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이민 열풍의 그늘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4-02-10 00:00

이민 열풍의 그늘

한국에서 일고 있는 ‘脫 한국’ 바람은 유학이나 취업을 통해 현지에 일단 체류하면서 영주권을 얻으려는 현지이민의 형태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 외교통상부가 최근 집계한 바에 따르면 캐나다로의 이민조건이 강화되면서 전체이민자의 수는 줄어 들었지만 현지에서 영주권을 얻으려는 현지 이민자들은 늘어나 전체이민자의 1/4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어떤 면에서 보면 어차피 떠나기로 한 이상 미리 생활의 터전을 옮긴 뒤 이민을 추진하겠다는 적극적 사고가 많아지고 있다는 반증인데 밴쿠버에서도 실제 이러한 유형의 교민들이 상당히 많다는 점을 피부로 느끼게 된다. 이들에게서는 일단 살아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은데다 실패해 돌아가더라도 한번쯤 외국생활을 경험해 보았다는 것 만으로도 만족한다는 분위기다.

반면 일부에서는 영주권을 목적으로 장기 체류하려는 이들의 심리를 악용해 허위 문서를 작성하거나 비자발급을 미끼로 임금 지급마저 거부하는 사례가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는데 자격이 되지 않음에도 편법을 이용한 경우 스스로 떳떳하지 못한 마당이라 피해를 입고도 쉬쉬하는 경우가 많다.

독립이민을 고려했었다는 A씨는 “영어와 현지 취업경력에서 더 좋은 점수를 얻는다면 영주권을 얻기 쉽고 또 생활해 보니 가능하면 여기서 살고 싶었지만 취업비자를 빌미로 터무니없는 저임금 계약과 은밀한 유혹마저 요구해왔기 때문에 희망을 접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 “편법과 불법행위가 난무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실토했다.

이 같은 사례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었다는 점은 이미 영주권을 취득한 K씨로부터도 확인됐다. 그는 6년여의 세월을 악몽처럼 여겼다. “통상임금수준의 절반에 못 미치는 급여를 받았지만 비자연장을 위해서는 별도리가 없었다”고 한숨을 내쉰다.

또 다른 K씨의 경우는 ‘설마’라는 소리가 저절로 나왔다. 그는 “일시불로 자신의 돈을 맡긴 뒤 월급형태로 받았기 때문에 3년 이상을 무임금으로 일해 준 것”이라고 말했다. K씨는 “그 동안 들인 비용이나 시간, 마음 졸임 등을 생각하면 차라리 기업이민이나 투자이민을 택하는 것이 더 나았을 것 같다”면서 씁쓸해 했다.

