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BC 전기공학도, 고등학교 시절 IB를 선택한 이유

AKCSE Publication Committee 남윤우, 최예은, 이승욱, 황현지, 정윤 akcse.ubc.pub@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11-04 16:23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전공을 생생한 인터뷰를 통해 전해드렸는데요. 이태까지 Science 전공들만 접해보셨다면 이번 주에는 처음으로 Engineering 전공을 만나보았습니다. 현재 UBC Electrical Engineering을 전공하고 있는 3학년 이형주씨(사진)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더욱 자세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UBC Electrical Engineering (이하 전기공학) 과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모든 독자 분들에게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1. UBC Engineering (공대)는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가는 것이 특히나 어렵다고들 하던데, 어떠한 면에서 그런 건가요?
아무래도 고등학교 때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를 했는지 안 했는지의 여부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 Calculus 과목은 고등학교 때 2년에 거쳐 배우는 반면 대학에 들어와서는 (1학기에는 Differentiation (미분), 2학기에는 Integral (적분)에 대해 배움) 단기간 안에 배우기 때문에 단기간 안에 완벽히 습득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것이죠. 고등학교 때 IB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배워두고 왔다면 크게 어렵진 않을 테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대학에 들어와 수업에서 바로 바로 새로운 콘셉트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Calculus 학점을 고등학교 때 이미 이수하였다면 UBC 입학 후 Math 100, 101을 듣지 않아도 되기에 확실히 1학년 과정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등학교 때 수학을 미리 듣고 오는 것을 개인적으로 추천합니다. 


2. UBC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한다는 것은 EECE (Electrical Engineering & Computer Engineering; 전기공학 & 컴퓨터공학) 프로그램 중 하나라던데,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졸업할 때 졸업장에 무엇이 적혀있냐의 차이입니다. Electrical Engineering이라고 불리는 전기공학이 있고 Computer Engineering이라고 불리는 컴퓨터공학이 있는데, UBC에서는 이 두 전공을 합쳐서 EECE 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Faculty (학과)를 합쳐놓은 것이지, 두 전공은 별개입니다. 
2학년 과정은 두 전공이 공통 과목을 듣기 때문에 비교적 비슷한 감이 없지 않아 있기도 한데요. 역시 각각 다른 과목을 듣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공학은 전기공학에서는 배우지 않는 Java 와 같은 프로그래밍에 배울 동안 전기공학에서는 좀 더 physical한 것을 배웁니다. 
3학년 때는 둘의 차이가 더욱 커지는데요. 컴퓨터공학은 아무래도 포커스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및 컴퓨터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저희 전기공학은 하드웨어 위주로 – 모든 전자제품, 프로세스에 포함되어있는 부품들 등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3. 그렇다면 전기공학과에서는 무엇을 중점으로 배우는지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2학년까지는 광범위하게 하드웨어, 전자회로 (circuits)에 대해 배우고 3학년부터는 Communication, 시그널 조절, 파워 시스템, BC Hydro 등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전자제품들의 기능 및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해 관점을 두고 배우게 됩니다. 또한 자신이 보다 더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분야를 선택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직접 설계해 나아갈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전자회로나 통신, 신호 등 자신이 원하는 특정한 분야를 골라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현재 제가 관심을 두는 분야는 컴퓨터 안에 있는 파워 시스템이나 하드웨어 관련 분야입니다. 


4. 전기공학을 전공으로 택한 특별한 동기가 있으셨나요?
저와 같은 경우에는 중학교 때부터 Science에 관심이 많이 있었는데요. 개인적으로 생물은 저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점점 물리나 화학, 수학 쪽으로 집중해 배우고 더 잘할 수 있게 되다 보니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기계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전기공학을 고르게 되었습니다. 사실 대학에 들어올 때에는 Science와 Engineering을 고민하던 중, 제 자신이 판단하기에 이론보다 더 나아가 직접 응용할 수 있는 Engineering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1학년에 전자회로 (Circuits)에 대해 배우면서 흥미를 느꼈고, 선배님들의 영향도 컸는데요. 선배들이 프로젝트 하는 것을 보며 관심이 더욱 커졌고 더 몰두해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5. 전기공학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필수 과목에는 무엇이 있나요? 또한 전기공학 전공자들이 공통적으로 모두 들어야 하는 과목이 있다면 해당 과목들의 특성에 대해 알려주세요.
Engineering도 Science와 마찬가지로 1학년을 마친 후 전공을 정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Science와는 달리 Engineering 1학년 과정은 STT (Standard Timetable)라는 1학년 필수 과목들로 이루어진 이미 짜여진 시간표가 있기 때문에 그 시간표 대로 들으면 됩니다 (수학, 물리, 화학 등을 포함하고 있음). 물론 교양과목들은 따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Engineering 학점에 맞춰 들으면 됩니다. Engineering 과목들은 다소 어렵기 때문에 F학점을 받는 학생들이 꽤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성적순으로 전공을 고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에 성적을 잘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6. 1, 2, 3학년 과정에 차이가 있다면?
현재 3학년에 재학중인데, 지금까지 밟아온 과정을 돌아보면 2학년 과정이 가장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2학년에는 새로운 것들은 한꺼번에 많이 배우기 때문에 1학년에 비해 더 어려웠는데요. 하지만 새로운 것을 많이 배운다는 것은 매우 좋았습니다. 1학년에는 여러 분야를 골고루 배웠다면, 2학년에는 전공에 맞게 폭은 좁지만 더 많은 것을 배웁니다. 
만약 1학년 때 어떠한 개념을 배울 때 간단하게 공식만 주어졌다면, 2학년 때는 똑 같은 개념을 배워도 더 깊이 있게 배우며 주어진 공식이 왜 그러한지에 대한 부가 설명 또한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2학년이 1학년 과정보단 더 힘들다고 생각됩니다. 아직 3학년 과정은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만으로 따졌을 때 2학년, 3학년, 1학년 순으로 난이도가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7. 전기공학을 공부하고 졸업하면, 어떠한 JOB OPTIONS가 있는지 전기공학의 전망에 대해 알려주세요.
전기공학은 특히 너무나도 많은 분야와 연관이 되어있기 때문에 특정한 직업들을 제시하기 힘듭니다. 자동차 외에도 Automate System, GPS 등 컴퓨터 프로세스가 들어가는 모든 전자제품들에는 전기공학이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직업선택이 매우 다양합니다 – 전기공학의 매우 큰 장점이죠.


