운다. 사실 산다는 것 자체가 평생교육원에 등록한 것과 같다. 삶은 여러 방법으로 우리에게 가르침을 주는데, 그 중 상당히 이해하기 어려운 게 보이는 것 밑으로 전혀 다른 의미의 진실을 숨기고 있는 경우이다. 때론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기 위해서는 삶이 지닌 역설을 이해해야만 한다.앨버타 북쪽에 있는 스몰 타운에서 산지가 벌써 12년이 되어간다. 상당히 오랜 시간 한 곳에서 살다 보니 지난여름엔 십여 년...
박정은 (Kristine Kim)
스팅(Sting)이 부르는 '잉글리쉬맨 인 뉴욕(Englishman in New York)'이라는 노래를 듣다보면 후렴구가 귀에 꽂히듯 들어온다. 계속 반복되는 이유도 있겠지만, 낯선 땅에서 살아가는 이민자라면 누구나 공감할만한 가사 때문일 것이다. “나는 외계인, 이 땅에 합법적으로 체류하는 외계인, 나는 뉴욕에 사는 영국인.”  이렇게 반복되는 후렴구를 듣다 보면, 꼭 내 이야기만 같아 나도 모르게 가사를 '캐나다에 사는 한국인'으로 바꾸어 흥얼거리게...
박정은(Kristin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