외국인 이주자들이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밴쿠버가 선정됐다는 외신은 이민 열풍의 또 다른 그늘을 드리우고 있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혼인전 부부재산계약 취소할 수 없다 “혼인전 체결한 부부재산계약은 당사자의 자유의사에 의한 것으로 계약의 내용은 자유이며 일방 당사자가 취소할 수 없다”는 캐나다 연방대법원의 확정판결이 세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3월 26일 연방 대법원...
타산지석(他山之石) 캐나다에 온 후 이전까지 별 관심 없었던 아이스하키를 완전히 새롭게 접하게 됐다. 처음에는 왜 맨날 TV에서 하키 중계를 하는지 이해가 안됐지만 선수와 규칙을 하나하나 알아가고, 캐나다의 하키는 단순한 스포츠 이상의 문화적, 국가적...
침묵하는 다수의 힘 ‘2001년 무릎수술 대기기간 21주’, ‘2003년 무릎수술 대기기간 30주’, ‘2004년 그래도 정치인들은 의료서비스가 개선되고 있다고 말한다’ BC의료협회(BCMA, 이하 협회)가 대대적인 반정부 광고를 현지 신문에 실으면서 주장한 내용이다....
이민 열풍의 그늘 2004.02.10 (화)
이민 열풍의 그늘 한국에서 일고 있는 ‘脫 한국’ 바람은 유학이나 취업을 통해 현지에 일단 체류하면서 영주권을 얻으려는 현지이민의 형태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 외교통상부가 최근 집계한 바에 따르면 캐나다로의 이민조건이 강화되면서 전체이민자의...
까치까치 설날은…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우리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곱고고운 댕기는 내가 드리고/ 새로사온 신발도 내가 신어요/우리언니 저고리 노랑저고리/우리동생 저고리 색동저고리/아버지와 어머니 호사하시고/우리들의 절받기 좋아하세요/...
피그말리온 효과 2004.01.12 (월)
피그말리온 효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조각가의 이름에서 유래한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는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가 그 대상에게 그대로 실현되고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일컫는 교육학 용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덩치가 커야 유리하다? 밴쿠버 한인사회의 영세한 경제규모를 두고서 '교민의 3대 기간산업' 운운하며 소형자영업 위주의 실상을 자조했던 일이 한때 있었다. 이 같은 '가족중심의 비즈니스'라는 흐름은 2000년 이후 이민자수가 급증하면서 사업의 수는 늘어났지만...
연예인의 이혼 2003.11.24 (월)
연예인의 이혼 최근 두 명의 전직 연예인들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 시키고 있다. '모래시계' 등의 드라마에서 최정상에 오른 뒤 재벌가의 며느리가 된 미스코리아 출신 고현정씨가 전격 이혼한 것과 예전 동아그룹 최원석 회장의 부인이었던 배인순 씨의...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매일매일 기록하다’는 뜻의 라틴어 ‘쥬르나(jiurna)’에서 파생된 저널리즘(journalism)은 뉴스 등을 취재하고 편집하여 신문, 잡지, 방송을 통해 보도하고 논평하는 활동이나 그러한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직업 분야를 일컫는 말이다....
수능과 자살 2003.11.10 (월)
수능과 자살 한국에 입시 후유증이 심하게 불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보던 중 한 학생이 투신해 자살했고, 시험 후 점수를 비관해 또다른 학생이 목숨을 끊었다. 시험전후에 잇따른 수험생의 투신 자살은 한국의 수능시험이 어린 학생들에게 얼마나 큰...
길 없는 길 2003.11.03 (월)
길 없는 길 두 딸과 아내를 캐나다로 보내고 혼자 지내온 40대 ‘기러기 아빠’가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는 소식은 밴쿠버 동포사회에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조기유학의 실익을 놓고 설전이 벌어지는가 하면 한국의 교육제도의 문제점은 물론 일시적...
공직자의 도덕성 2003.10.27 (월)
공직자의 도덕성 캐나다의 산업부 장관으로 연방 자유당내에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알랜 락(Allan Rock) 장관의 정치생명이 위기에 처했다. 그는 연방 자유당 핵심 장관 중 하나로 금년 초에는 차기 총리로 확정적인 폴마틴과 당수 경쟁을 벌이기도 한...
인생역전의 꿈 2003.10.20 (월)
인생역전의 꿈 캐나다 사상 두 번째 당첨금액(3천만달러)으로 많은 관심을 모았던 슈퍼 7 복권은 지난 주 3명의 당첨자가 나왔다. 행운의 주인공 중 1명은 밴쿠버에 거주하는 43세의 기계공으로 단돈 10달러를 투자해 1천만달러(한화 89억)라는 거액을 손에 쥐게 됐다...
인종차별 2003.10.14 (화)
인종차별 특정 인종이나 민족이 다른 집단보다 우월하거나 열등하다고 생각해 불평등하게 대우하는 것을 인종차별이라 한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드러내진 않아도 자신의 민족이나 인종적 특징에 대해 어느 정도 자부심을 갖고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공존의 이유 2003.10.06 (월)
공존의 이유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종 다양성 분석조사(Ethnic Diversity Survey) 결과에 따르면 외견상 소수민족(visible minorities)의 경우 5명중 1명 꼴로 인종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물론 캐나다는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을 법으로...
헝그리 정신 2003.09.29 (월)
헝그리 정신 60년대에서 80년대 까지 한국에서 자주 쓰이던 말 중 '헝그리 정신'이라는 것이 있다. 헝그리 정신이란 말은 아일랜드 출신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전 영국 학술원장인 찰스 핸디의 저서 ‘헝그리 정신(Hungry Spirit)'의 제목으로 쓰일 만큼...
캐나다 이민부의 교훈 마케팅의 대가 필립 코틀러(phillip kotler)는 '고객 니즈(needs)의 이해는 마케팅의 출발점이며 경영에서 이를 모르면 마치 장님과 같은 것'이라고 지적한바 있다. 18일 아침, 캐나다 이민부가 독립이민 허용점수를 75점에서 67점으로 낮춘다는...
동성결혼, '차별과 구별' 동성결혼 문제에 대한 찬반 양론이 캐나다를 달구고 있다. 온타리오주 대법원이 지난 2002년 7월 12일 동성결혼 불인정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린 이후 현재까지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 퀘백, BC주에서 동성결혼을 인정하고 있다. 캐나다...
오륙도와 사오정 2003.09.08 (월)
오륙도와 사오정 글의 제목을 보고 부산 앞바다의 명물, 오륙도를 떠 올리거나 손오공이 나오는 서유기를 연상한 독자라면 한국을 떠나 온 세월이 제법 흘렀다는 얘기가 된다. 여기서 말하는 사오정과 오륙도는 다른 의미이기 때문이다. 뜬금없는 소리 같지만...
이상과 현실 2003.09.02 (화)
異想과 現實 조기유학생을 비롯한 모든 한국 학생들이 이 사회와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따뜻한 홈스테이와 이웃의 진정한 보살핌을 받으며 미래를 준비한다면 얼마나 뿌듯할까? 그러나 이것은 이상(理想)이고 우리의 현실은 다르다. 조기유학생 중에는 준비...
 61  62  63  64  65  66  67  68