8. 후배들에게 들려주고 싶으신 조언이 있다면?
저는 고등학교 때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 과정을 이수하고 왔습니다. IB에서는 대학교 1학년 과정까지 어느 정도 배우기 때문에 대학생활을 즐기면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만약 고등학교 때 선행이 되어있지 않는 상태라면 공부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선행학습을 미리 하고 왔다고 해서 무조건 공부 이외에 것에 시간을 더 투자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알아서 적당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9. 어떠한 사람에게 전기공학과가 맞는다고 생각 하시는지 또는 추천하는 이유를 묻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공부에 관심이 있어야 하며 열정과 헌신 또한 필요합니다. 비교적 다른 전공 또는 학과에 비해 졸업 후 벌어들이는 연봉이 높다고 해서 전기공학을 선택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죠. 그만큼 시간을 투자할 의향이 있어야 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여가 시간을 포기해야 할 때도 많은 “어려운” 전공입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와 하드웨어가 만들어 지는 과정에 대해 특별한 관심이 있다거나 아니면 자신이 직접 제작해보고 싶다 하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대체적으로 전자제품에 흥미가 있는 분들이 전기공학과와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10. 끝으로, 전기공학과 자랑을 맘껏 해주세요!
다른 Engineering 전공들도 그럴 테지만, 어려울 것이고 동시에 재미있을 것입니다. 특히 전기공학과에서는 기술이 발전하는 것을 직접 습득하고 배우는 재미가 있고, 이러한 것을 배우다 보니 새로운 것을 접할 기회가 많아져 좋은 것 같습니다. 제일 큰 자랑으로는, 저희는 이론에서 나아가 보다 더 실용적인 것을 집중적으로 배우기 때문에 그 점이 가장 좋습니다. 


11. 이 외에 더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시간 분배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업과 그 외 대학 생활 둘 다 놓치지 마시고 즐기기 바랍니다!


위와 같은 정보를 더 얻고 싶으시면 akcse.ubc.pub@gmail.com로 문의를 해주셔도 좋습니다. AKCSE (Association of Korean Canadian Scientists and Engineers)는 UBC 한인 학생회 중 하나로 Science와 Engineering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모인 아카데믹 클럽입니다. UBC내에 선후배간의 교류는 물론이고 대학원생들 및 졸업생들과도 관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동아리입니다. 저희 AKCSE Publication Committee 는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를 계속 제공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라며, 이상 AKCSE Publication Committee 남윤우, 최예은, 이승욱, 황현지, 정윤선이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UBC 학생들이 직접 취재하고 썼다, 대학입학설명회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이번 시간에 화학 전공 4학년인 신상일씨 (사진)를 만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더욱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UBC 대학 지망생은 물론 화학 전공과 관련 분야에...
졸업생 남주원씨를 만났다
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남주원(사진)입니다. 조금 늦은 나이이지만 얼마 전 UBC 에서 Mechanical Engineering Program을 졸업 했습니다. 2. 기계공학 (mechanical...
누군가로부터 버림받았다는 표현, 영어로는 어떻게 할까요? 이런 불쾌한 경험을 억지로 할 필요는 없겠지만, 표현 하나 정도는 확실히 익혀두시길! 정답은 I got dumped입니다. 아래 대화를...
매일 한마디씩 꾸준히 하면, 언젠가는 나도 영어 도사! 밴쿠버 조선일보가 추천하는 12월 16일 오늘의 영어 한마디는 "tie the knot"입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부부의 연을 맺다"입니다. 아래...
The Korean Nut went nuts over nuts
대한항공 땅콩 리턴을 외신은 nut row, nut rage, nut rumpus 등의 표현을 써서 보도했다. nut는 견과(堅果), row는 다툼, rage는 격노, rumpus는 소동이란 뜻이다. 사태의 발단이 된 것은 땅콩(peanut)이 아니라 마카다미아(macadamia)였는데, 통칭 견과류라는 nut로 썼다....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영어와 수학이 역대 가장 쉽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일 발표한 ‘201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이번 시간에 UBC 약대 3학년에 재학 중인 이준호씨 (사진) 를 만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더욱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UBC 약대 지망생 혹은 약사가 꿈인 분들...
“1학년 때 성적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이번 시간에 의대 지망생 융합과학 4학년에 재학중인 박지윤씨 (사진) 를 만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더욱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UBC 대학 지망생 혹은 의대...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전공을 생생한 인터뷰를 통해 전해드렸는데요. 이태까지 Science 전공들만 접해보셨다면 이번 주에는 처음으로 Engineering 전공을...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이번 시간에 약대, 의대와 더불어 UBC 3대 Professional Schools 중 하나인 치대에 재학중인 2학년 김성윤씨 (사진) 를 만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더욱 자세히 들을 수...
미국 LA타임스가 20일“미 고교 졸업생들이 대학 입학을 앞두고 진학을 갑자기 포기하는‘섬머 멜트(summer melt)’가 심각하다”고 보도했다. 하버드대 출판부는 이번달 이 현상을 조명하는 동명(同名)의 연구서를 내놨다. 진학 희망 학생들이 도중에 증발하는 현상을...
UBC Science에는 다양한 전공들이 있습니다. 그 중 자신이 가장 공부하고 싶은 과학 분야를 2개혹은 3개를 접목해 공부하는 융합과학 이라는 전공이 있는데요. 저희 AKCSE Publication 에서는...
UBC 학생들이 직접 쓴 미래의 직업 스토리-1
UBC Biotechnology (생물공학)저희 UBC AKCSE Publication에서는 지금까지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주부터는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
토론토대 세계 20위, UBC 32위
캐나다의 명문 대학을 세계의 다른 명문 대학과 비교한 결과, 100위권 안에는 토론토대(20위), UBC (32위), 맥길대(39위), 맥마스터대(94위)가 뽑혔다.톰슨로이터사는 매년 '더타임스하이어에듀케이션 세계대학순위'를 집계해 발표하고 있다. 2일 공개된 순위의 판단...
BC주 공립학교 22일 일제히 개학 예정
BC주 공립학교가 오랜 파업을 접고 22일 일제히 개학한다.지난 18일 BC교사연맹(BCTF) 소속 교사들이 임시 합의안 수용가부를 투표한 결과, 86%가 수용에 찬성해 지난 6월말 이후 끌어온 파업을 종료하기로 했다. 투표에는 교사 3만1741명이 참여했다.상당수 교사들은...
학교별로 등교시간 다른 곳도 있어 확인 필수
<2신> 짐 아이커(Iker) BC교사연맹(BCTF) 위원장은 18일 오후 9시30분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16일 임시 합의안을 교사들이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22일 BC주 공립학교는 개학을 맞이하게 됐다.아이커 위원장은 "교사들은 개학 준비에 집중할...
이외 교육청은 19일 개학날 발표할 예정
다음 주 BC주 공립학교 개학은 BC교사연맹(BCTF)과 공립학교고용주협회(BCPSEA)의 16일 임시 합의 발표 후, 기정 사실화된 상태다. 18일 BCTF노조원의 임시 합의안 승인 투표 후, 19일 오후 투표 결과가 발표되면 개학여부가 결정되나, 이미 노사 양측은 합의안에 만족감을...
교사연맹-공립학교 고용주협회 극적 임시 합의
BC교사연맹(BCTF)과 공립학교고용주협회(BCPSEA)가 16일 오전 3시50분, 극적인 고용계약 임시 합의를 발표해, 지난 6월말 이후 전면 파업 상태였던 BC주내 공립학교가 곧 개학할 전망이다.BCTF 는 오는 18일 임시 합의에 대한 수용 찬반을 묻는 투표를 노조원 대상으로...
교사연맹은 강제조정, 주정부는 협상안 지지
BC교사연맹(BCTF)은 BC주정부가 강제조정(Binding arbitration)을 수용하는 조건으로 파업을 중단하겠다는 안에 대해 노조원 찬반 투표결과, 99.4%가 찬성했다고 10일 발표했다. BCTF는 강제조정을 "파업 중단 해법"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나, 노조원 투표 전부터 BC주정부는 반대...
주정부-노조 양보없이 서로에게 무리수 강요
BC교사연맹(BCTF)은 파업 해법으로 강제조정(Binding arbitration)을 밀기로 하고, 10일 강제조정 방식 수용 여부를 노조원 투표로 결정키로 했다. BC주정부는 짐 아이커(Iker) BCTF위원장이 제안한 강제조정에 대해 , 계속 수용할 수 없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